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칭 전압 정격 전압 | 전력공학 – 2강 기준전압, 공칭전압, 최고전압 관계 186 개의 베스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공칭 전압 정격 전압 – 전력공학 – 2강 기준전압, 공칭전압, 최고전압 관계“?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giaoductieuhoc.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giaoductieuhoc.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조경필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5,205회 및 좋아요 409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정격전압의 표준값은 3.6kV, 7.2kV, 24kV 등이다. 여기서, 공칭전압이라 함은 그 전선로 를 대표하는 선간전압을 말한다(KS의 정의).

공칭 전압 정격 전압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전력공학 – 2강 기준전압, 공칭전압, 최고전압 관계 – 공칭 전압 정격 전압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교수 조경필
#전기기사 #전기산업기사 #전력공학

공칭 전압 정격 전압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공칭전압과 정격전압, 최고전압 – 즐거운 오늘

공칭전압은 전선로를 대표하는 선간전압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공칭전압은 3.3kV, 6.6kV, 22.9kV, 66kV,154kV, 345kV, 765kV등이 있습니다.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bluehaha.tistory.com

Date Published: 6/19/2022

View: 5751

표준전압 / 공칭전압 / 최고전압 / 정격전압(펌) – 네이버 블로그

1. 공칭전압 – 전선로를 대표하는 선간전압으로 표현하며, 그 계통의 송.배.변전 전압을 나타낸다. 예) 송전단 – 765kV, 345kV, 154kV 수전단 – 22.9/13.2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4/6/2022

View: 6278

공칭전압, 정격전압 – 전기매니아

공칭전압은 그 전선로를 대표하는 선간전압을 말하며 그 선로의 명칭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100, 200, 3,300, 6,600, 22,000, 66,000, 154,000, 220,000, 345,000, …

+ 더 읽기

Source: elecmania.com

Date Published: 3/1/2022

View: 9875

정격전압 공칭전압 최고전압 – 김대호기술사의 전기스쿨

정격전압 : Rated Voltage. 정격 주위온도에서 연속하여 가할 수 있는 직류 및 교류전압의 최대값. (내선규정 : 전기사용기계기구,배선기구 등에서 …

+ 여기를 클릭

Source: kimdaeho.com

Date Published: 12/12/2021

View: 3091

공칭전압과 정격전압 문의 드립니다 – 전기기사 한솔아카데미

공칭전압은 선로의 정격전압이 맞습니다. 보통 선로에서는 대지와 사이의 전압을 표현하는 것 이 외에는 상전압을 표현하지 않습니다. 모두 선간전압으로 …

+ 더 읽기

Source: elec.inup.co.kr

Date Published: 12/1/2021

View: 6632

오늘의 궁금증 Q36/ 정격,공칭,표준 (전압전류) 란?

공칭 전압은 제조업체가 지정한 전압입니다. 정격전압이 사용전압이라면 공칭전압은 선간 전압입니다. 차단기의 정격전압= 공칭전압 X 1.2 / 1.1. 피뢰기 …

+ 여기에 표시

Source: dldmltjr0509.tistory.com

Date Published: 12/18/2021

View: 7479

전기철도에서 공칭전압이란

전기철도에서 공칭전압, 정격전압이란? □ 용어정의(철도 전철전력설비 시설지침, 2009.6.11 등). – 공칭전압 : 그 선로를 대표하는 선간전압을 말하며,.

+ 여기에 표시

Source: www.kr.or.kr

Date Published: 8/21/2022

View: 2836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공칭 전압 정격 전압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전력공학 – 2강 기준전압, 공칭전압, 최고전압 관계.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See also  Centre Socio Culturel Teteghem | Centre Socioculturel Saint Exupéry Téteghem 136 개의 새로운 답변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전력공학 -  2강 기준전압, 공칭전압, 최고전압 관계
전력공학 – 2강 기준전압, 공칭전압, 최고전압 관계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공칭 전압 정격 전압

  • Author: 조경필
  • Views: 조회수 25,205회
  • Likes: 좋아요 409개
  • Date Published: 2021. 3. 14.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qmvbUqkFkyw

공칭전압과 정격전압, 최고전압

반응형

■ 공칭전압은 전선로를 대표하는 선간전압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공칭전압은 3.3kV, 6.6kV, 22.9kV, 66kV,154kV, 345kV, 765kV등이 있습니다.

즉, 공칭전압은 선로의 이상적인 전압값을 말합니다.

실제의 선로 전압은 측정장소나 부하조건에 따라서 변할 수 있으므로 공칭전압값과는 일치하지 않습니다.

공칭전압은 기준이 되는 표준전압으로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공칭전압과 헷갈리지 말아야할 개념이 최고전압과 정격전압입니다.

반응형

■ 최고전압은 전선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고 선간전압을 말합니다. 공칭전압과 마찬가지로 이상적인 상태에서 최고 선간전압을 말하며, 보통 공칭전압*(1.15/1.1) 식에 따라 계산된 값을 말합니다.

위 식에서 1.1은 표준 전압강하율을 나타내며, 1.15는 공칭전압에서 15%여유율을 의미합니다.

■ 정격전압은 전기기기 제조업자가 제품의 특성에 따라 임의적으로 지정하는 전압을 말합니다. 공칭전압과 정격전압이 헷갈리는 이유는 우리나라의 가전 제품의 경우 공칭전압에 맞추어 예를 들어 220V를 정격전압으로 지정했기 때문 입니다.

또한 한편으로는 공칭전압*(1.2/1.1)의 값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선로나 부하에 걸리는 전압이 공칭전압이어야 정상적인 동작을 하므로 공칭전압=정격전압이라는 개념이 성립하고,

차단기가 장상적으로 동작하려면 공칭전압 아니고 최고전압 이상에서도 동작해야 하므로 최고전압보다 더 여유율을 준 값을 적용합니다.

즉, 정격전압은 해당되는 기기 또는 대상물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전압으로 생각하고, 대상물에 따라서 공칭전압 또는 공칭전압*(1.2/1.1)값을 적용하면 됩니다.

반응형

표준전압 / 공칭전압 / 최고전압 / 정격전압(펌)

표준전압

– 발전단에서~수전단에 공급하는 전력은 가장 경제적인 전압값이 존재하는데 각 구간별,선로별로 공통된 전압체계가 필요하다.

이는 전압의 종류가 늘어날 경우 각 설비의 증가,

전압별 호환성 결여, 전력의 융통성 결여, 예비품, 제작비의 증가등… 계통 전체적으로 본

다면 대단히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공통된 전압체계가 필요 하는데 이와같이 송,배,변전선로의 전압을 표준화해서

정한것이 표준전압이다.

표준전압의 종류 ==> 공칭전압과 최고전압(2가지를 표준으로)

1. 공칭전압 – 전선로를 대표하는 선간전압으로 표현하며, 그 계통의 송.배.변전 전압을 나타낸다.

예) 송전단 – 765kV, 345kV, 154kV 수전단 – 22.9/13.2kV, 380/220V등…

2. 최고전압 – 선로의 이상상태(1선지락, 정전유도, 코로나등…)를 고려한 선로상에 나타날수 있는 최고의 선간전압.

→ 표현방법은 기준전압에 15% 의 여유를 주어 정하고 있다.

(기준전압 = 공칭전압 / 1.1) 으로 보통 수전단전압, 최저전압, 기준전압이라 칭하고있다.

분모항의 1.1로 나눈 의미는 ==> 표준 전압강하율을 10%로 잡고 있기 때문이다.

예) 345Kv의 최고전압은 → 345/1.1 × 1.15 = 361 Kv

정격전압

1. 정격전압의 의미 : 전기기계기구, 선로등에서 표준적인(정상적인), 동작 상태를 유지할수있는 전압

2. 정격전압의 뉘앙스

a. 헌데 왜! 기계 기구별 정격전압이 다른가?

b. 정격전압이 뭐죠? 하고 묻는이

c. 왜 계산할 때 이곳은==> 1.2/1.1 로하고 , 이곳은 그냥 선간전압으로 하죠? 같은 정격전압 이라 하는데요?

하는 질문을 종종 받곧하는데 그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정격전압 의미에서==> 정격전압은 표준적인 동작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 차단기와 같은 기기류에선 ===> 정격전압 = 공칭전압 × 1.2/1.1 하는데 이유는?

– 이상상태 에서도 차단기에 걸리는 전압이 ==> 최고전압 이상이어야 차단기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겠지요 .

따라서, 최고전압 보다 더 여유를 주어 결정합니다.

※ 또한 선로, 부하의 정격전류를 구할 때 당연히 정격전압을 사용해야 하는데, 공칭전압으로 계산합니다.

– 이유는?==> 선로나 부하에 걸리는 전압이 공칭전압 이어야 당연히 정상적인 동작이 되겠지요.

따라서==> 이때는 공칭전압이 정격전압이 됩니다

============================================================================================================

탄애님 안녕하세요..

정격에 관한 글을 읽으면서 정확히 정리가 안되네요..ㅎㅎㅎ

좋은 글을 읽어보면서도 많은 부분을 이해하여야 할것 같습니다..

정리를 할수 있는 문구란 =>기기류가 정상동작을 여유율 두어야 하는데 유상봉 교수님이 쓰는글을 보면 20% 여유율(동일출판사)

링크합니다 보시구요==> http://cafe.naver.com/power119/6598

주어 곱하게 된다구 합니다… 따라서 위해서 설명한 공식은 정격전압 = 공칭전압 * 1.2 가 되겠지요…

문제는 분모항의 1.1이란 값이 어떻게 나왔느냐가 관건인데==> 위글의 내용을 보면

==> 분모항의 1.1로 나눈 의미는 ==> 표준 전압강하율을 10%로 잡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종정리를하게 되면

정격전압이란 = 공칭전압 * 기기가 정상동작을 하기위한 여유율(120%)/수전단측의 전압강하율(110%)

공칭전압, 정격전압

반응형

공칭전압(nominal voltage)

공칭하고 있는 전압.

실제의 전압과는 꼭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주어진 전압계급의 계통을 부르는 전압값. 전압의 종류를 표현하는데 편의상의 목적으로 회로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전압이며, 실제의 전압과는 꼭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공칭전압은 그 전선로를 대표하는 선간전압을 말하며 그 선로의 명칭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100, 200, 3,300, 6,600, 22,000, 66,000, 154,000, 220,000, 345,000, 765,000 V 등이 있다.

공칭정격(nominal rating) : 규정의 시험 조건하에서 규정 온도를 넘는 일없이 운전할 수 있는 최대 부하.

이것을 넘어서 일정량(보통 25~50%) 부하를 증가시켜도 2시간까지는 어느 한도 넘어서 온도 상승을 발생하지 않는 것이 보증되는 것.

정격(rating)

그 기기에 대하여 제조자가 보증하는 사용한도를 말한다.

이것은 출력 또는 용량으로 표시하며 명판에 기재한다.

참고

지정의 단자 또는 공급전압과 속도로서 이용할 수 있는 전력 또는 동력(정격출력이라한다) 이밖에 정격전압, 정격전류, 정격주파수, 정격역율 등이 있다. 발전기나 전동기에서는 정격출력을 kw 로 표시하고 동시에 회전수도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

①연속정격 : 메이커 지정 조건하에서 장시간 안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출력.

②단시간정격 : 메이커 지정조건하에서 단시간 안전하게 낼 수 있는 출력.

③공칭정격 : 전차용 전동기에 한해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규정의 운전조건하에서 정격전압과 정격속도로 1시간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는 출력.

배선기구에 정격전압과 정젹 전류는 그 전압이나 전류를 넘어서는 안된다는 표시입니다.

배선기구는 전압이 너무 높으면 절연이 나빠지거나 절연이 파괴되어 감전될 우려성이 생기게 되며

전류가 너무 높으면 배선기구의 접촉부위는 저항성분을 가지고 있어서

그부분의 열이 높아지게 되어 화재가날 우려성이 생깁니다.

그래서 배선기구엔 정격전압과 정격전류를 표시하여 그이상을 넘지말아야

안전하다는것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정격전압 : 각종 기기의 사용전압을 전격전압이라고 합니다.

가정용 가전제품의 정격전압은 220볼트가 되겠지요?

그리고 공장에서 사용되는 모터같은 것들은 정격전압이 380볼트가 됩니다.

정격전류 : 각종 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을때의 소모되는 선전류를 정격전류라고 합니다. 전류측정 방법은 후크온미터라고도 하고 클램프미터라고도 하는 계기로 전류를 측정합니다.

정격용량 : 각종 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될때에 소모되는 전력을 정격용량이라고 하여 정격소모전력 아라고도 하고 정격소비전력 이라고도 합니다.

전력과 전압과 전류의 관계식은

단상일때는 P=EIcosθ 이고

3상일때는 P=√3EIcosθ 입니다.

여기서 P 는 전력이고 E 는 전압이고 I 는 전류이고 cosθ는 역율입니다.

정격이라는 것은 릴레이 접접이 감당할수 있는 전력의 한계치를 표시하고 있는 것입니다., 전력은 전압 곱하기 전류 이므로 250V 에 10A 라면 2.5KW 의 소비전력용 기기를 온 오프 할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죠., 릴레이 접점에 이렇게 표시를 하는 이유는 전력을 온 오프 하기 위해 조작했을때 떨어져 있던 접접이 닿는 순간 불꽃이 발생하게 되며 순간적이지만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며 접점이 감당할수 있는 정격 이상의 전력이 흐를경우 이것으로 인해 접접이 손상되거나 서로 용착(녹으면서 붙어버림) 되어 전력 개폐용 접접으로서 기능상실이 되어 버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조사에서는 자기들이 채용한 접점의 재질이나 크기 등을 감안하여 넘어서는 곤란한 최대 전력의 용량을 표시하고 있는 것이지요., 보다 높은 전압조건 즉 380V 에서 사용할수도 있으며 이때 전력량을 계산하여 2.5KW 가 넘지 않는다면 얼마든지 사용해도 됩니다., 요는 접점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문제가 아니라 전류의 크기가 문제라고 보시면 되구요..그렇다고 수천볼트의 전압을 개패 하려고 하면 곤란하겠죠? 접점의 간격으로 볼때 1mm 당 2KV 의 전압만 형성되어도 (공기중에서) 전극간 방전이 일어나므로 그만큼 높은 전압을 콘트롤 하고 싶다면 간격이 더 벌어진 제품을 사용하든지 해야 하겠지요., 끝으로 접접의 용량을 보호하는 방법은 다른 릴레이즉 보조 릴레이를 구동하여 콘트롤 하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행여 접접의 용량을 보강한답시고 동일한 릴레이를 두개 병렬 구동하지는 마시기 바랍니다..이유는 릴레이마다 접점이 접촉되기 까지 형성되는 시간이 달라 도움이 안되기 때문입니다 먼저 달라붙는 쪽으로 전류가 흘러버린뒤 제 2의 릴레이가 뒤늦게( 극히 찰라적인 미세한 시간차이 일지라도) 붙는다 할지라도 의미가 없기 때문이죠 파워 릴레이라 하여 몇천원대 로 구할수 있는 제품이 있으며 최대 용량이 25A 라고 되어 있는 제품이 있습니다.,단 덩치는 제법 크죠(마우스 보다 훨씬 큼) 보다 소형 타입으로 SSR 을 사용할수도 있겠지만 반도체 형식이므로 발열이 뒤따르게 되며 방열판을 적절히 선택하지 않으면 수명보장이 안되는데다 가격대가 만원이 넘을테니 사용자가 선택해야 할 사항이라고 봅니다,다만 방열상태나 다루는 정격등이 제대로 설정되면 수명은 반영구적이라 봐도 되죠

반응형

전기기사 한솔아카데미

안녕하세요? 산업기사 온라인 종합반 학생입니다. 교수님 명강의 팬입니다. 다음 달 실기 준비중에 궁금한 사항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첨부1. 유투버 꿀팁으로 교수님 강의 듣고 메모 한 것

첩무2. 기출 문제 풀이 메모 한 것입니다

첨부1에서 기준용량에는 공칭전압이 사용된다고 메모하고 암기 하고 있었는데

어제 기출(첨부2)에서 문제에서 “정격전압 154kv” 라고 제시하고 있는데 교수님게서

“자 … 우리가 3상이기 때문에 정격용량은 루트3에 비 아이 엔(VIn) 이다 이렇게 계산을 하죠 ? 자 루트3에 정격전압에 아이 앤 이렇게 계산하는 게 피엔이라고 하는 정격 용량이 됩니다”

유트브 강의때처럼 그냥 V 를 적으시면서 (공칭전압 이라고 하지 않고) 정격전압 이라고 말씀하셔서 요

혼동되어 문의드립니다 왜 공칭전압을 정격전압 이라고 하는지 여줍니다.

그리고 첨부 1에서 기준용량 구할ㄷ때 정격전류를 사용한다고 하는데

찾아보니 공칭전류는 없다는데 굳이 정격전류라고 표현하는 이유도 궁금합니다.

제 전공이 아니다 보니 기초가 없어 가끔 아는 거 같다가도 전혀 모르는 것이 많습니다

감사 합니다

오늘의 궁금증 Q36/ 정격,공칭,표준 (전압전류) 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정격과 공칭 전류, 전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격전류, 정격전압

정격이란 그 기기에 대하여 제조자가 보증하는 사용한도를 말합니다.

릴레이 접점이 감당할 수 있는 전력의 한계치를 표시하고 있는 것입니다.

정격전압이란

전기 기구가 작동하는데 필요한 표준전압을 의미합니다.

이 표준전압 이하 또는 이상으로 전압을 걸어 주면 전기기구의 작동이 되지 않거나 과전류가 흘러 기구가 고장 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정격전압은 220V입니다.

정격전류란

정격전압이 공급되었을 때 전기기구의 모든 기능이 작동하였을때 흐르는 가동 전류입니다.

회로에서의 최대 전류가 정격전류입니다.

공칭전압, 공칭 전류

공칭전압은 전선로를 대표하는 선간 전압으로 표현되며, 그 계통의 송전, 배전, 변전 전압을 나타냅니다.

공칭 전압은 제조업체가 지정한 전압입니다.

정격전압이 사용전압이라면 공칭전압은 선간 전압입니다.

차단기의 정격전압= 공칭전압 X 1.2 / 1.1

피뢰기 정격전압= 공칭전압 X 1.4 / 1.1

전력 퓨즈 정격전압= 공칭전압 X 1.2 / 1.1

단로기 정격전압= 공칭전압 X 1.2 / 1.1

(예를 들면 이상상태에서도 차단기에 걸리는 전압이 최고전압 이상이어야 차단기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기 때문에 최고전압 보다 더 여유를 주어야 합니다.)

표준전압

표준전압은 공칭전압과 최고전압 2가지를 표준으로 합니다.

공칭전압은 전선로를 대표하는 선간 전압이며

송전단에서는 765kV, 345kV, 154kV

수전단에서는 22.9/13.2kV 380/220V 등이 있습니다.

최고전압이란 선로의 이상상태(1 선지 락, 정전유도, 코로나)를 고려한 선로상에 나타날 수 있는 최고의 선간 전압입니다.

보통 기준 전압에 15%의 여유를 주어 산정합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공칭 전압 정격 전압

다음은 Bing에서 공칭 전압 정격 전압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See also  Parc Asterix Soiree Privee | 🎢\"Soirée Vente Privé\" Parc Astérix Tr.6 150 개의 자세한 답변
See also  Grille Qwixx À Imprimer | Ludochrono - Qwixx 답을 믿으세요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전력공학 – 2강 기준전압, 공칭전압, 최고전압 관계

  • #전기기사
  • #전기자기학
  • #전기기기
  • #전력공학
  • #전기설비
  • #전기설비기술기준
  • #회로이론
  • #전기기능사
  • #전기기능장
  • #전기산업기사

전력공학 #- # #2강 #기준전압, #공칭전압, #최고전압 #관계


YouTube에서 공칭 전압 정격 전압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전력공학 – 2강 기준전압, 공칭전압, 최고전압 관계 | 공칭 전압 정격 전압,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