무릎 인공 관절 | 무릎인공관절수술에 대해 꼭 알아야 할 7가지 6793 투표 이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무릎 인공 관절 – 무릎인공관절수술에 대해 꼭 알아야 할 7가지“?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giaoductieuhoc.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ppa.giaoductieuhoc.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바른세상병원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8,740회 및 좋아요 446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무릎 인공 관절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무릎인공관절수술에 대해 꼭 알아야 할 7가지 – 무릎 인공 관절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요즘 많은 분들이 무릎인공관절수술에 관심도 많이 갖고 계시고, 또 수술을 받을지 고민을 하시는 분들도 많으신데요. 오늘은 그래서 이 무릎인공관절수술에 대해 꼭 아셔야 할 7가지 내용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영상을 통해 내용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무릎인공관절수술 #무릎관절염 #퇴행성관절염
▶ 바른세상병원 홈페이지
https://www.barunsesang.co.kr/
▶ 바른세상병원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barunsesang
▶ 바른세상병원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barunsesang

무릎 인공 관절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무릎 인공관절수술 전·후 핵심, ‘아프지 않게 하는 것’ – 헬스조선

무릎 인공관절수술은 말기 관절염으로 인한 무릎 통증을 없애는 데 가장 효과적인 치료다. 하지만 대다수의 관절염 환자는 수술로 인한 필연적 통증, 즉 ‘뼈를 깎는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m.health.chosun.com

Date Published: 4/4/2022

View: 2055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 후 통증 없는 일상에 행복한 신정자 씨와 …

수술 후 무릎 꺾기의 통증을 감당할 자신이 없었기 때문. 그러나 박관규·최용선 교수팀의 특별한 수술치료 덕분에 빠르게 회복 중인 그녀는 인공관절 …

+ 여기를 클릭

Source: sev.severance.healthcare

Date Published: 8/16/2022

View: 2730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 > 관절수술클리닉 > 치료법안내 – 뿌리병원

외상 또는 질병으로 심하게 손상된 무릎 관절을 금속과 특수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인공관절로 바꿔주는 수술입니다. 관절의 일부만 손상되었을 때는 정상 부위는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ppuricj.co.kr

Date Published: 8/19/2022

View: 3363

슬관절 전치환술(무릎인공관절수술) – 정형외과 – 한국병원

무릎 인공관절 수술은 수술시 무릎관절을 형성하는 무릎 위 부분을 구성하는 대퇴골과 무릎 아래 부분을 구성하는 경골 및 무릎 앞을 덮고 있는 뼈인 슬개골 부위의 손상된 …

+ 더 읽기

Source: www.hankookhospital.co.kr

Date Published: 7/1/2021

View: 8350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무릎 인공 관절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무릎인공관절수술에 대해 꼭 알아야 할 7가지.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무릎인공관절수술에 대해 꼭 알아야 할 7가지
무릎인공관절수술에 대해 꼭 알아야 할 7가지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무릎 인공 관절

  • Author: 바른세상병원
  • Views: 조회수 18,740회
  • Likes: 좋아요 446개
  • Date Published: 2021. 4. 16.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6f8Je0YtgOM

무릎 인공관절수술 전·후 핵심, ‘아프지 않게 하는 것’

무릎 인공관절수술은 말기 관절염으로 인한 무릎 통증을 없애는 데 가장 효과적인 치료다. 하지만 대다수의 관절염 환자는 수술로 인한 필연적 통증, 즉 ‘뼈를 깎는 고통’이라는 말 때문에 치료를 두려워한다. 통증의 치료를 또 다른 통증 때문에 두려워하는 점이 아이러니이다. 실제로 수술 후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통증은 정형외과 의사에게 영원히 풀어야 할 숙제다.

마취의학의 발전으로 수술하는 순간의 고통에서 해방된 것만 해도 다행으로 생각한 때가 있었다. 그러나 이제는 수술 후에도 통증으로 고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치료 가이드라인의 대세가 되었다. 과거에 비해 통증을 관리하는 방법이 훨씬 개선됐기 때문이다. 막상 인공관절수술을 받고 나면 환자 분들이 걱정하는 뼈를 깎는 고통은 생각보다 걱정거리가 되지 않을 수 있다. 게다가 기존에 관절염으로 인해 앓아왔던 지긋지긋한 무릎 통증도 효과적으로 경감되고 기능을 회복할 수 있게 되어 수술의 만족도가 높다.

인공관절수술 후 통증 관리의 가이드라인은 수술 전 예방적 진통, 신경예민성의 차단, 적절한 마취방법의 선택, 수술 중 진통제 및 소염제의 국소투여, 수술 후 다양한 약제를 이용한 통증관리로 정리할 수 있다. 최근에는 ‘수술 후 회복증진 프로그램’을 통해 최대한 빠르고 만족스런 회복을 위한 치료 프로토콜로서 정립해 가고 있다. 아프면 무통 주사를 한번씩 놓아주던 때보다는 괄목할 만한 성장이다.

무릎 인공관절수술은 무릎 각도와 연부조직의 균형 등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은 고난도 술기다. 때문에 의사 입장에서는 올바른 하지 정렬, 인대의 불균형, 신경과 혈관의 각종 합병증, 감염의 위험, 인공관절 수명 등을 우선적으로 고민한다. 물론 수술 자체가 수술 후 통증에 미치는 영향도 상당하기 때문에 술기가 중요하고 수술이 잘 되는 것이 당연하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이유로 환자가 가장 크게 체감하는 ‘수술 후 통증’이 의사에게는 두 번째 관심사였고, 어쩔 수 없는 것으로 치부되어 왔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환자의 통증 관리는 궁극적으로 수술의 성공 여부와 긴밀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수년 전부터 의사들도 이를 치료의 최우선 순위에 놓기 시작했다.

수술 후 통증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집중적인 재활 기간의 회복에도 지장이 생긴다. 무릎 인공관절수술은 운동물리치료가 수술만큼이나 중요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통증으로 인한 관절운동이 늦어지면 전체적인 회복도 늦어지고 환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부담을 준다. 통증으로 인한 수면장애, 불안한 감정 상태 등이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면 결과적으로 회복이 늦어지고 ‘수술이 실패했다’는 부정적인 생각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때문에 통증 관리는 수술 전후를 막론하고 언제라도 면밀하게 이뤄지는 것이 중요하다.

대부분은 만족스러운 회복을 하기 때문에 수술 후 통증에 대한 걱정과 불안도 서서히 없어지기 마련이지만 약 10% 환자에서 수술 후 6개월 이후에도 통증이 지속될 수 있다. 수술 후 오랜 기간의 만성통증은 극히 드물기는 하지만 아직 치료에 별다른 대책이 없으며 의사들도 언급하기에 껄끄럽기만 하다. 수술 전에 너무 오랜 기간 심한 통증을 앓아 왔거나, 통증에 대한 과잉 각성, 수술에 대한 지나친 불안감으로 인한 스트레스 등이 무릎 인공관절수술 후 지속되는 통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여겨진다. 이와 관련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해결책을 모색해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다각적인 통증 관리가 점차 일반화되면서 이제는 수술 후 아픈 게 당연하다는 인식은 과거가 된 지 오래다. 무릎이 아프지 않기 위해 인공관절수술을 했는데 수술 후 통증 때문에 수술 받은 것을 후회하지는 않아야 한다. 통증은 지극히 주관적인 것이므로 개인의 민감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환자의 통증을 개인의 예민함으로 치부해버릴 수는 없다. 환자의 고통을 조금이라도 덜어주는 것이 의사의 사명인 만큼 보다 세밀하게 추적해 개개인에 맞춘 통증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 후 통증 없는 일상에 행복한 신정자 씨와 박관규·최용선 교수팀

반듯해진 다리로 웃으며 맘껏 거니는 행복!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 후 통증 없는 일상에 행복한 신정자 씨와 박관규·최용선 교수팀

신정자 씨는 오랜 관절염으로 무릎이 너무 아파 10분을 걷는 것도 힘들었지만, 수술을 마음먹기가 쉽지 않았다.

수술 후 무릎 꺾기의 통증을 감당할 자신이 없었기 때문.

그러나 박관규·최용선 교수팀의 특별한 수술치료 덕분에 빠르게 회복 중인 그녀는 인공관절 치환술도 역시 세브란스가 최고라며 엄지 척을 했다.

참을 수 없는 심한 관절염, 너무나 두려웠던 수술

퇴행성 관절염으로 50대 중반부터 10년 넘게 지긋지긋한 통증에 시달려온 신정자 씨. 그녀가 박관규 교수(정형외과)의 진료실에 들어선 건 지난해. “주사치료도 효과가 없으니 인공관절 치환술밖에 방법이 없다”는 동네 정형외과 의사의 조언을 들은 뒤였다. “큰딸이 2년 전에 박관규 교수님께 고관절수술을 받았어요. 교수님의 수술 실력을 믿고 세브란스에 온 거죠.”

당시 신 씨가 수술을 결심한 건 아니었다. 박관규 교수를 만나 정말 수술이 필요한 상태인지 확답을 듣고 싶은 마음이었다. “지인들을 보니 수술 후에도 한참을 고생하더라고요. 그래서 수술이 너무 무서웠던 거죠. 수술 전날 입원실에서 남편한테 농담 반 진담 반으로 도망가자고 할 정도였어요. 근데 막상 해보니 별게 아니더라고요. 양쪽 무릎을 한꺼번에 수술했는데도 ‘이 정도면 할 만하지’ 소리가 입에서 나왔어요.” 무릎 꺾기도 예상보다 훨씬 덜 아파서 일찍부터 걷기 연습을 시작했다는 신정자 씨의 얼굴에 만족스러운 미소가 번졌다.

수술 후 두 달여를 지나는 동안 나날이 좋아지는 무릎 상태에 기분 좋은 환자와 수술 집도의 박관규 교수, 그리고 섬세한 신경차단술로 통증을 확 줄여준 일등 공신 최용선 교수(마취통증의학과)까지, 사진 촬영을 위해 처음으로 세 사람이 모인 자리는 화기애애했다.

웃는 얼굴로 통증 없는 봄나들이를

오전에는 집에서 실내 자전거를 타고, 오후에는 사우나탕에서 걷기 연습을 하느라 신정자 씨의 하루는 바쁘게 돌아간다. 세브란스의 자발적 홍보대사로서, 무릎이 아프다고 하소연하는 지인들에게 세브란스를 강추하는 것도 잊지 않는다. O자로 휘어버린 다리 때문에 뭘 입어도 태가 안 나 속상했던 그녀에겐 반듯해진 다리 덕분에 쇼핑하는 재미를 다시 찾은 것도 수술 후 달라진 일상이다.

“코로나19가 끝나면 가족들하고 꽃구경, 단풍구경 맘 편히 다니고 싶네요. 예전엔 조금만 걸어도 다리가 아프니까 아무리 좋은 델 가도 인상을 쓸 수밖에 없었어요. 앞으로 다리가 다 회복되면 통증 없이 웃으면서 걸을 수 있겠지요? 상상만 해도 행복하네요. 교수님 말씀으론 완전히 회복되려면 6개월에서 1년은 걸린다니까, 그때까지 열심히 회복에만 집중하려고요.”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긴밀한 팀플레이로 통증 줄이고 회복력 높인다

조기 회복 프로그램으로 최소 통증에 도전하는 정형외과 박관규 교수 & 마취통증의학과 최용선 교수팀

무릎관절염의 주요 원인은 결국 나이인가요?

관절의 연골과 주변 뼈가 마모되는 무릎의 퇴행성 관절염은 나이, 성별, 비만, 유전적 요인, 지나친 사용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데, 나이와 무리한 사용이 특히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이하게도 서양에서는 남성과 여성 환자의 비율이 큰 차이가 없는 반면,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국가에서는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대부분이 여성입니다.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아마도 입식생활을 하는 서양과 달리 동북아에서는 특히 여성 어르신들이 쪼그려 앉기, 무릎 꿇기 등 무릎에 부담을 주는 활동을 유독 많이 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앉았다 일어설 때 무릎에서 뚝 소리가 나면 퇴행성 관절염의 신호라 볼 수 있나요?

꼭 그렇진 않습니다. 우리가 손가락 관절을 꺾으면 뚝 소리가 나는 것처럼, 단순히 관절 안의 압력이 변할 때도 소리가 날 수 있거든요. 그런데 뼈가 자라면서 소리가 난다거나 소리가 날 때 통증이 동반되면 관절염과 관계가 있습니다. 뼈를 감싸 충격을 흡수하는 연골이 점점 닳아 없어지니까 뼈끼리 서로 부딪치면서 골극이 자라고 관절의 모양이 변하면서 걸을 때 통증이 생기고, 다리 모양이 O자나 X자로 변하기도 합니다.

치료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무릎을 안 쓰는 게 제일 좋은가요?

관절의 부담을 줄여주는 보존적 치료를 먼저 시행합니다. 실내 자전거 타기나 수영처럼 무릎에 부담을 주지 않는 운동을 꾸준히 해서 다리 근육을 키워주는 게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등산, 계단 오르기, 쪼그려 앉기 등 무릎에 부담을 주는 활동을 줄여야 하고요. 부기가 있을 때는 염증을 완화시키는 냉찜질을 해주는 게 좋고, 근육을 부드럽게 해서 관절 각도를 유지하는 데는 온찜질이 좋습니다. 체중 감량 또한 효과적인 보존적 치료로, 무리한 다이어트가 아니라 체중을 2-3kg만 줄여도 무릎 통증을 완화시키고 병의 진행을 상당히 늦출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보존적 치료에도 통증이 계속되면 염증을 가라앉히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등의 경구용 약을 복용할 수 있고, 흔히 연골주사라 불리는 주사치료를 받기도 합니다.

요즘은 인공관절수술도 많이 받던데요. 누구나 다 받을 수 있나요?

여러 비수술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심한 통증이 계속되고 관절의 변형 등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우면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영상검사에서 관찰되는 관절염의 진행 정도에 따라 1-4기로 구분하는데, 일반적으로 3-4기의 진행된 관절염 환자들이 수술치료의 대상이 됩니다. 관절경, 교정절골술, 인공관절 부분치환술 또는 전치환술 등 여러 수술법 가운데 관절경수술과 교정 절골술은 비교적 젊은 환자에서 효과적입니다. 반면 고령의 퇴행성 관절염 환자들 중 병이 오랜 세월 진행되면서 관절이 심하게 닳고 손상되어 통증이 있는 경우 인공관절 치환술을 받게 됩니다.

인공관절 치환술 하면 무시무시한 통증으로 악명이 높습니다. 수술 후 통증이 두려워서 수술을 무작정 미루는 어르신 환자들도 있고요.

말기 관절염에서 원래의 뼈를 깎아낸 후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인공관절 치환술은 관절의 기능 회복과 통증 감소, 수술의 안정성 등에서 이미 오랜 시간 좋은 결과가 검증되었습니다. 다만 문제

는 수술 직후와 초기 재활 과정에서의 심한 통증입니다. 특히 환자들은 수술 통증이 가라앉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되는 무릎 꺾기를 많이 두려워하시죠. 암수술처럼 생존을 위한 수술이 아닌, 관

절염의 고통에서 벗어나 좀 더 편안한 일상을 살아가기 위한 수술이라는 점에서 환자로선 이런 통증이 더 크게 다가올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는 마취통증의학과 최용

선 교수님과의 긴밀한 협력 아래, 2019년부터 인공관절 치환술에 통증 감소 및 조기 회복 프로그램(ERAS, Enhanced Recovery After Surgery)을 도입했습니다.

정형외과 박관규, 권혁민 교수 & 마취통증의학과 최용선, 이보라 교수팀의 인공관절 치환술 후 통증 감소 및 조기 회복 프로그램

환자의 통증 감소와 조기 재활을 위해 정형외과 집도의, 마취통증의학과 교수진, 재활의학과, 간호사, 영양사 등 의료진이 긴밀한 소통 아래 수술 전부터 후까지 유기적으로 의료 행위를 시행하고 환자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다.

● 수술 전

_ 수술 전 상담과 교육

_ 금연과 금주 유도

_ 빈혈을 미리 교정해 수술 중 수혈을 최소화하고 수술 합병증 위험 낮춤

_ 수술 전 당음료를 복용하게 함으로써 지나친 공복으로 인한 컨디션 저하 방지

● 수술 중

_ 수술 중 무릎 주위 국소마취(관절 주변의 구조물에 부위마취)로 수술 후 통증 최소화

_ 수술 직후 신경차단술(수술 부위의 신경을 차단하는 부위마취)로 수술 후 통증 최소화

● 수술 후

_ 항구토제, 철분제, 지혈제(트라넥삼산) 등을 적극 처방해 수술 후 오심, 구토, 지나친 출혈 등 회복의 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을 사전에 예방

_ 수술 전후 통증 조절 약물을 적극 투여해 통증 최소화

_ 조기 관절 운동과 보행으로 근력 약화를 최소화함으로써 성공적인 조기 재활 유도

구체적으로 어떤 프로그램인가요? 환자의 통증 감소에는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여러 과에서 개별적으로 시행해오던 다양한 의료행위들을 근거 중심의 항목들로 정리하고 종합해놓은 것으로, 수술 집도의뿐 아니라 마취통증의학과, 재활의학과, 간호사, 영양사 등 병원의 많은 부서가 함께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먼저 수술 전 교육과 상담을 통해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근력운동으로 수술을 준비하게 합니다.

또 수술 전날 저녁식사 후로 무조건 금식을 시켰던 과거와 달리, 현재는 수술 당일 아침에도 당 음료를 선택적으로 복용하게 함으로써 고령의 환자에서 과도한 금식으로 인해 기력이 지나치게 떨어지는 걸 방지합니다. 무엇보다 수술실에서는 기존의 마취에 추가로 수술 부위의 신경을 차단하는 부위마취인 대퇴신경차단술 혹은 내전근관차단술을 마취통증의학과에서 시행해 수술 후 통증을 최소화합니다. 이런 여러 단계들이 체계적으로 시행되면 환자의 체력을 보존하고 통증을 줄이면서도 무릎의 관절 운동과 빠른 재활을 시행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신경마취까지 추가되면 환자 입장에서는 운동능력이 떨어져서 재활이 더 힘든 거 아닌가요?

신경차단술이 운동능력에 영향을 줄 수도 있으나, 현재 세브란스병원에서는 마취통증의학과와 상의하에 운동능력에 끼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통증 감각만 떨어뜨리는 최선의 방법을 찾기 위해 지

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수술 직후의 극심한 통증은 환자에게 심리적 트라우마로 남을 뿐 아니라 신경을 통증에 예민한 상태로 만듭니다. 이걸 ‘감작’이라고 표현하는데요. 극심한 통증이 한 번 감

작되면 이후에는 작은 자극에도 큰 통증이 느껴지는 겁니다. 환자로선 너무 아프니까 재활에 더 소극적일 수밖에 없고요. 신경마취는 수술 직후와 초기 재활 과정에서 극심한 통증에 대한 감도를 낮춰 조기 재활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적은 통증으로 재활을 빨리 시작하니까 당연히 회복도 빨라집니다.

인공관절에도 수명이 있다!!

인공관절 치환술 후 10년이 지나면 약 3~5%, 20년 후에는 약 5~10%의 환자에서 재수술이 필요하다. 쪼그려 앉기, 양반다리를 자주 하거나 바닥생활을 하면 인공관절 뒤쪽이 마모되어 인공관절의 수명이 빨리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수술 후 관절 통증이 사라지더라도 무릎에 부담을 주는 행동은 삼가야 한다. 의자와 침대 사용을 생활화하고, 등산이나 테니스처럼 격한 운동보다는 평지 걷기나 실내 자전거 타기, 수영 등 무릎에 부담이 적은 운동을 한다.

박관규 교수(정형외과)

박관규 교수 프로필 바로가기

무릎 또는 고관절의 퇴행성 관절염, 고관절 무혈성 괴사증, 대퇴경부골절 등으로 수술이 필요한 환자들을 치료하며, 인공관절 치환술이 전문 분야다. 수술의 진정한 성과는 환자의 만족도와 기쁨에 달려 있다고 생각하는 환자중심주의자. 그래서 “어떻게 하면 환자가 덜 아프고 덜 고생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늘 머릿속에 품고 있으며, 마취통증의학과 최용선 교수와의 공동 노력으로 꾸준히 해결책을 찾아가고 있다. 인공관절 치환술 후 통증 감소 및 조기 회복 프로그램을 도입, 업그레이드하면서 환자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항상 환자 입장에서 겸손한 마음으로 의술을 행하는 것”을 진료 철학으로 삼고 있다.

에디터 박준숙 포토그래퍼 최재인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 > 관절수술클리닉 > 치료법안내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

외상 또는 질병으로 심하게 손상된 무릎 관절을 금속과 특수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인공관절로 바꿔주는 수술입니다. 관절의 일부만 손상되었을 때는 정상 부위는 최대한 보존하고, 손상된 부위만 부분적으로 인공관절로 바꿔주는 반치환술을 시행합니다. 그러나 뼈와 뼈 사이가 맞닿을 정도로 연골 손상이 심한 경우 전체 관절을 제거한 뒤 기능을 회복시키는 전치환술을 시행합니다.

슬관절 전치환술(무릎인공관절수술)

1. 무릎인공관절수술이란 무엇인가요

무릎 인공관절 수술은 무릎관절이 각종 질환이나 외상 등의 원인으로 인해서 더 이상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하지 못하고 장애가 심하면서 약물요법이나 물리치료 등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다른 수술 방법으로 해결할 수 없는 환자들에게 특수재료로 만들어진 인공관절을 삽입하여 통증을 감소시키고 관절 운동이 가능해지면서 동시에 안정성을 얻고 변형을 교정하여 일상적인 생활이 가능하게 해주는 수술입니다.

무릎 인공관절 수술은 수술시 무릎관절을 형성하는 무릎 위 부분을 구성하는 대퇴골과 무릎 아래 부분을 구성하는 경골 및 무릎 앞을 덮고 있는 뼈인 슬개골 부위의 손상된 부위를 제거하고 인공관절을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서 정상적으로 무릎관절이 움직여 보행이 가능하게 됩니다.

과거 20년 전부터 계속적인 연구 개발로 현재에는 장기간 사용하여도 마모되지 않는 다양한 특수합금과 인공재료들이 있으며, 현재에도 더 좋은 재료를 만들기 위해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인공 관절의 재료들은 고도의 발달된 재료공학과 높은 수준의 기계공학이 요구됨으로써 아직 우리 나라에서는 만들지 못하고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관계로 가격이 비싼 실정입니다.

2. 어떤 경우에 수술을 받게 되나요

여러 가지 약물요법과 비수술적인 치료에 반응하지 않고 일반적인 수술로서 치료가 되지 않을 정도의 환자에게 시행하게 되는데 여러 관절 질환에 의한 경우와 외상에 의한 경우가 있습니다.

> 퇴행성 관절염

> 류마티스성 관절염

> 결핵이나 다른 염증성 질환의 후유증

> 신경병성 관절염

> 혈우병성 관절염

3. 인공관절 수술시 고려 사항

> 연령 연령은 60-70세 사이가 좋습니다.

– 인공관절의 수명이 15-20년이고, 재수술의 경우 수술이 어렵고 예후도 처음 하는 것보다는 나쁘기 때문에 한 번의 수술로 여생을 마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러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40대에도 수술을 받기도 하고, 80-90대의 연령에도 불구하고 매우 건강한 사람도 있어서 나이보다는 전신 건강상태가 더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 건강상태 일반적으로 건강하게 보인다 하더라도 실제로는 건강이 안 좋은 사람이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노인 환자의 경우는 예측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대개 미리 기본적인 건강진단을 하게 됩니다. 기존의 질병이 있는 경우 수술 여부는 해당 전문의와 마취과 전문의가 상의하여 결정하는데, 마취의 종류 및 약물의 선택을 신중히 하면 수술이 가능합니다.

> 직업 및 활동 인공관절수술을 받는다고 해서 관절이 정상으로 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15년-20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무릎을 아껴 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심한 육체 노동을 하는 경우, 논밭에서 매일 일을 해야 할 경우에는 이 수술을 받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집안 일이나 사무직에 종사하는 사람이 좋고, 가벼운 산보나 수영 정도를 하고자 하는 사람에 적합합니다.

4. 증상

관절이 매우 아픈 경우에 수술이 권유됩니다. 여기에 해당되는 것으로는

> 첫째, 가만히 있을 때도 아프다

> 둘째, 아파서 잠을 깨거나 잠을 이루지 못하는 때가 있다.

> 셋째, 약을 먹어도 당시에만 통증이 없어질 뿐 약을 끼고 살아야 하거나 속이 쓰리고 아파서 약을 먹지 못한다.

> 그 외에 다리 모양이 비뚤어져서 걷기가 힘들거나, 관절이 굳어져서 불편한 경우도 수술이 권유됩니다.

반면에 오래 걸어야만 아프거나 층계를 오르내릴 때에도 지장이 없는 경우는 수술을 받지 않는 편이 좋습니다.

5. 입퇴원 과정과 요양기간(물리치료)

> 기본검사 일단 수술 날짜가 결정되면 수술에 필요한 기본검사를 시행하는데, 이 검사의 결과가 정상으로 나오면 수술 1-2일전에 입원을 하게 됩니다. 만일 이 검사에서 정상소견이 아니면 일단 해당 내과에 진료의뢰를 하여 추가 검진을 하여야 합니다. 수술 전날 밤 금식을 하게 됩니다.

> 수술 수술시간은 한쪽만 수술하였을 경우는 1-2시간 정도며 양측을 동시에 수술하였을 경우는 3시간에서 4시간 정도가 소요됩니다. 수술 후 곧바로 예정된 순서에 따라 운동요법이 의사의 지시에 따라 시행됩니다. 운동요법은 정강이 근육의 힘을 키우는 발목 운동, 허벅지 근육의 힘을 키우는 무릎운동, 하지 들어올리기 운동 등을 수술 후 곧 바로 시행합니다. 수술 후 곧바로 시행하는 재활치료가 향후 무릎관절을 정상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수술 전에 미리 다리 근육에 힘을 길러서 서게 되었을 때 용이하도록 하여야 하겠습니다.

> 수술 후 2-3일째 수술 후 2-3일째 앞에서 기술한 운동들이 익숙해지면 의자에 앉아서 무릎 굽히기 운동 등을 의사의 지시에 따라 연습합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무릎을 제대로 펼 수 없는 상태로 입원하기 때문에 재활치료기간 동안 열심히 연습하여 정상상태의 무릎관절 운동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서는 연습을 하여 익숙해지면 보행기나 목발을 사용하여 걷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 수술 후 입원기간 수술 후 입원기간은 한쪽 무릎만 시행하였을 경우는 2주 정도의 입원기간이 필요하게 되며, 양측 무릎관절을 동시에 수술하였을 경우는 3주에서 4주 정도의 기간이 필요합니다.

6. 퇴원 후 관리

퇴원 후 어떻게 생활하느냐가 인공관절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므로 주의하여 생활하여야 합니다. 수술 후의 합병증 예방과 조기 보행 및 관절 운동이 원활해지도록 하는 것은 지속적인 물리치료가 좌우하게 됩니다. 퇴원 후에는 입원 시 배웠던 운동요법들 즉 무릎관절을 쭉 펴서 힘주는 운동, 다리 들기 운동, 높은 의자에서 90도 이상 무릎 굽히기 운동 등을 그대로 꾸준히 실시하여야 하며 퇴원 후 2주 째에 정형외과 외래를 방문하여 정기검진을 받습니다.

수술 후 대부분의 환자들이 일상생활을 할 때 활동양의 많고 적음에 따라서 통증을 호소하며 많은 걱정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통증은 시간이 지나가면 서서히 없어지며 또한 수술부위에 이상감각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도 시간이 흐르면 대부분 정상적으로 됩니다. 추후 검사는 3개월, 6개월, 1년, 2년 등으로 외래를 방문하여 담당의사로부터 건강상태 및 수술 부위의 이상여부를 검사해야 합니다.

6. 인공관절의 수명은

이 점이 환자 분들이 가장 많이 물어보고 궁금해하는 사항입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인공관절수술을 받은 분이 조심하시고,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하시며 주기적인 점검을 받으면 평생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1980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상당한 수준의 기술에 도달해 있는 상태이며 일반적인 수명은 20년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7. 수술 후 합병증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 첫째는 관절을 너무 무리하게 사용하여 과도한 마모가 생겨 헐거워지는 경우입니다.

> 둘째는 감염입니다.

> 셋째는 골절이 올 수 있습니다.

> 넷째는 혈관 합병증으로 정맥이 막히는 색전증 등이 올 수 있습니다.

> 다섯째는 수술 후 출혈이 생기는 경우입니다.

> 여섯째는 다리가 저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 일곱째는 인공 관절이 부러지는 경우입니다.

위에서 열거한 대부분의 합병증은 정기적인 추시 검사와 통원 치료로서 대부분이 예방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담당의사와 면담하고 주의사항을 지키려는 노력이 필요하겠습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무릎 인공 관절

다음은 Bing에서 무릎 인공 관절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See also  Paillis De Lin 150L | Paillage De Fraisiers Au Paillis De Lin 218 개의 가장 정확한 답변
See also  가공비 계산 엑셀 | 식당원가_02.식당 메뉴별 재료비 계산하기 상위 280개 베스트 답변

See also  대부도 조개 구이 | 대부도 조개구이 맛집ㅣAssorted Grilled Shellfish - Korean Street Food 5633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무릎인공관절수술에 대해 꼭 알아야 할 7가지

  • 전문병원
  • 분당전문병원
  • 관절전문병원
  • 척추
  • 관절
  • 관절염
  • 퇴행성관절염
  • 퇴행성관절염치료
  • 관절염치료
  • 무릎통증
  • 무릎수술
  • 무릎인공관절수술
  • 무릎인공관절
  • 무릎인공관절수술 재활
  • 무릎인공관절수술후관리
  • 무릎인공관절수술후통증
  • 무릎인공관절수술 명의
  • 무릎인공관절수술 후기
  • 무릎인공관절수술후 운동
  • 무릎인공관절 도수치료
  • 무릎인공관절부작용
  • 무릎수술후 재활운동
  • 무릎수술후 회복기간
  • 무릎수술후 근력운동
  • 무릎수술후 통증
  • 무릎수술후 붓기
  • 무릎수술후 걷기
  • 무릎수술후 각도재활
  • 무릎통증 치료
  • 무릎통증 수술
  • 퇴행성관절염 운동
  • 퇴행성무릎관절염
  • 퇴행성관절염 증상
  • 퇴행성무릎관절염운동
  • 무릎관절에 좋은 운동
  • 무릎관절염에 좋은 운동
  • 무릎관절염 치료법
  • 무릎관절통증
  • 무릎관절
  • 무릎관절수술
  • 무릎관절운동
  • 무릎관절염
  • 무릎관절 스트레칭
  • 무릎관절운동법
  • 바른세상병원
  • 바른세상 서동원
  • 무릎수술 명의
  • 무릎 명의
  • 무릎수술 후유증
  • 무릎수술 부작용
  • 무릎인공관절수술 부작용

무릎인공관절수술에 #대해 #꼭 #알아야 #할 #7가지


YouTube에서 무릎 인공 관절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무릎인공관절수술에 대해 꼭 알아야 할 7가지 | 무릎 인공 관절,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