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매수 잔량 매도 잔량 – 호가창 단타 매수잔량,매도잔량 무엇을의미할까?“?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giaoductieuhoc.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ppa.giaoductieuhoc.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창원개미TV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68,125회 및 좋아요 1,652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매수 잔량과 매도 잔량은 호가창에서 매수와 매도를 위해 신청한 종목의 개수로 아직 거래가 성립되지 않은 것들을 말합니다. 매수 잔량은 현재 호가보다 낮은 가격에 걸어둔 매수 주문의 총개수입니다. 반대로 매도 잔량은 현재 호가보다 높은 가격에 걸어둔 매도 주문의 총개수를 말하죠.
Table of Contents
매수 잔량 매도 잔량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호가창 단타 매수잔량,매도잔량 무엇을의미할까? – 매수 잔량 매도 잔량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호가창을 단순하게 생각한다면 일정시간을 제외하면 호가창을 움직이는것은 주포일것이고 이주포들은 개인투자자들을 속이기 위해서 노력할것입니다. 주포의 입장에서 생각하면 답이 나올수있습니다.
매수 잔량 매도 잔량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매도매수잔량비, 총매도잔량, 총매수잔량이란? (기술적 분석8)
총매도잔량’이란. 매도 10호가에 걸려있는. 모든 잔량을. 더한. . 위 사진에서. 파란 동그라미에 보이는. 206,258 주. . 저게 ‘총매도잔량’이고.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1/8/2022
View: 5795
매도잔량,매수잔량 – Biz School 기본정보
매도잔량이란 팔려고 주문을 낸 사람들의 물량중에서 아직 까지 팔리지 않고 있는 주식의 양입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주)리어커의 현재가가 50원입니다. 그런데 60 …
Source: www.daytraders.co.kr
Date Published: 7/17/2022
View: 8708
[상한가 주식의 매매전략] ③매수와 매도잔량 비율 계산하라
두번째 매도세는 동시호가에 형성되는 시가를 보고 거래량에 비해 상한가 매수잔량이 많지 않으면 매도를 하겠다는 세력이다. 이들 세력은 상한가를 계속 …
Source: www.joongang.co.kr
Date Published: 11/13/2021
View: 6041
작전세력이 매도잔량, 매수잔량 이용하는 방법? – art
매도잔량이 많으면. 주가가 오르는지. 혹은 매수잔량이 많으면. 주가가 오르는지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투자를 하실 때.
Source: artist1.tistory.com
Date Published: 1/11/2022
View: 5847
[3025] 매수매도 잔량차트
[3025] 매수매도 잔량차트. 화면개요. 해당 선택한 종목에 대한 매수잔량 추이와 더불어 체결강도 추이를 동시에 비교해 봄으로 써 해당 종목 …Source: www.myasset.com
Date Published: 9/6/2022
View: 2501
[고수외전] 주가 예측하는 ‘체결강도’ 보고 단타 수익 내는 법
반대로 매도잔량보다 ‘매수잔량’이 많으면 앞으로 주가가 내려가겠다고 예상하고, 현재 주가보다 낮은 가격에 매수하는 심리로 보는 겁니다. ○ 체결강도 …
Source: biz.sbs.co.kr
Date Published: 12/30/2021
View: 1603
총 매도잔량 총 매수잔량 뜻 현재가의 상승 관계 – 골든타임
매도잔량과 매수잔량은 호가창에서 매수와 매도를 위해 신청한 종목의 갯수로써 아직 거래가 성립되지 않는 것들의 총합입니다. 호가창의 매도잔량과 매수 …
Source: apmkcrw.tistory.com
Date Published: 9/15/2021
View: 6448
[주식] 현재가 창에서 매도. 매수 총잔량으로 파악 하는법 상승 …
일반적으로 상승추세에서 거래물량이 총매도 잔량 > 총 매수 잔량 이라면 좋게 본다. 이때 체결되면서 바로바로 상승하면 매수세가 강하다고 말 할 수 있다.
Source: www.telepasi.co.kr
Date Published: 9/7/2021
View: 2580
#매수잔량매도잔량 – YouTube
You’re offline. Check your connection. Retry. Info. Shopping. Tap to unmute. If playback doesn’t begin shortly, try restarting your device.
Source: www.youtube.com
Date Published: 7/10/2022
View: 778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매수 잔량 매도 잔량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호가창 단타 매수잔량,매도잔량 무엇을의미할까?.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매수 잔량 매도 잔량
- Author: 창원개미TV
- Views: 조회수 68,125회
- Likes: 좋아요 1,652개
- Date Published: 2019. 9. 29.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BChL97OuFnM
매도잔량 많은데 주가는 올라간다?…호가창 보는 법 [알기쉬운 경제]
호가창. KB증권 앱 캡처
어떤 물건을 팔고 싶은 사람보다 사고 싶은 사람이 많으면 그 물건의 가격은 올라갑니다. 그러나 주식에서는 이 당연한 원리가 적용되지 않습니다.매수 잔량이 많으면 사려는 사람이 많으니 주가가 오르고, 매도 잔량이 많으면 팔려는 사람이 많으니 주가가 내려간다고 생각하게 되는데요.실제 주가는 이 단순한 생각과 반대로 움직입니다. 높은 확률로 매도 잔량이 많을 때 주가가 상승하고, 매수 잔량이 많을 때 주가가 하락하죠.주식 창을 켰을 때 왼쪽 상단에 나오는 것이 매도 잔량, 오른쪽 아래에 나오는 것이 매수 잔량입니다.매수 잔량과 매도 잔량은 호가창에서 매수와 매도를 위해 신청한 종목의 개수로 아직 거래가 성립되지 않은 것들을 말합니다. 매수 잔량은 현재 호가보다 낮은 가격에 걸어둔 매수 주문의 총개수입니다. 반대로 매도 잔량은 현재 호가보다 높은 가격에 걸어둔 매도 주문의 총개수를 말하죠.호가창에서 매도 총 잔량의 위쪽을 보게 되면 체결 창이 보입니다. 여기에서 빨간 숫자와 파란 숫자가 나오는데 빨간 숫자는 위로 산 수량을 말하며 파란 숫자는 아래로 판 수량을 말합니다. 예컨대 체결 창에 빨간 숫자로 5가 나오면서 1만1000원이 됐다면 5주를 매수해 금액이 약간 오른 것이고 파란 숫자로 30이 나오고 1만900원이 됐다면 30주를 매도하여 100원이 떨어진 것이죠.빨간색의 매수 잔량이 많다는 건 시장가보다 더 떨어질 거라 예상하는 세력들이 많다는 얘깁니다. 매수 잔량에 걸어둔 투자자들은 시장가에 살 의지가 없기 때문에 가격이 오르지 않는 거죠.반대로 매도 잔량이 더 많으면 주가가 올라갈 것으로 보는 세력이 많다는 겁니다. 세력이 특정일에 주가를 상승시키기 위해 한 번씩 매도 호가창의 큰 물량을 먹어가는 매수세가 보일 때가 있습니다. 이를 지켜본 투자자들은 수익을 챙기기 위해 호가보다 높은 가격에 매도 주문을 걸죠. 특정 물량이 많이 쌓인 호가를 넘어서면서 주가는 오르게 됩니다.호가창을 보고 주가의 흐름을 예측해 투자하는 방법은 주로 단타 매매에서 사용하는 투자법입니다. 매도물량이 매수물량보다 많으면 무조건 투자해야 한다는 공식으로 투자를 하기보다는 해당 종목에 호재가 있는지, 재무 상태는 탄탄한 지 등 여러 요소를 보고 투자해야 합니다.손희정 기자 [email protected]
매도매수잔량비, 총매도잔량, 총매수잔량이란? (기술적 분석8)
그 이유는
총매도잔량이 높다는 뜻은
자꾸 시장가로 사려는 사람이 많아서
밑에 호가에
예약을 걸어놓는 사람이 적다는 것을 뜻하고
그 말은
매수하려는 심리가 더욱 강하다는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총매도잔량도 어느 정도 수준을 넘어가게 되면
위에 벽이 쌓인 효과를 발휘하게 되어
너무 많이 올라가면 좋지 않다
보통
총매도잔량이
총매수잔량보다 3배 이상 많으면
저항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고
(갑자기 커다란 벽이 나타나면
총매도잔량이 확 올라가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총매수잔량이
총매도잔량보다 3배 이상 많으면
지지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갑자기 커다란 지지대가 나타나면
총매수잔량이 확 올라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제일 좋은 것은
적당한 선에서
총매도잔량이 총매수잔량 보다
높은 상태이다.
[상한가 주식의 매매전략] ③매수와 매도잔량 비율 계산하라
상한가 진입주식의 매매기법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한가 주식의 매도세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매도세의 강도가 상한가 유지에 가장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좋은 재료라도 계속 주식을 팔려는 매도세가 나온다면 결국 매수세는 무너지고 상한가는 깨지게 된다. 기관투자가 보유 물량이 많은 대형주가 좋은 재료에도 상한가 유지가 어려운 것이 바로 이 매도세 때문이다.
특히 상한가를 주도적으로 만든 당일 매집세력이 상한가에 팔겠다는 의지를 보인다면 상한가의 유지는 매우 어렵다. 이런 당일 매집세력의 의지는 당일 매수 1위 창구가 매도 1위로 나타나는지 여부로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전일 상한가로 끝난 주식 또는 금일 상한가가 기대되는 주식의 첫번째 매도세는 시가에 팔겠다는 세력이다. 이 매도세는 아침 동시호가에 팔자 주문을 내며 동시호가에 매수잔량이 압도적으로 많지 않으면 차익 실현을 위해 매도한다. 소액투자자들은 동시호가 시간(8∼9시)에 주문을 내지만 매도물량이 큰 매도세력은 동시호가(9시)에 임박하여 주문을 내는 것이 보통이다.
보통 잔량기준으로 매수잔량이 매도잔량의 20배 정도일 경우는 시가가 상한가로 시작하더라도 언제나 상한가가 깨질 수 있는 잔량 수준이다. 하지만 9시가 가까워질수록 매수잔량이 급속히 증가하고 매도잔량은 취소주문에 의해 오히려 감소해 매도잔량과 매수잔량의 비율이 1대 30 정도로 증가하게 되면 시가부터 종가까지 상한가를 유지하는 확률은 그만큼 높다.
따라서 만일 동시호가에 매도하려는 투자자는 동시호가 때 일단 매수잔량이 매도잔량의 10배 이상인지를 확인하고 9시가 가까울수록 매수잔량의 증가 비율이 높아지는지에 주목해야 한다.
이 경우 동시호가에 곧바로 매도하는 것보다 동시호가에 출회되는 매도물량을 확인하고 매도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급등주를 너무 빨리 매도하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는 전략이다. 하지만 전일 상한가를 기록한 주식은 다음날 매수잔량에 허수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둬야 한다.
두번째 매도세는 동시호가에 형성되는 시가를 보고 거래량에 비해 상한가 매수잔량이 많지 않으면 매도를 하겠다는 세력이다. 이들 세력은 상한가를 계속 유지할 것이라는 확신이 있으면 내일 장까지 주식을 보유하고 가지만 상한가가 깨질 가능성이 있으면 미련 없이 매도하여 차익을 실현하겠다는 세력이다. 시가에 상한가에 진입한 주식이 거래량이 늘면서 매도물량이 나오는 것은 다 이 매도세 때문이다.
두번째 매도세가 증가하지 않으려면 동시호가 막판에 큰 단위의 매도물량 출회가 없어야 하고 시가에 상한가를 기록한 후 상한가 매수잔량이 증가해야 한다. 이런 모습을 보이면 시가 상한가가 깨어지지 않고 상한가를 계속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대로 분석하면 동시호가 막판(9시 가까운 시간)에 큰 매도물량이 출회되거나 시가 이후 계속 거래량이 증가하며 상한가 매수잔량이 감소하면 상한가가 곧 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세번째 매도세는 상한가가 깨어지면 물량을 내놓는 세력이다. 결국 이 매도물량의 힘에 의해 상한가에 재진입하는지 아니면 그대로 상한가를 회복 못하고 매도잔량을 쌓는지가 결정된다. 상한가 매도잔량을 쌓는 매도세력이 바로 이들이다. 그러므로 이 세번째 매도세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매매의 성패를 좌우한다.
네번째 매도세는 상한가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장중에 나오는 차익 실현물량이다. 자신의 주식이 상한가인 것을 보고 매도하는 소액투자자의 물량일 수도 있고 상한가에 영향을 안 주는 한도에서 큰 물량을 처분하려는 세력의 물량도 있다. 물론 이런 큰 물량이 몇 번 나오면 아주 강한 상한가도 추가적인 매도 물량을 불러 상한가가 깨지기도 한다.
위의 매도세는 정상적인 매매의 경우의 매도세에 대한 분석이며 단타차익을 실현하려는 작전세력이 개입된 종목은 매수와 매도가 동일세력에 의해 인위적으로 일어나므로 위와 같은 단편적인 매도세의 분석으로 접근하면 안된다.
출처 : 이코노미스트 575호
권정태 (주)델타 익스체인지 대표([email protected])
작전세력이 매도잔량, 매수잔량 이용하는 방법?
반응형
매도잔량이 많으면
주가가 오르는지
혹은 매수잔량이 많으면
주가가 오르는지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투자를 하실 때
수학공식 같은 어떤 공식을
찾으시려 하지 않으시는 것이
좋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지금처럼
매도잔량이 많으면
주가가 오를지
혹은 매수잔량이 많으면
주가가 오를지
아니면
쌍바닥이 나오면
무조건 주식이 오르는지
혹은 쌍봉이 나오면
무조건 주가가 폭락하는지 등등
만약 이런것들을
공식화해서 생각하다 보면
어느 순간 큰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분명 이런 것들이
아무 이유 없이 존재하는 말들은
아니기 때문에
그러한 말들이 왜 나왔는지
본질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셔야 하고
그 종목의 상황마다
시장의 흐름에 따라
여러 가지 정황들을
퍼즐 맞추듯이
참고해서 판단하셔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런 모든 것들을 참고하며
시장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매도 잔량이 많으면 주가가 오르더라.
이 말이 왜 나왔는지
설명드리자면
그 매도잔량이 허매도인 경우일
것입니다.
시장에서 누구나 진실된
주문만 낸다고 한다면
그러니까
허매도처럼 거짓 주문을 내지 않는다면
분명 매수잔량이 많은 주식이
주가가 뜰 확률이
높을 것입니다.
그러한 정직한 주식들을
예를 들자면
코스피의 우량주들일
것입니다.
우량주들은 매수, 매도 호가 물량의
금액이 너무나도 크기 때문에
허매수, 허매도 주문이
나오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주식시장은 이렇게
보여지는 그대로
매매가 이루어지는 곳이
아니기에
호가창이 정직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하며 보셔야 합니다.
언제나 주식시장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큰 돈을 굴리는 사람이라고
가정을 하고 보신다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이해하기 쉽게
극단적인 예로 설명을 드리면,
만약 어떤 종목이 정말
좋은 종목이고
알고 있는 호재가 있어서
이 종목을 10억원어치를
살 계획 중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해당 종목이
평소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에 대기하고 있는
주문의 금액이
3천만원에서 5천만원 정도라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제가 정직하게
꾸준히 매수한다면
주가를 자연스럽게
올라가게 만들것이고
결국 불필요하게 비싼 금액으로
주식을 매집하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목표 금액만큼 주식을 매집하지도
못했는데
점점 해당 종목게 관심 갖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주가가 폭등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지 않기 위해서
아주 오랜 기간 천천히 사는
방법이 있지만
이것은 너무 오래 걸리고
그 전에 호재가 나올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최대한 효율적이고 빠르게
저렴한 가격에 매수하기 위해
허매도 주문을 내는 것입니다.
매도 호가 윗 부분에
그동안 어느 정도 매집해 놓은
2~3억원의 물량을
걸어 놓는다면
매수 호가 잔량은
상대적으로 정말 작게 느껴지면
해당 종목을 들고 있는
투자자들은
엄청난 압박감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그 이유는
2~3억원이나 되는 허 매도
물량을 보며
혹시 종목에 무슨 악재가 있나?
혹은 저 위에 많은 매도
주문을 낸 사람이
기다리지 못하고
밑으로 던지기 시작하면
어떻게 하지?
이런 생각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실제로
허매도 주문이 아닌 경우
2~3억원의 매도 주문을 걸었던
사람이
공격적으로 매도해 버려서
주가가 많이 빠지는 경우도
드물게 있습니다.
허매도 주문을 걸로
위협을 가한다면
이 종목을 들고 있는 투자자들은
심한 압박감에
물량을 점점 뱉어 내고
또한 신규 투자자의 유입도
점점 줄어들게 될 것입니다.
이런식으로 호재가 많은 종목을
미리 알고 누군가가 많은
물량을 매수하려고 한다면
허매도 주문을 냄으로써
주식을 매집할 수 있고
이런 경우
매도 총잔량이 매수 총잔량보다
많으면
오히려 주가가 뜰 수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다양한 케이스를 알기 위해
적은 금액으로 단타를 해보시면
호가창을 봐야 하는데요.
그러면 반대의 경우를
말씀 드리면
허매수로 인해 매수 잔량이 많은 것입니다.
이것도 똑같이 생각해 보겠습니다.
평소 호가창에
매수 매도 잔량이
3~5천만원인 종목을
어떤 사람이 10억을 들고 있는데
이 종목의 악재를 미리 알게 됐거나
목표가에 도달해서
고점에서 물량을 모두 던져야 하거나
또는 다른 종목이 더 빨리 상승할 것 같아서
갈아타야 한다면
물량을 많이 들고 있는 사람은
최대한 좋은 가격에 팔고 싶지
헐값이 주식을 처분하기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자신들의 매도물량으로 인해
다른 투자자들이 투매를 하지 않도록
그리고 최대한 매수 주문을 편하게
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줘서
그곳에 자신들의 물량을 모두 던지고
나가야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기 위해 하는 것이
허매수 주문입니다.
허매도 호가창과 마찬가지로
매수 호가창 밑에
실제 매수하질 않을
큰 주문을 걸어 주면
총 매수 잔량은 늘어나게 되고
이제 매도를 내고 수익을 내야
하지 않을까? 하는
투자자들도
매수 호가창 아래 많은 매수
주문이 걸려 있는 것을 보고
안정감을 갖고
매도를 늦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직 매수세가
강하다고 생각하고
새로운 개인 투자자들이 쉽게
진입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환경을 만들어 두고
많은 물량을 털어야 하는 자들은
계속 생기는 신규 주문에
조금씩 조금씩
계속 파는 것입니다.
큰 물량이거나
더 짧은 시간 안에 효육적으로
물량을 처분하기 위해
쓰는 방법 중 한가지는
매도 위에 물량을
한 주씩 사는 단주 거래로
상방을 계속 유도하면서
밑에 허 매수를 깔아 두고
꾸준히 물량을 쌓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개인 투자자들이
어느정도 매수를 할 때마다
새롭게 매도 주문을 내기 때문에
매도 총 잔량은 적게 보이고
매수 잔량은 많지만
결국엔 현재가 매도 물량이
계속 쏟아지면서
그 물량을 개인 투자자들이
모두 받아내게 되는 것입니다.
그냥 체결 창만 본다면
온통 빨강색으로 매수 체결만
보이기 때문에
더 크게 올라 갈 수도 있다고
착각을 하는
개인투자자들이
고점에서 물량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런 모든 것들은
절대 공식화해서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모든 상황들을
퍼즐 맞추듯이
참고하시면서
큰 그림을 보며
매매하셔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해당 종목의 재료와 포지션입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면
내가 공부한 결과
앞으로 미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발휘할 수 있는지
그리고 재무 상태는 탄탄한지
또한 차트상 고점은 아닌지
그리고 지지선이 잘 받쳐주고 있는지
하는 것들입니다.
참조 : 일조TV
반응형
총 매도잔량 총 매수잔량 뜻 현재가의 상승 관계
반응형
호가창을 얘기할 때 캔들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도 좋지만 총 매도잔량과 총 매수잔량의 의미를 아는 것도 중요합니다. 사람들의 심리도가 반영되어 있으며 주가흐름의 예측에 신호를 주기 때문입니다. 호가창을 보면 쌀 때 사서 비싸게 팔아야 한다 수요와 공급 판매자 소비자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여러가지를 알 수 있습니다.
총매수잔량 총매도잔량 주가변화
총 매도잔량, 총 매수잔량
매도잔량과 매수잔량은 호가창에서 매수와 매도를 위해 신청한 종목의 갯수로써 아직 거래가 성립되지 않는 것들의 총합입니다.
호가창의 매도잔량과 매수잔량으로 사람들의 심리적인 측면을 파악할 수 있다고 하는데 매수잔량의 수치가 높다면 매수하려는 사람들이 몰린 것이고, 매도잔량의 수치가 높다면 매도하려는 사람들이 몰린 것입니다.
수요와 공급과의 관계
수요와 공급은 정해진 재화 즉 유한한 갯수의 제품에서 그 제품을 원하는 수요자와 그 제품을 팔려는 공급자와의 관계를 말합니다.
재화나 제품의 수는 한정적인데 이것을 원하는 수요자가 많을수록 가격은 오르고, 가격을 낮추기 위해 공급을 늘리면 나중에는 원하는 수요자보다 재고가 더 많이 남게 됩니다.
즉, 팔려는 공급이 많아지면 가격이 낮아지고, 사려는 수요가 많아지면 가격이 높아집니다.
하지만, 이것을 호가창의 매도잔량, 매수잔량에 대입하면 맞지 않습니다.
사려는 매수자가 많아지면 당연히 주가는 올라가야 하지만, 반대로 주가는 내려가게 됩니다.
반대로 팔려는 매도자가 많아지면 당연히 주가는 내려가야 하지만, 반대로 주가는 올라가게 됩니다.
판매자의 입장, 장사꾼의 눈으로 보자
장사를 하는 사람들은 팔려는 제품을 정하면 싸게 매입하여 필요한 곳 수요자가 있는 곳에서 비싸게 팝니다.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
호가창의 총 매도잔량과 총 매수잔량을 판매자의 입장에서 다시 보면 이해가 됩니다.
매수호가를 보고 싸게 사서 매도호가에서 비싸게 판다.
매도호가의 총매도잔량이 올라가면 팔려는 사람들이 많은 것, 팔아서 돈을 벌려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종목을 매도한다는 의미는 손절이 아닌 다음에야 차익을 만드는 행위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돈을 벌려는 사람들이 몰리기에 주가는 올라가게 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총매수호잔량에 사람들이 몰리면
해당 주가는 이미 바닥권으라 생각한 사람들이 많다는 신호라고 보는 분들도 있습니다.
반응형
[주식] 현재가 창에서 매도. 매수 총잔량으로 파악 하는법 상승시점 파악: 매수시점 > 기타
현재가창 공부 자료입니다. 주식을 함에 있어서 차트보다도 더 가장 비중을 크게 두어야 할 것이 현재가창이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차트는 후행성으로 본다. 역시 제일 빠른 것은 현재가창이다. 이 말은 현재가창의 움직임이 거래이며 차트로 반영되기 때문이다. 즉 모든 차트는 거래가 이루어지면서 그려 나간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가창의 위 아래 10호가의 움직임을 어느정도 파악 할 수 있으면 틱이나 분차트의 움직임을 어느정도 예시 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런것은 연습을 통해 감지가 가능하다. 주식에 있어서 100%라는 것은 없지만 50 : 50 확률면에서 적중률을 더 끌어 올리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현재가창의 움직임이 중요한 것이다. 현재가 화면에서 보여지는 매수와 매도수량의 변화를 읽는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매수비율이 높아서 좋을수도 있고 나쁠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주식을 하려면 읽지 않을수도 없다. 결론은 실전경험과 공부를 많이 해야만 하는 길밖에 없다.
장중에는 상승할 위치에 있는 주식이면서 매수수량이 점차 점증하는 것이 정상적이고 믿어야 할 매수비율이다. 그러나 아무리 상승할 위치에 있는 주식에 매수수량이 급증했다 해도 실제로 주가가 상승한 만큼 상승하지 못한다면 믿어서는 안 될 매수비율이다. 상승할 자리에서 매수세가 들어오는 것이 정상이고, 매수세가 들어오면서 본격 상승해야 정상이라는 뜻이다. 오히려 상승할 위치에서 매수세가 줄어들면서도 상승을 계속하거나 하락하지 않고 횡보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큰 폭으로 상승하는 것이 보통이다.
일반적으로 상승추세에서 거래물량이 총매도 잔량 > 총 매수 잔량 이라면 좋게 본다. 이때 체결되면서 바로바로 상승하면 매수세가 강하다고 말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상승추세에서 총매도 잔량 < 총매수 잔량 이라면 허매수로 보기에 나쁘게 본다. 나쁘게 본 이유는 주가가 상승을 하면 상관없지만 하락을 하는데도 총매수 잔량만 많아져 매수 유혹만 유도하기 때문이다. 주문동향에서 가장 경계해야 될 것은 첫째, 상승할 것 같은 또는 상승과 하락의 경계점의 위치에서 매수잔량이 늘면서도 상승하지 못하는 경우이고, 둘재는 우선 매수호가에 대량주문을 시위하듯 내는 주문이다. 직접 매도호가에 매수하지 않고, 매수가격에 대량주문을 냄으로써 남들에게 가격을 올리도록 유도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경우 자신들의 매도물량이 처리된 즉시, 매수주문을 취소하면서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는 것이 보통이다. 투매보다 안 좋은 것이 계단식 하락이다. 슬쩍슬쩍 올리면서 하락을 시키기 때문이다.(개미들을 꼬득이고 자기는 팔아먹구) 그 때 총잔량을 보면 십중팔구 총매수잔량이 많을 것이다. 차트상으로는 계단식 하락이 나온다. 계단식 상승을 할 때는 반대로 개미들 팔아먹게 만들고 세력들은 물량받아 가면서 주가를 야금야금 올리니까 촘매도 잔량이 더 많이 나온다. 현재가 호가창을 보면 XX00원.. XX50원… XX10원등 특정가격대에서 대량의 물량이 쌓여 있다. 이런 단가를 라운드 피겨 단가라고 한다. 이런 물량은 자연스런 현상이기 때문에 절대 쫄아서는 안된다. 라운드 피겨 가격대는 어차피 한번 깨고 가야 하는 상황인만큼 만약 이 가격대 물량을 소화 못하고 하락을 해버리면 한 참의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일단 깨진 가격대는 차후 중요한 저항대 가격이 되므로 절대적일 수는 없지만 필히 기억해 두길 바란다. 호가창에서 물량이 어느 라운드 피겨 단가에 많이 쌓이고 가격이 어떻게 움직일때 호가의 물량들이 어떤식으로 변하는지, 다른 사람들의 심리상태를 비교해서 접근해 보면 좋다. 또한 공격적 매매를 하는 투자자는 호가 물량에 의존하기보다는 대기하고 있다가 순간순간 매매에 참여하기 때문에 이 경우도 생각해 봐야 한다. 매수 호가잔량이 현재 가격대 밑에만 많이 깔려있고 매도 호가잔량이 현재 가격대 위에만 많이 깔려있는 경우, 가격은 적극적 참여자가 있기전까지는 횡보를 한다. 그러다 현재 가격대 위아래 가격대 물량들의 체결 공방이 치열해 지면서 주가 방향이 정해진다. 하지만, 공매도와 공매수 또는 허수 주문의 경우, 주가 방향을 파악하기 어렵게 된다. 그래서 예전에 주문 수량만 나왔던 것을 호가방식으로 전환 했지만, 오히려 더 심해진것 같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물량 체결 의사가 있는지 없는지를 알수 있으며, 그로 인해 허수주문인지를 파악할수 있다. 즉, 호가와 체결수량을 지켜보면서 일정부분의 많은 물량이 갑자기 소진했을 경우 체결수량을 체크할때, 체결이 되지 않았다면 이 주문은 허수로 인정해야 하고 그럼 이종목을 누군가 인위적으로 개입하려는 뜻이 있다고 판단하여 앞으로 나오는 대량주문은 허수로 보면 된다. 매도잔량이 많으면서 올라갈 경우, 단타 목표가는 어떻게 정할까? 거의 대부분이 안전한 방법으로 매도잔량이 가장 많은 호가 바로 밑의 매도가격에 매도주문을 걸어놓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당일 매수 기세가 강하다면, 매도잔량이 가장 많은 호가를 일시적이라도 돌파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그 호가보다 한 두 호가 정도 높여서 매도주문을 걸어 놓는다. 하지만 자신이 없다면 매도잔량이 가장 많은 매도호가보다 낮은 호가에 주문을 걸어 놓으면 된다. 상한가 진입 시점이 가까워지면 현재가 호가창에서 상한가 바로 밑 대기물량을 점검해야 한다. 상한가에 진입할 현재가창 모습은 대부분 좋다고 생각한다. 상한가 진입직전에 상한가 갈 확률이 높을수록 또는 지키고자 하는 상한가라면 상한가 바로 밑 대기 호가물량들을 보게 되면 대기 물량이 적은게 특색이고 , 대기 물량이 많다면 (예:상한가 매도량 1,000,000주에서 600,000만주 이상) 그만큼 상한가 갈 확률이 없어진다. 보통 상승률이 좋은 경우 상한가 단가를 한번씩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상한가 밑 아래 호가 매도잔량이 50~60% 가 발생 된다면 그 순간 매도에 임한다. 상한가에서 매도주문이 없으면 안전감을 주고 또한 매수하지 못한 사람의 경우 급한 마음에 상한가에 무리하게 주문을 넣게된다. 이때 상한가의 매수 잔량이 많으면 좋겠지만, 갑자기 상한가 매수잔량이 줄어들면서 상이 풀리면 갑자기 없던 물량이 쏟아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일시적으로 뒤로 물리게 되는데 이때 이종목이 내일 추가적으로 더 갈지의 결정이 난다. 거래소는 최소 3~4%내외, 코스닥은 2~3%내외로 밀릴경우 매수 포인트로 잡지만, 그이상 밀리면 일차적 손절을 하고 대기했다 재차 상한가 진입할때 매수한다. 또한 상한가가 풀리지 않을까 하는 기대와 조금 저렴하게 구입하고 싶다는 사람이 많으면 상한가 호가에 물량이 없고 그바로 아래에 물량이 쌓이게 되는데 이경우 한번 밀리면 다시 상한가 들어가기 힘든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급한사람이 많아야 상한가에도 사려고 하는데 그런 사람보다 빠질때 사려는 사람이 많다면 초기 매수한 사람의 경우 밀릴수 있다는 불안감에 처분을 하게 되고 여기서 가격이 추가로 밀리면 사려는 사람은 물량을 뺄것이고 보유자는 빠른 처분을 하게 되어 다시 끌어올리기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현재가창 보는법과 더불어 차트와 접목시키면 훌륭한 무기가 되어 내일의 나의 모습이 달라질 것이다. 호가창 매매법 현재가창 주요 체킹사항 장종료 후 나는 단 하루도 빠짐없이 조건검색 시스템을 이용, 전 종목 차트를 검색합니다.그런 다음 양음양 패턴, 역망치형, 허매도 양봉 등 각 조건별로 차트 우량주를 다시 한 번 검색하면서 종목을 압축해 나갑니다.그렇게 대략 20여 종목을 압축한 후 창구분석과 기본적인 가치분석을 통해 익일 집중적으로 다룰 종목 10 종목을 뽑고는 관심종목 화면에 셋팅을 마칩니다. 장종료 후 나는 단 하루도 빠짐없이 조건검색 시스템을 이용, 전 종목 차트를 검색합니다.그런 다음 양음양 패턴, 역망치형, 허매도 양봉 등 각 조건별로 차트 우량주를 다시 한 번 검색하면서 종목을 압축해 나갑니다.그렇게 대략 20여 종목을 압축한 후 창구분석과 기본적인 가치분석을 통해 익일 집중적으로 다룰 종목 10 종목을 뽑고는 관심종목 화면에 셋팅을 마칩니다. 이제 당일 개장을 맞습니다. 전일 세팅된 종목을 당일 예상 매수가를 미리 정해둔 상태여서 1분봉을 통해 예상 매수가에 근접한 종목만 접근합니다. 이제 주문에 앞서 마지막 확인을 위해 현재가창을 엽니다. 그리고는 항상 하던 절차대로 빠른 속도로 현재가창을 읽어 나갑니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어떤 순서대로 현재가창을 체킹하는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째, 호가공백 유무 확인 가장 먼저 매수, 매도호가에 공백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호가공백 유무의 확인은 매매주문시 위험성을 피하는 측면도 있지만 특정세력의 개입여부와 해당 세력의 목적이 매도인지, 매집인지를 가늠할 수 있게 합니다. 만약 현재 매수 1호가가 2,500원인 종목이 있다라고 가정할 때 해당 종목의 매수 2호가 가격대가 2,400원 이라면 당신은 어느 가격대에 매수 주문을 걸겠습니까? 막상 문제를 제시하면 2,410원, 2,420원 등등 매수가격대에 대한 진지한 접근이 있겠지만 실전에서는 매수 1호가와 매수2호가 사이에 4%의 엄청난 호가 공백 을 의식하고 접근하는 투자자들은 그렇게 많지 않을 것입니다. 둘째, 매물이 많은 가격대 확인 매물이 많은 가격대를 확인한다는 것은 매물벽 유무와 세력의 개입여부를 확인하는 것이고, 이것은 곧 지지선과 저항선을 확인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현재가 창에서 특정 가격대에 큰 물량이 있다는 것은 현재가에서 가격지지대 또는 저항선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매물벽 가격대를 충분히 고려해서 매매주문을 내야 합니다. 셋째, 특정가격대가 있는지 확인 특정가격대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의미 있는 가격대가 있습니다. 가령 끊어지는 가격대가 그러할 것입니다. 2,000원, 3,000원, 혹은 10,000원, 12,000원 등 숫자가 떨어지는 가격대가 호가에 존재한다면 그곳에 물량이 집중될 수가 있고, 그것은 단기 저항선, 지지선 으로 작용을 하게 됩니다. 간혹 의미 있는 가격대가 무너질 경우 지지, 저항선 돌파로 간주하고 추격매수, 매도하는 초보 트레이더들이 많은데 특정 가격대는 쉽게 깨어지지 않습니다. 의도적으로 당일의 저항선 가격대를 돌파한 후 더 많은 매물을 쏟아내는 세력이 많은 만큼 특정가격대를 이탈할 경우 오히려 반대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넷째, 잔량을 파악한다. 현재 주가 대비 잔량을 확인해야 합니다. 가령 총 매도 잔량이 총 매수 잔량보다 많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 상태라면 세력들이 매도호가에 큰 물량을 얹어 놓고 물량 매집을 하는 모습일 수 있습니다. 반대로 매수 잔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약세 -권을 보인다면 매수호가에 물량을 받쳐 놓고 물량을 정리하는 모습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물량과 주가의 +, -를 판단하는 것보다는 당일 주가의 봉 모양이 양봉인가 음봉인가가 더 중요합니다. 만약 주가가 전일대비 – 약세를 기록함에도 불구하고, 봉은 갭 하락하여 양봉일 수 있습니다. 총 매도 잔량이 많은 가운데 주가는 약세이지만 갭하락 양봉의 모습으로 세력이 매도 호가에 물량을 쌓아 놓고 매집하는 모습일 수 있습니다. 반대로 주가가 전일대비 + 강세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봉은 갭상승하여 음봉일 수 있습니다. 총 매수 잔량이 많은 가운데 주가는 +대이지만 갭상승 음봉의 모습은 세력이 매수호가에 물량을 받쳐 놓고 물량 정리하는 모습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모두 책속에 나오는 내용들이죠.. 많이들 알고 계실꺼에요 현재가창 에서 매수.매도법 실전 매매를 하시면서 현재가 창만 보아도 매수.매도는 충분히 할수 있습니다 다만 주가의 위치를 파악하는 수단으로 분챠트를 잠깐씩 볼 뿐이죠 저 자신도 주로 현재가창을 위주로 매매하고 분챠트는 현재 주가 위치만 보는데 주로 사용 합니다 거래량은 속일수 없다 했습니다 매수.매도 잔량의 이동 으로 주가의 향방을 충분히 짐작할수 있기에 속일수 없는 지표중 하나 이지요 현재가 창에서 매도. 매수 총잔량으로 파악 하는법 상승시점 파악: 매수시점 매 수: 매수총잔량>매도총잔량인 상태에서 매도총잔량 > 매수총잔량 으로 변하는 상태가 연속되는시점 매수가담 : 어느시점 하방 경직성이 확보되는 시기 하락 시점파악 : 매도시점 매 도 :매도총잔량>매수총잔량인 상태에서 매수총잔량이 > 매도총잔량 으로변화는 상태가 연속되는시점 매도가담 어느시점 고점 저항이 연속 되는 시기 현재가창 호가별 매수. 매도 잔량 으로 파악하는법 상승징후 : 매도총잔량이 매수총잔량보다 많은 상태로 변화한 시점에서 상위 매도호가중 큰물량대 매도호가 있으면 그 지점까지 1차 상승예상. 큰 물량대 매도호가가 돌파되면 추가 상승 기대 하락징후 : 매수총 잔량이 많은 상태로 변화한 시점에서 아래 매수호가중 큰 물량대 매수호가가 존재하면 일단 그 지점까지 1차 하락예상 이후 계속 아래호가에 큰 매수량이 쌓이면서 주가상승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더 큰 하락의 징조로 전량 매도 하여야함 100%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만 대부분의 종목들이 상기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아무튼 현재창과 주가차트를 유의깊게 공부하시면 세력의 움직임을 간파하실수 있습니다. 이제 더이상 60권넘게 소장하고 있는 주식책들이 필요없게 됐네요. 혹시 필요하신분 있으시면 헐값에 그냥 드릴려고요. 쪽지 주세요.모든분들 여하튼 행복하고 즐거운 주말되세요 출처: 추후 기재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 님에 의해 2020-10-07 10:54:30 붕우유신-모임 에서 이동됨]
키워드에 대한 정보 매수 잔량 매도 잔량
다음은 Bing에서 매수 잔량 매도 잔량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호가창 단타 매수잔량,매도잔량 무엇을의미할까?
- 호가창 단타
호가창 #단타 #매수잔량,매도잔량 #무엇을의미할까?
YouTube에서 매수 잔량 매도 잔량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호가창 단타 매수잔량,매도잔량 무엇을의미할까? | 매수 잔량 매도 잔량,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