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공정 안전 관리 – [산업안전교육] 공정안전관리 개요PSM“?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giaoductieuhoc.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giaoductieuhoc.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이세이프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2,279회 및 좋아요 51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공정 안전 관리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산업안전교육] 공정안전관리 개요PSM – 공정 안전 관리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산업안전교육의 공정안전관리 개요PSM 맛보기 입니다.
다양한 콘텐츠를 보시려면 www.e-safe.co.kr 홈페이지를 방문해주세요.
(주)이세이프 / Tel 02-784-3720 / www.e-safe.co.kr
공정 안전 관리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공정안전관리(PSM) 기본 구성 요소 (4대) 안내
공정안전관리(PSM)은 석유화학공장과 같이 다량의 유해위험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누출/화재/폭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법으로 도입한 …
Source: bestsafety.tistory.com
Date Published: 6/7/2022
View: 9437
[산업안전보건법] 공정안전관리(PSM)제도 해설! – 네이버 블로그
1. 공정안전관리제도. 위험물질 누출, 화재, 폭발 등으로 인한 ‘중대산업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제출하여 심사·확인을 받도록 …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4/30/2021
View: 4335
공정안전관리(PSM) 제도 안내
공정안전관리제도 위험물질 누출, 화재, 폭발 등으로 인한 ‘중대산업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제출하여 심사·확인을 받도록 한 제도.
Source: www.kosha.or.kr
Date Published: 10/5/2021
View: 6619
공정안전보고서(PSM) – 한국환경안전관리(주)
공정안전보고서(PSM). 석유화학공장뿐 아니라 일정량 이상의 위험물을 보유한 사업장 등 중대산업사고를 야기 할 가능성이 높은 유해 • 위험설비를 …
Source: kisem.co.kr
Date Published: 12/5/2021
View: 3882
공정안전관리 – 대한산업보건협회
으로 관리하기 위해 공정안전관리(Process Safety Management:PSM) … 하여금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하여 고용노동부장관(안전보건공단에 위탁)에게 …
Source: kiha21.or.kr
Date Published: 9/3/2021
View: 7453
PSM (Process Safety Management/ 공정안전관리) 이해
PSM (Process Safety Management/ 공정안전관리). 1.1 PSM 배경 및 정의. 화학공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대 산업사고를 근본적으로 예방하기 위하여, …
Source: daejipo2837.tistory.com
Date Published: 2/18/2022
View: 8509
공정안전관리(PSM) 제도 안내 – 고용노동부
제목: 공정안전관리(PSM) 제도 안내. 등록일: 2016-10-12 ; 등록일: 2016-10-12 ; 담당부서: 화학사고예방과 ; 담당자: 연현석 ; 전화번호: 044-202-7754.
Source: www.moel.go.kr
Date Published: 1/13/2022
View: 9163
공정안전관리(PSM) 12대 실천과제 요소 알아보기
공정안전자료의 경우 주기적인 보완 및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사항입니다. 공정 안전 자료에는 유해 위험 물질의 종류와 수량, MSDS, 설비 목록과 사양, …
Source: hello-onl.tistory.com
Date Published: 10/2/2021
View: 184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공정 안전 관리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산업안전교육] 공정안전관리 개요PSM.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산업안전교육] 공정안전관리 개요PSM](https://i.ytimg.com/vi/TNc8wvCLCH8/maxresdefault.jpg)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공정 안전 관리
- Author: 이세이프
- Views: 조회수 12,279회
- Likes: 좋아요 51개
- Date Published: 2018. 8. 23.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TNc8wvCLCH8
공정안전관리(PSM) 기본 구성 요소 (4대) 안내
공정안전관리(PSM)란 무엇이며,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
해당 페이지에서는 대략적인 내용을 다루며
상세 내용은 별도로 작성하여 링크해놨습니다.
1. 공정안전관리제도란?
공정안전관리(PSM)은 석유화학공장과 같이 다량의 유해위험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누출/화재/폭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법으로 도입한 제도입니다.
공정안전관리의 핵심은 안전설계와 안전설계가 미흡한 부분에 대한 시스템적 관리입니다.
공장의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한 안전설계를 진행하고 (공정안전자료, 위험성평가)
발견된 위험성에 대해 안전설계가 어렵거나 투자비가 과대해지는 경우 시스템적 관리 (안전운전계획) 을 통해
공장에서 발생하는 사고 (중대산업사고)를 사전 예방하고, 예상되는 사고에 대해 훈련(비상조치계획)하여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하는 것이 공정안전관리의 목적입니다.
2. 공정안전관리의 기본 구성 요소 – 4대 요소
공정안전관리의 구성요소는 아래와 같이 크게 4가지로 구분 됩니다.
공정안전관리 12대 요소라 함은 4대요소중 3번째인 안전운전계획이 다시 9가지로 나뉘기 때문에 12개 요소라고 합니다.
1. 공정안전자료
2. 공정위험성평가
3. 안전운전계획 (세부 내용 : 9 가지)
4. 비상조치계획
2-1 공정안전자료
공정안전관리에서 가장 기본은 공정안전자료 입니다.
공정안전자료가 제대로 작성되어 있지 않으면 공정안전관리의 모든 요소에서 잘 못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깐 공정안전자료들의 최신화가 가장 중요하겠죠?
공정안전자료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은 문서들이 있습니다.
1. 유해위험물질 목록 (화학 물질)
2. 동력기계 목록 (회전 장치)
3. 유해위험기계기구 목록 (고정 장치)
4. 배관 및 가스켓 목록
5. 안전밸브 및 파열판 목록
6. 기타 도면 등
2-2 공정위험성평가
공정안전자료 들이 작성이 완료되면, 해당 자료를 기반으로 공정 설계가 잘 되었는지 확인하는 절차 가 필요합니다.
이것이 바로 위험성 평가의 목적입니다.
위험성평가를 통해 기존에 설계한 공장이 충분히 안전한지 확인하고,
위험성평가 결과 문제점이 발견되면 우선순위에 따라 개선해 나갑니다.
그렇게 최종 도면 등 보다 안전성이 확보된 공정안전자료가 탄생하게 되죠.
그러다보니 위험서평가는 촘촘한 그물망으로 물고기를 잡듯이 일단 발견할 수 있는 모든 위험성을 발견하고
그 중 필요한 물고기만 꺼내고 나머지는 방생하듯이 개선이 필요한 위험성에 대해서 개선을 하여야 합니다.
그 방법과 절차는 다음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2-3 안전운전계획
위험성평가를 통해 설계적으로 위험성을 낮출 수 있는 작업을 우선적으로 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위험성을 제대로 많이 찾아도 돈으로 해결하기에는 너무 많이 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어쩔수 없이 사람을 써서 위험성을 줄이는 방법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그렇게 대부분의 사업장은 무인 사업장이 아닌 사람을 사용할 수 밖에 없게 되었고
그런 사람들이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 각 회사별로 시스템(규정)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규정)이 안전운전계획입니다.
공정안전관리를 위한 시스템(규정)이 아니라 회사를 돌리기 위한 시스템인거죠.
이렇게 우리가 공장을 안정적으로 가동하기 위해 관리적 차원으로 다가갈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수행하는 모든 절차와 규정을 안전운전계획 이라고 합니다.
이 안전운전계획에 대표적으로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다음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2-4 비상조치계획
공장을 안전하게 설계하고 부족한 부분을 안전운전계획을 통해 보완을 했지만
결국엔 사고는 발생합니다.
이럴 경우 우리가 예상할 수 있는 사고들을 미리 파악하고
파악된 사고에 대하여 사고시나리오를 만들어 정기적으로 훈련함으로써
동일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비상대응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여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비상조치계획입니다.
비상조치계획과 관련된 수립 절차와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에 다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공정안전관리(PSM)를 위한 가이드 모음집 (tistory.com)
반응형
[산업안전보건법] 공정안전관리(PSM)제도 해설!
안녕하십니까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먼저 생각하는 노무법인 사람과 산재(구 ‘토마토노무법인’)입니다.
최근에 이천화재와 같이 화학물질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여 수많은 근로자들이 사망, 부상당하는 불의의 사고가 자주 일어나고 있습니다.
유해, 위험한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사업장에서는 이런 대형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공정안전관리제도를 두고 있는데요. 오늘은 공정안전관리제도에 대해서 여러분께 소개 해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공정안전관리(PSM)제도 안내]1. 공정안전관리제도
위험물질 누출, 화재, 폭발 등으로 인한 ‘중대산업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제출하여 심사·확인을 받도록 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2. 공정안전보고서 제출 제도
1) 공정안전보고서 제출 제도란?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하는 유해·위험물질을 제조·취급·저장하는 설비를 보유한 사업장은 그 설비로부터의 위험물질 누출 및 화재·폭발 등으로 인한 ‘중대산업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제출하여 심사·확인을 받로고 한 제도
* 관련근거 : 산업안전보건법 제44조(공정안전보고서의 작성·제출)
* 미제출 등 :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
2) 제출 대상·시기·서류·방법은?
① 제출대상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43조(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대상)에서 규정하는 대상 업종 사업장 또는 동 시행령 [별표 13]에서 규정하고 있는 유해·위험물질 중 하나 이상을 규정량 이상 제조·취급·저장하는 사업장
* 인화성 가스, 인화성 액체, 암모니아, 염소 등 51개의 유해·위험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
② 제출시기
– 착공일 30일전
– 설치·이전
– 주요 구조부분의 변경
* 기존 설비의 제조·취급·저장 물질 변경/제조량·취급량·저장량이 증가하여 규정량에 해당하게 된때에는 그 해당일 30일전
③ 제출서류
– 공정안전보고서 심사신청서(고용노동부 고시 제 2020-55호 별지 1호 서식)
– 공정안전보고서 2부
④ 제출방법
– 사업장 소재 관할 화학사고예방센터에 제출
– 신청서 제출 시 안내된 가상계좌로 수수료 입금
– 공정안전보고서는 자격을 갖춘 자가 작성
– 안전보건공단에서 제공하는 자료 활용 가능
3. 공정안전보고서 이행제도
* 근거법령 – 산업안전보건법 제46조(공정안전보고서의 이행 등)
1) 공정안전보고서의 내용을 변경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지체없이 보완
2) 고용노동부장관은 공정안전보고서의 이행상태를 정기적으로 평가
3) 공정안전보고서의 보완상태가 불량한 사업장은 공정안전보고서 재체출
4. 공정안전보고서 내용
* 근거법령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50조(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 내용 등)
1) 공정안전자료
– 유해·위험물질의 종류 및 수량
– 유해·위험물질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 유해·위험설비의 목록 및 사양
– 운전방법을 알 수 있는 공정도면
– 각종 건물·설비의 배치도
– 폭발위험장소 구분도 및 전기 단선도
– 위험설비 안전설계·제작 및 설치 관련 지침서
2) 공정위험성평가
– 공정의 특성 등을 고려한 위험성평가 기법선정
– 위험성평가
– 피해범위 산정 및 영향 평가
– 사고 예방·피해 최소화 대책 작성
3) 안전운전계획
– 안전운전지침서
– 설비점검·검사 및 보수계획, 유지계획 및 지침서
– 안전작업허가
– 도급업체 안전관리계획
– 근로자 등 교육계획
– 가동 전 점검지침
– 변경요소 관리계획
– 자체감사 및 사고조사 계획
– 그 밖에 안전운전에 필요한 사항
4) 비상조치계획
– 비상조치를 위한 장비·인력 보유현황
– 사고발생 시 각 부서·관련 기관과의 비상연락체계
– 사고발생 시 비상조치를 위한 조직의 임무 및 수행 절차
– 비상조치계획에 따른 교육계획
– 주민홍보계획
– 그 밖에 비상조치 관련 사항
오늘은 공정안전제도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은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주의 의무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공정안전제도는 근로자들 뿐만 아니라, 중대산업사고로 인하여 피해를 입게 될 주변 주민들의 안전까지 고려하는 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대형폭발이나 화재 등으로 인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공정안전제도에 대해서 꼭 알아두어야 할 것 같습니다!
다음시간에도, 더 좋은 컨텐츠로 여러분들을 찾아 뵙도록 하겠습니다~
PSM (Process Safety Management
daejipo2837.tistory.com/446 PSM (Process Safety Management/ 공정안전관리) 이해 1. PSM (Process Safety Management/ 공정안전관리) 1.1 PSM 배경 및 정의 화학공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대 산업사고를 근본..
화학공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대 산업사고를 근본적으로 예방하기 위하여, 화학 공장 내,
1)물적 2)인정 3)관리적 요소들을 전부 망라하여, 크게 12개의 요소로 구성한 관리체계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하는 유해·위험물질을 제조·취급·저장하는 설비를 보유한 사업장은
그 설비로부터의 위험물질 누출 및 화재·폭발 등으로 인한 ‘중대산업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제출하여 심사·확인을 받도록 한 법정 제도
고용노동부가 밝은 미래를 열어드립니다
유해위험물질을 다량 제조, 취급, 저장하는 화학공장 등에서의 화재, 폭발 및
독성물질 누출사고의 중대산업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공정안전관리(PSM)제도에 관하여 간략히 안내드립니다.
공정안전관리(PSM) 12대 실천과제 요소 알아보기
반응형
산업 현장에서 일정 업종 또는 일정한 수량 이상을 사용하는 사업장의 경우 산업 안전 보건법에 따른 공정안전(PSM) 보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여기서 PSM이란 Process Safety Management의 약자입니다.
중대 산업사고 발생 위험이 큰 유해, 위험설비를 보유한 사업장에 대해 공정 안전 자료 , 공정 위험성 평가, 안전 운전 계획, 비상조치 계획 수립 등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정하고 있는데요.
화재, 폭발 및 누출로 인한 중태 산업사고의 발생을 심사 및 확인의 과정을 통해 예방하기를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종합적으로 체계화된 안전 관리 시스템을 요구하게 되었는데요.
체계적인 안전 관리를 위해 PSM은 12개 요소로 구성되어 운영하게 됩니다.
PSM 제출 대상 업종과 대상 물질
화재, 폭발, 누출 등 중대 산업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법에서 정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44조(공정안전보고서의 작성 및 제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43조(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대상)
산업안전보건법 제44조(공정안전보고서의 작성ㆍ제출)에 따라 7개의 제출 대상 업종이거나 산업 안전 보건법 시행령 별표 13에 따른 PSM 제출 대상 물질 51종 중 규정량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 대상이 됩니다.
대상 업종은 ① 원유 정제 처리업(19210), ② 기타 석유정제물 재처리업(19229), ③ 석유화학계 기초화학물질 제조업 또는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 물질 제조업(20111), ④ 질소질 비료 제조업(20201), ⑤ 복합비료 제조업(20202), ⑥ 화학 살균, 살충제 및 농업용 약제 제조업(20412), ⑦ 화약 및 불꽃제품 제조업(20494)으로 7가지입니다.
참고로 업종 옆에 있는 숫자는 한국 표준산업분류 상 업종 코드를 나타냅니다.
또한 대상 물질은 총 51가지로 구분됩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별표13(유해, 위험물질의 규정량)
유해ㆍ위험물질의 규정량이란 제조ㆍ취급ㆍ저장 설비에서 공정과정 중에 저장되는 양을 포함하여 하루 동안 최대로 제조ㆍ취급 또는 저장할 수 있는 양을 말하며, 기준 수량이 초과하는 경우 대상이 됩니다.
PSM 12 대 실천과제
산업 안전 보건법에 따라 PSM의 실천과제는 총 12개로 나뉘며, 다음과 같습니다.
① 공정안전자료
공정안전자료의 경우 주기적인 보완 및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사항입니다. 공정 안전 자료에는 유해 위험 물질의 종류와 수량, MSDS, 설비 목록과 사양, 운전 방법 등을 알 수 있는 도면, 설비 배치도, 폭발 위험장소 구분도 및 전기 단선도 등 자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설비, 물질 등 추가되거나 변경되는 경우 필히 최신화되어야 합니다.
② 위험성평가
공정 위험성 평가 체제 구축 및 사후 관리가 필요합니다. 공정 위험성 평가 기법 중 하나 이상을 선정하여 평가 후 사고예방 대책 피해 최소화 대책을 세우는 과정을 통해 보다 안전한 공정을 만드는 취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공정 위험성 평가에는 체크리스트(Check List), 상대 위험순위 결정(Dow & Mond Indaces), 작업자 실수 분석(HEA, Human Error Analysis), 사고 예상 질문 분석(What-if), 위험과 운전 분석(HAZOP), 이상 위험도 분석(FMECA), 결함수분석(FTA, Fault Tree Analysis), 사건수분석(ETA, Event Tree Analysis), 원인 결과 분석(CCA, Cause Consequence Analysis), 작업안전분석(Job Safety Analysis) 등 여러 가지 기법이 있습니다.
③ 안전운전 절차 준수
안전운전 절차 보완 및 준수 사항으로, 설비별 점검기록 및 유지관리, 안전 작업 허가서, 협력업체 운영 관리, 근로자 교육 계획, 가동 전 안전점검, 변경 요소 관리 계획, 자체감사 및 사고 조사 계획 등 4번 항목부터 11번 항목까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④ 설비별 점검 기록, 유지 관리
⑤ 안전작업 허가서
⑥ 협력업체 운영관리
⑦ 근로자 교육 계획
⑧ 가동 전 안전점검
⑨ 변경관리 절차 준수
⑩ 자체감사 실시
⑪ 사고 원인 및 재발방지 대책
⑫ 비상대응 훈련
비상조치를 위한 장비 및 인력관리와 사고 발생 시 비상 연락 체계, 비상조치를 위한 조직의 임무와 수행 절차 등에 대한 훈련이 필요합니다. 또한 비상조치 교육 계획 및 주민 홍보계획 등이 포함된 상태로 공정에서 발생한 비상 상황에 대한 대응 훈련에 대한 사항을 포함해야 합니다.
산업 안전 보건법에서 공정 안전 보고서에 대해 정하고 있는 사항은 큰 틀에서 12가지 항목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작 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변경 요소 관리나, 등급 기준, 자체 감사 등 여러 가지 문제들이 앞길을 막고 있는데요.
앞으로 PSM 공부도 할 겸 확인해 보고자 하니 자세히 아시는 분은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블로거에게 좋아요와 댓글은 아주 큰 힘이 됩니다.
작성된 글이 큰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728×90
반응형
그리드형
키워드에 대한 정보 공정 안전 관리
다음은 Bing에서 공정 안전 관리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산업안전교육] 공정안전관리 개요PSM
- 안전
- 산업안전
- 안전교육
- 공정안전
- 공정안전관리
- PSM
- psm
YouTube에서 공정 안전 관리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산업안전교육] 공정안전관리 개요PSM | 공정 안전 관리,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