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십자가 야경 | 우리나라 교회에 빨간 네온사인 십자가가 많은 이유 인기 답변 업데이트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교회 십자가 야경 – 우리나라 교회에 빨간 네온사인 십자가가 많은 이유“?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giaoductieuhoc.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ppa.giaoductieuhoc.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TK TV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841회 및 좋아요 24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교회 십자가 야경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우리나라 교회에 빨간 네온사인 십자가가 많은 이유 – 교회 십자가 야경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우리나라에서 야경을 보면 빨간 십자가 불빛들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네온사인 십자가가 많은 이유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교회 십자가 야경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한국의 밤, 왜 이리 무덤이 많지?” – 오마이뉴스 모바일

최근 중국에서 그리스도인들이 많이 산다는 저장성(浙江省)의 종교 당국과 건설 당국이 교회 십자가 설치를 규제하는 조례 제정 절차에 들어갔다고 …

+ 더 읽기

Source: www.ohmynews.com

Date Published: 6/2/2022

View: 7781

교회 십자가 야경 | 우리나라 교회에 빨간 네온사인 십자가가 …

교회 십자가 야경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건축 거장 “한국 야경은 십자가뿐” 탄식에 “전국 교회에…”.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you.xosotanphat.com

Date Published: 12/9/2022

View: 7752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교회 십자가 야경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우리나라 교회에 빨간 네온사인 십자가가 많은 이유.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교회에 빨간 네온사인 십자가가 많은 이유
우리나라 교회에 빨간 네온사인 십자가가 많은 이유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교회 십자가 야경

  • Author: TK TV
  • Views: 조회수 2,841회
  • Likes: 좋아요 24개
  • Date Published: 2019. 10. 7.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rpt1Yrglh_w

건축 거장 “한국 야경은 십자가뿐” 탄식에 “전국 교회에…”

세계적 건축가 아론 탄(47·사진)이 26일 “서울의 야경은 십자가뿐”이라고 탄식했다. 그는 여수엑스포에 참여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중이다. 아론씨의 탄식이 전해지자 네티즌들은 “하늘에서 보는 야경은 십자가 때문에 공동묘지 같다”며 공감했다. “교회들이 정부의 에너지 절약 정책에 역행하고 있다”고 비판하거나 “전국 교회에 와이파이를 설치하면 비싼 통신비용을 아낄 수 있을 것”이라며 비꼬기도 했다.

아론씨는 26일 국내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홍콩은 최첨단 기술이 접목된 아름다운 건축물이 많고, 화려한 야경은 대표적 관광상품이다”라면서 한국의 인상에 대해서는 “도시 야경 속에 빛나는 십자가가 가장 인상적이다”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한국에 올 때마다 십자가는 더 늘어나는 거 같다”며 걱정했다. 이어 “서울의 건축물을 지역에 따라 특성화하고, 좀 더 개성을 살려 지었으면 좋겠다”라고 제안했다.

아론의 서울야경에 대한 분석은 트위터 등을 통해 급속하게 번졌다. 네티즌들은 “비행기를 타고 김포공항에서 보이는 서울의 모습은 온통 무덤인 것 같다”“솔직히 공해다, 이 모습을 보면 예수가 피눈물을 흘릴 거다”라고 공감하면서도 “교회가 세금도 안 내면서 에너지 절약 정책에 역행하고 있다”“전기가 부족한데 밤에는 전국의 교회 십자가 끕시다”라며 전기 절약을 제안하기도 했다.

한 트위터러는 27일 ‘구글맵으로 본 서울시내 교회 분포도’를 만들고 “저기다 와이파이를 설치한다면 전 지역이 무선 인터넷 지역이 된다”라는 재치있는 글을 올렸다. 해당 트윗은 256회 이상 리트윗(재전송)되며 온라인에 급속도로 퍼지고 있다. 네티즌들은 “교회가 전국 편의점보다 더 많다, 아주 건설적인 방안입니다”며“정말 교회가 빛과 소금이 되어서 세상을 밝히겠네요”라며 십자가 야경을 힐난했다.

한편,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원전사고와 중동 사태로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은 가운데 지구촌 최대 행사로 꼽히는‘지구촌 전등끄기’(Earth hour) 행사가 열렸다. 26일 오후 8시30분(각 나라별 현지시간)부터 태평양 피지섬과 뉴질랜드 채섬 아일랜즈를 시작으로 전세계 약 136개국에서 1시간동안 전등을 껐다. 지구촌 수억 명이 이 ‘불끄기’에 동참했다.

☞아론 탄은 한국 T타워(SK텔레콤 본사건물), W 호텔, 쉐라톤그랜드워커힐 호텔, 전주대학교 스타센터 등을 설계했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에서 도시공학을 공부하고 하버드대에서 건축학을 전공했다. 세계적인 건축 설계회사 RAD(Research Architecture Design)의 설립자이자 대표다. 홍콩 AIA 빌딩, 인도 하얏트 호텔, 중국 베이징 국제학교 등도 그의 작품이다.

심영규 기자

‘십자가 가득’ 서울 야경, “왜 이리 무덤이 많지?”

최근 중국에서 그리스도인들이 많이 산다는 저장성(浙江省)의 종교 당국과 건설 당국이 교회 십자가 설치를 규제하는 조례 제정 절차에 들어갔다고 한다. <미국의소리>(VOA)에 따르면 ‘종교 건축 관리 조례(안)’에는 십자가를 교회 꼭대기가 아닌 본당 정면에 설치해야 하며 십자가 높이도 교회 건물의 10분의 1로 제한하고, 십자가 색깔도 교회 건물들과 어울려야 한다고 적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미국 화교들의 종교 단체인 ‘대화원조협회(對華援助協會)’는 “교회 십자가 철거는 중국에서 그리스도교의 인지도를 축소해 발전 추세를 막으려는 전략의 일환”이라면서 반발하고 있다.

이는 저장성 원저우(溫州)에서 지난해 7월 교회당 십자가 철거를 둘러싸고 그리스도인들과 경찰 간에 유혈 충돌이 빚어져 상당수 신자들이 부상을 당하기도 한 사태와 더불어, 갈수록 심화되는 중국 당국과 교회 사이의 긴장 관계를 드러내고 있다. 사실 그리스도교는 현재 중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종교로, 향후 10년 내에 신자 수가 1억 6000만 명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 영화 <도쿄 택시>에서 택시 타고 한국에 온 일본인 주인공들은 서울 야경의 십자가를 보면서 공동묘지의 십자가로 착각한다. 그러면서 “왜 이리 무덤이 많지?”라고 말한다. (영화 <도쿄 택시> 갈무리)

대도시의 밤을 밝히는 교회 십자가 첨탑…그 공해

십자가 설치 규제에 대한 논란을 보며 문뜩 지난 2011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교회 십자가와 첨탑을 ‘인공조명에 의한 빛 공해 방지법(아래 빛공해방지법)’ 제정안에 적용시킬 것인가 논의할 때가 생각난다. 당시 교계 보수 단체들은 “십자가를 끄는 것은 교회를 부정하는 것이며 한국교회의 존재감을 무력화하는 발상으로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라고 반발했다.

그때 환경부장관이 “밤하늘에 교회의 십자가만 가득하게 보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발언을 했다가 뭇매를 맞았다. 결국 2013년 2월부터 시행된 ‘빛공해방지법’ 시행령 적용 대상에서 교회 십자가와 첨탑을 제외시켜야 했다.

영화 <도쿄 택시>에 보면 택시 타고 한국에 온 일본인 주인공들이 서울 야경의 십자가를 보면서 “왜 이리 무덤이 많지?”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온다. 한국의 도심지 밤 풍경을 하늘에서 보면 마치 공동묘지 같다고 할 만큼 ‘십자가 공해’다.

최근에 야간의 ‘빛 공해’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지자체에서 관련 조례를 제정하는 등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앞에서 얘기한 ‘빛공해방지법’은 물론 ‘옥외광고물 등 관리법’에 의해서도 제재를 받지 않아 밤새 붉게 빛나는 십자가 조명 때문에 수면을 방해받는다는 민원이 있기도 한 실정이다.

이런 상황 앞에 개신교 일각에서 십자가 조명의 조도를 낮추자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실제로 안양시에서는 기독교 단체 연합회인 시목회와 협의 끝에 지난 2012년부터 심야 시간(오후 11시부터 다음날 오전 4시까지) 십자가 소등 운동을 벌이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큰 십자가 철탑 100여 개를 예산을 지원해 철거했다. 2010년 도심을 강타한 태풍 ‘곤파스’로 안양 시내에서 20여 개의 교회 철탑이 쓰러지거나 날아간 사고를 겪고 난 뒤였다.

십자가는 옥외광고물?

언제부터 한국교회에 이런 십자가 첨탑 경쟁이 불었을까. 신·구교 합쳐 전 국민 대비 그리스도교 신자 비율이 30%에도 미치지 못하는 나라인데도 세계 10대 대형 교회의 절반이 몰려 있는 ‘메가처치’ 왕국, 소위 교회마다 ‘삼박자 축복’이 외쳐지던 외형적 급성장기와 맞물려 있다고 본다. 그런 성장기에는 성장기대로 교회로 신자들을 모으기 위해 십자가를 드높이 세워야 할 경쟁이 필요했다. 사회의 모든 것이 팽창하던 경제성장 시대에는 교회도 호황기였고, 주목을 끄는 것 역시 중요했다.

하지만 2000년에 들어서면서 성장의 호황기가 지나갔다. 그러자 이제는 다른 양상의 신자 쟁탈전을 펼치듯 첨탑 경쟁이 펼쳐지고 있는 실정이다. ‘옥외광고물 등 관리법’에선 교회 십자가를 기념물이나 상징물로 보아 옥외광고물로 규정할 수 없다고 하지만, 이미 첨탑 십자가는 옥외광고물 외 다른 역할을 하지 않고 있다.

▲ 반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The starry night, 1889). 별이 빛나는 고을의 집집마다에서는 창문에서 불빛이 새어 나오는데, 유독 첨탑의 교회만 불이 꺼져 있다. (사진 출처 위키미디어공용)

낮은 곳으로 향했던 예수, 높은 곳만 쳐다보는 메가처치

예수께서 처형당하셨던 십자가는 무자비한 권력이 휘두르는 폭력과 거기에 희생당한 자의 저항(부활)의 의미를 담고 있다. 하지만 한국교회에서 십자가는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르라’는 예수의 뜻은 사라지고 만복을 가져다주는 부적처럼 쓰이기까지 한다. 2000년 전 갈릴리 땅에서 펼쳐졌던 예수 운동은 끝없이 낮은 곳으로 향하는 것이었는데, 2000년 후 한국교회의 예수 십자가는 한없이 높은 곳만 쳐다보고 있다. 대형 교회, 소위 메가처치의 첨탑은 무슨 바벨탑 꼭대기를 지키는 권력과 자본의 상징물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여기에서 사도바울이 외친 십자가의 복음(고전 1:18~24)은 지금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일까. 표징을 요구하는 유대인들이나 세속적 지혜를 찾는 그리스인들처럼 십자가가 그저 어리석은 걸림돌로 여겨지고 있지는 않는가. 고흐의 그 유명한 그림 <별이 빛나는 밤>을 보면 제목처럼 별이 빛나는 고을의 집집마다에서는 창문에서 불빛이 새어 나오는데, 유독 첨탑의 교회만 불이 꺼져 있다.

이 그림만이 아니라 고흐의 다른 그림에서도 교회는 모두 불빛이 나오지 않는데, 복음적 생명력을 잃어버린 그 당시 그리스도교에 대한 고흐 나름의 비판적 시각이 담겨져 있다고 본다.

고흐 시대만 그러할까. 지난해였다. 평소에 존경하는 종교학자 길희성 교수를 만나러 강화도 심도학사(尋道學舍)를 찾아갔었다. 내 박사 학위 논문 <예수 그리스도의 장애인관과 교회의 장애인 사업에 관한 인식 연구>를 전달하고 차를 마시며 환담하는 가운데 자연스레 한국 그리스도교 현실과 교회 개혁으로 주제를 옮겼다.

그때 인상에 남는 코멘트가 “한국 그리스도교, 특히 개신교는 굳이 개혁의 채찍을 휘두르지 않아도 스스로 무너질 것으로 양식 있는 이들은 다들 그렇게 보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미 광고 효과조차 없을 만큼 오도된 첨탑 십자가만큼이나 ‘짠맛을 잃은 소금’처럼 되어 버린 교회 현실에 대한 뼈아픈 진단이었다.

사회 복음화를 위한 선교의 본래 취지는 사라지고, 십자가 공해라 할 정도로 개별 교회 성장의 수단으로 전락해 버린 본말 전도의 현실. 그래서 종교 탄압을 목적으로 하는 중국 당국의 규제와는 다른 의미로, 한국교회의 첨탑 십자가 경쟁도 규제할 필요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물론 교회 스스로 나서면 최선이지만, 자율적인 규제가 힘들다면 시민사회적 압박도 필요하다고 본다.

십자가는 첨탑이 아닌 가슴속에 모셔야

문득 시인 윤동주의 ‘십자가’라는 시가 떠오른다.

쫓아오던 햇빛인데,

지금 교회당 꼭대기

십자가에 걸리었습니다. 첨탑(尖塔)이 저렇게도 높은데,

어떻게 올라갈 수 있을까요. 종소리도 들려오지 않는데

휘파람이나 불며 서성거리다가, 괴로웠던 사나이,

행복한 예수 그리스도에게처럼

십자가가 허락된다면 모가지를 드리우고

꽃처럼 피어나는 피를

어두워 가는 하늘 밑에

조용히 흘리겠습니다.

이 시에서 윤동주는 살아생전에는 인류의 모든 짐을 지고 괴로워하셨지만 그래도 십자가에 못 박혀 희생되셨기에 오히려 행복했을 청년 예수를 그리며 자신에게도 그런 희생의 십자가가 허락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그리고 결국 그는 식민지 시대의 암흑기 한 가운데에서 민족의 아픔을 껴안은 속죄의 어린양으로 일본 후쿠오카 감옥에서 죽임을 당했다. “모가지를 드리우고 꽃처럼 피어나는 피를 어두워 가는 하늘 밑에 조용히 흘리며” 그가 그토록 닮기를 소망했던 청년 예수, 33세에 돌아가셨던 그분보다 더 젊은 나이 28세에! 교회가, 그리스도인들이 참으로 십자가를 모실 곳은 교회 첨탑이 아니라 시인 윤동주처럼 가슴 깊은 곳, 삶 한가운데, 자신의 죽음과 함께여야 할 것이다.

*이 글은 <오마이뉴스>, <가톨릭프레스>에도 기고했습니다.

정중규 / 대구대학교 한국재활정보연구소 부소장. 정책네트워크 내일 장애인행복포럼 대표

“한국의 밤, 왜 이리 무덤이 많지?”

큰사진보기 ▲ “왜 이리 무덤이 많지?” 영화 <도쿄 택시>에서 택시 타고 한국에 온 일본인 주인공들은 서울 야경의 십자가를 보면서 공동묘지의 십자가로 착각한다.(영화 <도쿄 택시> 한 장면 갈무리) ⓒ 정중규 관련사진보기

큰사진보기 ▲ “쫓아오던 햇빛인데, 지금 교회당 꼭대기 십자가에 걸리었습니다” 대구대교구 주교좌 계산성당 ⓒ 정중규 관련사진보기

쫓아오던 햇빛인데,

지금 교회당 꼭대기

십자가에 걸리었습니다.

첨탑(尖塔)이 저렇게도 높은데,

어떻게 올라갈 수 있을까요.

종소리도 들려오지 않는데

휘파람이나 불며 서성거리다가,

괴로웠던 사나이,

행복한 예수 그리스도에게처럼

십자가가 허락된다면

모가지를 드리우고

꽃처럼 피어나는 피를

어두워 가는 하늘 밑에

조용히 흘리겠습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에도 함께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에서 그리스도인들이 많이 산다는 저장성(浙江省)의 종교 당국과 건설 당국이 교회 십자가 설치를 규제하는 조례 제정 절차에 들어갔다고 한다. 미국의 소리(VOA)에 따르면 ‘종교건축관리조례(안)’에는 십자가를 교회 꼭대기가 아닌 본당 정면에 설치해야 하며 십자가 높이도 교회 건물의 10분의 1로 제한하고, 십자가 색깔도 교회 건물들과 어울려야 한다고 적시하고 있다.이에 대해 미국 화교들의 종교 단체인 ‘대화원조협회(對華援助協會)’는 “교회 십자가 철거는 중국에서 그리스도교의 인지도를 축소해 발전 추세를 막으려는 전략의 일환”이라면서 반발하고 있다.이는 저장성 원저우(溫州)에서 지난해 7월 교회당 십자가 철거를 둘러싸고 그리스도인들과 경찰 간에 유혈 충돌이 빚어져 상당수 신자들이 부상을 당하기도 한 사태와 더불어 갈수록 심화되는 중국 당국과 교회 사이의 긴장 관계를 드러내고 있다. 사실 그리스도교는 현재 중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종교로, 향후 10년 내에 신자 수가 1억6000만 명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십자가 설치 규제에 대한 논란을 보며 문뜩 지난 2011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교회 십자가와 첨탑을 ‘인공조명에 의한 빛공해방지법(아래 빛공해방지법)’ 제정안에 적용시킬 것인가 논의할 때가 생각난다. 당시 교계 보수단체들은 “십자가를 끄는 것은 교회를 부정하는 것이며 한국 교회의 존재감을 무력화하는 발상으로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라고 반발했다.그때 환경부 장관이 “밤하늘에 교회의 십자가만 가득하게 보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발언을 했다가 뭇매를 맞았다. 결국 2013년 2월부터 시행된 ‘빛공해방지법’ 시행령 적용 대상에서 교회 십자가와 첨탑을 제외시켜야 했다.영화 에 보면 택시 타고 한국에 온 일본인 주인공들이 서울 야경의 십자가를 보면서 “왜 이리 무덤이 많지?”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온다. 한국의 도심지 밤풍경을 하늘에서 보면 마치 공동묘지 같다고 할 만큼 ‘십자가 공해’다.최근에 와 야간의 ‘빛 공해’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지자체에서 관련 조례를 제정하는 등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앞에서 얘기한 ‘빛공해방지법’은 물론 ‘옥외광고물 등 관리법’에 의해서도 제재를 받지 않아 밤새 붉게 빛나는 십자가 조명 때문에 수면을 방해받는다는 민원이 있기도 한 실정이다.이런 상황 앞에 개신교 일각에서 십자가 조명의 조도를 낮추자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실제로 안양시에서는 기독교단체연합회인 시목회와 협의 끝에 지난 2012년부터 심야 시간(오후 11시부터 다음날 오전 4시까지) 십자가 소등 운동을 벌이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큰 십자가 철탑 100여 개를 예산을 지원해 철거했다. 2010년 도심을 강타한 태풍 ‘곤파스’로 안양 시내에서 20여개의 교회 철탑이 쓰러지거나 날아간 사고를 겪고 난 뒤였다.언제부터 한국 교회에 이런 십자가 첨탑 경쟁이 불었을까. 신·구교 합쳐 전국민 대비 그리스도교 신자비율이 30%에도 미치지 못하는 나라인데도 세계 10대 대형 교회의 절반을 몰려있는 ‘메가처치’ 왕국, 소위 교회마다 ‘삼박자 축복’이 외쳐지던 외형적 급성장기와 맞물려 있다고 본다. 그런 성장기에는 성장기대로 교회로 신자들을 모으기 위해 십자가를 드높이 세워야 할 경쟁이 필요했다. 사회의 모든 것이 팽창하던 경제성장 시대에는 교회도 호황기였고, 주목을 끄는 것 역시 중요했다.하지만 2000년을 들어서면서 성장의 호황기가 지나갔다. 그러자 이제는 다른 양상의 신자 쟁탈전을 펼치듯 첨탑 경쟁이 펼쳐지고 있는 실정이다. ‘옥외광고물 등 관리법’에선 교회 십자가를 기념물이나 상징물로 보아 옥외광고물로 규정할 수 없다고 하지만, 이미 첨탑 십자가는 옥외광고물 외 다른 역할을 하지 않고 있다.예수께서 처형당하셨던 십자가는 무자비한 권력이 휘두르는 폭력과 거기에 희생당한 자의 저항(부활)의 의미이다. 하지만 한국 교회에서 십자가는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르라’는 예수의 뜻은 사라지고 만복을 가져다주는 부적처럼 쓰이기까지 한다. 2000년 전 갈릴리 땅에서 펼쳐졌던 예수운동은 끝없이 낮은 곳으로 향하는 것이었는데, 2000년 후 한국 교회의 예수 십자가는 한없이 높은 곳만 쳐다보고 있다. 대형 교회, 소위 메가처치의 첨탑은 무슨 바벨탑 꼭대기를 지키는 권력과 자본의 상징물처럼 느껴지기도 한다.여기에서 사도 바울이 외친 십자가의 복음(1코린 1,18~24)은 지금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일까. 표징을 요구하는 유다인들이나 세속적 지혜를 찾는 그리스인들처럼 십자가가 그저 어리석은 걸림돌로 여겨지고 있지는 않는가. 고흐의 그 유명한 그림 을 보면 제목처럼 별이 빛나는 고을의 집집마다에서는 창문에서 불빛이 새어 나오는데, 유독 첨탑의 교회만 불이 꺼져있다.이 그림만이 아니라 고흐의 다른 그림에서도 교회는 모두 불빛이 나오지 않는데, 복음적 생명력을 잃어버린 그 당시 그리스도교에 대한 고흐 나름의 비판적 시각이 담겨져 있다고 본다.고흐 시대만 그러할까. 지난해였다. 평소에 존경하는 종교학자 길희성 교수를 만나러 강화도 심도학사(尋道學舍)를 찾아갔었다. 내 박사학위 논문 를 전달하고 차를 마시며 환담하는 가운데 자연스레 한국 그리스도교 현실과 교회 개혁으로 주제를 옮겼다.그때 인상에 남는 코멘트가 “한국 그리스도교, 특히 개신교는 굳이 개혁의 채찍을 휘두르지 않아도 스스로 무너질 것으로 양식 있는 이들은 다들 그렇게 보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미 광고 효과조차 없을 만큼 오도된 첨탑 십자가만큼이나 ‘짠맛을 잃은 소금’처럼 되어버린 교회 현실에 대한 뼈아픈 진단이었다.사회복음화를 위한 선교의 본래 취지는 사라지고, 십자가 공해라 할 정도로 개별 교회 성장의 수단으로 전락해버린 본말전도의 현실. 그래서 종교 탄압을 목적으로 하는 중국 당국의 규제와는 다른 의미로, 한국 교회의 첨탑 십자가 경쟁도 규제할 필요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물론 교회 스스로 나서면 최선이지만, 자율적인 규제가 힘들다면 시민사회적 압박도 필요하다고 본다.문득 시인 윤동주의 라는 시가 떠오른다.이 시에서 윤동주는 살아생전에는 인류의 모든 짐을 지고 괴로워하셨지만 그래도 십자가에 못 박혀 희생되셨기에 오히려 행복했을 청년 예수를 그리며 자신에게도 그런 희생의 십자가가 허락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그리고 결국 그는 식민지 시대의 암흑기 한 가운데에서 민족의 아픔을 껴안은 속죄의 어린양으로 일본 후쿠오카 감옥에서 죽임을 당했다. “모가지를 드리우고 꽃처럼 피어나는 피를 어두워 가는 하늘 밑에 조용히 흘리며” 그가 그토록 닮기를 소망했던 청년 예수, 33세에 돌아가셨던 그분보다 더 젊은 나이 28세에! 교회가, 그리스도인들이 참으로 십자가를 모실 곳은 교회 첨탑이 아니라 시인 윤동주처럼 가슴 깊은 곳, 삶 한 가운데, 자신의 죽음과 함께여야 할 것이다.

교회 십자가 야경 | 우리나라 교회에 빨간 네온사인 십자가가 많은 이유 최근 답변 221개

We are using cookies to give you the best experience on our website.

You can find out more about which cookies we are using or switch them off in settings.

건축 거장 “한국 야경은 십자가뿐” 탄식

세계적 건축가 아론 탄(47·사진)이 26일 “서울의 야경은 십자가뿐”이라고 탄식했다. 그는 여수엑스포에 참여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중이다. 아론씨의 탄식이 전해지자 네티즌들은 “하늘에서 보는 야경은 십자가 때문에 공동묘지 같다”며 공감했다. “교회들이 정부의 에너지 절약 정책에 역행하고 있다”고 비판하거나 “전국 교회에 와이파이를 설치하면 비싼 통신비용을 아낄 수 있을 것”이라며 비꼬기도 했다.

아론씨는 26일 국내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홍콩은 최첨단 기술이 접목된 아름다운 건축물이 많고, 화려한 야경은 대표적 관광상품이다”라면서 한국의 인상에 대해서는 “도시 야경 속에 빛나는 십자가가 가장 인상적이다”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한국에 올 때마다 십자가는 더 늘어나는 거 같다”며 걱정했다. 이어 “서울의 건축물을 지역에 따라 특성화하고, 좀 더 개성을 살려 지었으면 좋겠다”라고 제안했다.

아론의 서울야경에 대한 분석은 트위터 등을 통해 급속하게 번졌다. 네티즌들은 “비행기를 타고 김포공항에서 보이는 서울의 모습은 온통 무덤인 것 같다”“솔직히 공해다, 이 모습을 보면 예수가 피눈물을 흘릴 거다”라고 공감하면서도 “교회가 세금도 안 내면서 에너지 절약 정책에 역행하고 있다”“전기가 부족한데 밤에는 전국의 교회 십자가 끕시다”라며 전기 절약을 제안하기도 했다.

한 트위터러는 27일 ‘구글맵으로 본 서울시내 교회 분포도’를 만들고 “저기다 와이파이를 설치한다면 전 지역이 무선 인터넷 지역이 된다”라는 재치있는 글을 올렸다. 해당 트윗은 256회 이상 리트윗(재전송)되며 온라인에 급속도로 퍼지고 있다. 네티즌들은 “교회가 전국 편의점보다 더 많다, 아주 건설적인 방안입니다”며“정말 교회가 빛과 소금이 되어서 세상을 밝히겠네요”라며 십자가 야경을 힐난했다.

한편,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원전사고와 중동 사태로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은 가운데 지구촌 최대 행사로 꼽히는‘지구촌 전등끄기’(Earth hour) 행사가 열렸다. 26일 오후 8시30분(각 나라별 현지시간)부터 태평양 피지섬과 뉴질랜드 채섬 아일랜즈를 시작으로 전세계 약 136개국에서 1시간동안 전등을 껐다. 지구촌 수억 명이 이 ‘불끄기’에 동참했다.

☞아론 탄은 한국 T타워(SK텔레콤 본사건물), W 호텔, 쉐라톤그랜드워커힐 호텔, 전주대학교 스타센터 등을 설계했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에서 도시공학을 공부하고 하버드대에서 건축학을 전공했다. 세계적인 건축 설계회사 RAD(Research Architecture Design)의 설립자이자 대표다. 홍콩 AIA 빌딩, 인도 하얏트 호텔, 중국 베이징 국제학교 등도 그의 작품이다.

심영규 기자

“십자가 불 끕시다”…교회 백여곳 운동 나서

경기도 안양에서는 보름 전부터 교회 100여 곳이 밤에 십자가 불을 끄기 시작했습니다.

[한관희/안양시 기독교연합회 회장 : 교회에 첨탑이 높아지는 것 만큼 교회에 대한 비판의 소리가 높아졌어요. 그런 것은 절대 복음의 본질이 아니기 때문에 이제는 본질로 돌아가자는 그런 취지로.]

또 높은 첨탑이 안전하지 않다는 점도 인정하고 3m 정도의 작은 첨탑으로 바꾸겠다고 뜻을 모으자 지자체도 지원에 나섰습니다.

[최대호/안양시장 : 목사님들께서 반대 없이 적극 동참해주셔서 얼마나 감사한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시민들이 좀 더 행복한 그런 삶이 되지 않을까….]

아예 높은 십자가를 달지 않는 교회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손봉호/서울대 명예교수 : 사실은 지금 한국 교회가 사회로부터 인정을 못 받고 있고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거든요. 십자가를 내리는 하는 것이 교회 개혁에 중요한 단초가 되었으면 좋겠고….]

십자가의 불을 끄고, 혹은 아예 내리는 것이 오히려 더 큰 가르침의 실천이라는 새로운 실험, 한국 교회를 발전시키는 분명한 진일보입니다.

한 외국인은 한국의 야경하면 빨간 십자가만 떠오른다고 했습니다. 서로 경쟁하듯 교회 첨탑도 높이 솟아있죠. 하지만 경기도 안양에서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습니다.김범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도심의 밤 풍경.곳곳에 빨갛게 선 교회 십자가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교회에겐 당연한 상징이지만, 교회 밖에선 빛 공해라는 눈총의 대상입니다.또 한국 교회의 무분별한 양적 팽창의 상징으로 지적받아 온 것도 사실입니다.그런데 한 도시에서 변화가 시작됐습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교회 십자가 야경

다음은 Bing에서 교회 십자가 야경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우리나라 교회에 빨간 네온사인 십자가가 많은 이유

  • 네온사인 십자가
  • 빨간 십자가
  • 야경
  • 서울야경
  • 교회
  • 교회 십자가
  • 우리나라 빨간 십자가
  • 서영식
  • 서영식 장로
  • 십자가 철탑

우리나라 #교회에 #빨간 #네온사인 #십자가가 #많은 #이유


YouTube에서 교회 십자가 야경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나라 교회에 빨간 네온사인 십자가가 많은 이유 | 교회 십자가 야경,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La Poule Qui Pond Des Patates Tapuscrit | La Poule Qui Pond Des Patates-Conte Audio #Poule #Oeufs #Trésor 149 개의 베스트 답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