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건설 기계 기술사 – 건설기계기술사 한상진 교수님의 공부과정 대공개!“?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giaoductieuhoc.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giaoductieuhoc.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주경야독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859회 및 좋아요 5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건설 기계 기술사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건설기계기술사 한상진 교수님의 공부과정 대공개! – 건설 기계 기술사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1) 1단계
2) 2단계 = 예상답안지 작성
3) 3단계 = 200문제를 추려라
#건설기계기술사 #건설기계기술사시험 #건설기계기술사1차
더 자세한 건 강의로 확인해주세요..!
#주경야독 #한상진
1~4부 중 4부 영상입니다.
사이트 바로가기 : http://bitly.kr/6w2d7mDx
수강문의 : 02-2038-4199
건설 기계 기술사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조금 늦은 116회 건설기계기술사 합격후기
기술사 시험에 최초 관심을 가지고 해볼까하고 시작했던건 꽤 오래 되었습니다. … 예문사 건설기계기술사 책과 셀프서브노트를 통해 기출분석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
Source: www.pro-mecha.com
Date Published: 5/20/2022
View: 6936
기계기술사의 종류 및 주요항목(건설기계, 산업기계, 건축기계 …
위에서 말씀드린 주요항목에 있는 각 기술사자격을 말씀드립니다. 건축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기계제작 : 기계기술사. 기계장비설비.설치 : 건설기계 …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7/7/2021
View: 1109
건설기계기술사 기출문제 제126회 (2022.1.29)
관속의 유체흐름에서 층류와 난류에 대해 설명하시오. 2. 건설기계안전기준시행세칙에서낙하물보호가드(FOG), 전방가드, 변형한계체적(DLV), …
Source: moneyjjang.tistory.com
Date Published: 1/10/2022
View: 3671
건설기계기술사 합격률 및 시험일정, 진로 및 전망은?
건설기계기술사 자격증은 최근 5년 동안 필기+실기 접수인원이 연평균 3.5%씩 증가하며 인기상승 중입니다. 최근 시험트렌드 및 기본정보, 접수인원 및 …
Source: ttomine.tistory.com
Date Published: 12/9/2021
View: 3125
건설기계기술사 기출문제, 합격률, 시험일정 등 – 세상 돋보기
국가기술자격 건설기계기술사 자격 시험을 알려드릴께요. 하단에 기출문제 및 필기, 실기(면접)시험 전체 출제기준(항목) 파일을 첨부해놨습니다.
Source: hulahola.tistory.com
Date Published: 8/23/2021
View: 1987
건설기계기술사 기출문제 풀이집 – 메카피아
건설기계기술사 기출문제 풀이집은 오늘날 건설현장에서 근무하는 엔지니어들를 위한 최고의 수험대비서로 건설기계기기술사 공부를 처음 시작하는 …
Source: www.nogoora.com
Date Published: 7/26/2022
View: 4203
건설기계기술사 | Facebook
E-mel atau telefon, Kata Laluan. Lupa akaun? Daftar. 건설기계기술사. Privasi · Terma. Perihal. 건설기계기술사. Minat. 1 person likes this topic.
Source: ms-my.facebook.com
Date Published: 12/4/2022
View: 5890
안양시청 공무원, 건설기계기술사 시험에 최종 합격해 – 경기신문
주인공은 안양시 수도시설과에 근무하는 황규도(47. 공업7급) 주무관. 황 주무관은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이 치른 제126회 건설기계기술사 시험에 …
Source: www.kgnews.co.kr
Date Published: 11/3/2021
View: 6617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건설 기계 기술사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건설기계기술사 한상진 교수님의 공부과정 대공개!.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건설 기계 기술사
- Author: 주경야독
- Views: 조회수 859회
- Likes: 좋아요 5개
- Date Published: 2020. 3. 8.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QyiJsaN1hAg
기계의 신
1. 그냥 서론
전 학부때 전공공부를 좋아하기도 했고, 성적도 좋은편이었고, 그만큼 노력도 많이 했습니다.
시간이 좀 걸려도 기본 원리가 실생활에 적용/응용되는 부분을 통하여 이해가 되어야만 했고,
그래야만 재미가 있었습니다.
그러다보니 재료역학, 열역학, 유체역학 같은 주요 과목들의 이해를 위해 각 챕터 끝나는 연습문제를 다 풀어야만 했고,
자연스레 동기들이나 후배들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하게되며, 이러한 습관이 후에 회사면접 다닐때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게 되었습니다.
그냥 그런 지방국립대 출신으로서 수도권의 상위?권 대학 출신들 전공자들보다 내가 더 잘한다는
근거없는 자신감이 생겼고, 일단 서류통과가 되면 난 다 합격한다! 뭐 이럴때였으니까요.
지금 생각해보면 젊은날의 치기였지만, 요새말로 리즈시절이 그때가 아니었나라는 생각도 듭니다.
2. 꾸준히 도전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술사 시험에 최초 관심을 가지고 해볼까하고 시작했던건 꽤 오래 되었습니다. (벌써 3~4년은 족히…)
사실 학부때 잘했던거만 생각하고 무턱대고 시작했던터라 금방 될 줄 알았습니다.
핑계입니다만, 저때 당시만 해도 정보도 마땅치 않았고, 가이드가 될만한 자료도 그리 넉넉치 않았습니다.
게다가 지금의 아내와 연애를 막 시작하던 시기다보니… 공부할 시기를 놓쳐버렸습니다. 이후에는
결혼이다, 아내의 출산, 육아, 몸이 안좋아서 수술 받고 회복한다 어쩐다 하다보니 흐름마저 끊겨버리고 말았습니다.
저런와중에 전 총 3회의 필기시험을 치루었는데, 108회, 114회에 큰 점수차 없이 낙방하고,
116회에 64.5점을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108회와 114회는 2년의 공백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제 막 입문하시는 분들께는 이렇게 팁을 전해드리고 싶습니다
1) 기술사시험도 시험이다보니 결국 꾸준히 시험공부 한 사람이 합격한다
– 어설프게 기본실력 있다고 자만하다가는 다 아는걸로 착각하고 시간 오래 걸립니다.
난 아무것도 모른다… 생각하고 꾸준히 공부하고 써보시길 권합니다.
기간이 길어지면 매우 힘들어지기때문에 6개월이든 1년이든 기간안에 집중하시면 젤 좋겠습니다.
2) 기출문제 활용을 잘한다
– 예문사 건설기계기술사 책과 셀프서브노트를 통해 기출분석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때문에
저와 같은 시행착오를 줄여줄 것이라 생각합니다.
3) 기본이 부족하면 보조적인 추가 공부도 필요하다
– 이해를 위주로 공부하라고 하지만 어떻게 생겨먹었는지… 어떤 원리인지를 모르면 글자만으로는
이해 자체가 힘듭니다. 방장님 인강 매우 도움이 되구요 (전 기계의 신 이전에 USB로 봤었습니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 시각적인 학습효과 및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된 자료도 추가로 봐주시는게 필요합니다.
3. 116회 후기
처음 받아보고는 114회보다 무난하다고 느꼈으나, 무엇에 홀린듯? 정신없이 써내려가다보니 시험 끝나고 나서
착각하여 일부 잘못 쓴부분, 부족하게 쓴 부분들이 마음에 걸려서 마음 고생을 좀 했습니다. (다행히 합격했지만)
111회였던거 같은데… 다소 문제가 무난하게 출제되었으나 합격자가 거의 없던 회차가 있어서
그런 회차인가 하고 걱정했었는데 다행히 합격자가 많이 배출되었습니다. 끝까지 최선을 다하는게 중요합니다.
1교시
1,2번은 굴삭기 시간당 작업량 및 건설기계 시공능력을 쓰는 문제였습니다.
똑같은 문제인데도 함정이라 생각하고 2번을 안쓰고 1번에만 최선을 다했습니다.
지금 다시 본다면 2번도 똑같이 썼을껍니다. (한 5점은 더 받았을듯 싶습니다)
3번 역회전 방지장치에 대해 쓰는 문제인데 제일 마지막에 쓰다보니 시간이 없었습니다.
거의 점수를 못받았습니다
5번 피로파괴문제… 정의 및 S-N Curve, 피로요인 및 대책에 대해 수월하게 작성하였습니다만,
일반적인 답안이라 생각했는데 평균이상의 점수를 받았습니다
6번 축 위험속도 문제… 축 회전에서 왜 진동이 발생하는지부터 작성하여 공진, 방지법, 던커레이 등을 언급하였는데
평균이상의 좋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7번 단순보에 집중하중 작용하는 문제… 이런건 꼭 풀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답이 맞으면 만점입니다.
8번 세장비… 정의 및 장주/단주의 범위 등 필요한 내용만 언급하였고 평균이상점수를 받았습니다
9번 응력-변형률 선도… 각 한도를 그래프로 나타내고 특히 항복점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작성하였습니다.
역시 평균이상점수
10번 응력집중 계수… 정의 및 내용을 그림과 함께 표현하였고, 대책에 대해서도 언급하였습니다. 역시 평균이상점수
11번 하중의 종류… 생각이 잘 나지 않아 정,동,교번,충격 하중 등 약간 지엽적으로만 언급하였는데 평균점수
조금 덜 긴장했더라면 인장, 압축… 열응력 등도 추가로 언급했을 것 같습니다.
결과적으로 9문제 작성하였고 1문제는 그냥 막 날려 썼음에도 계산문제를 맞혀서 평균 60점 이상 받을 수 있었습니다.
2교시
2번 강의표면경화법은 단골 기출문제죠. 각 경화법에 대해 각 특징을 언급하며 장단점을 작성하였습니다.
특별한 내용을 넣을만한게 없어서 그랬는지 그저그런 평균점수였습니다.
3번 콘크리트 압송타설장비 종류..는 잘 몰라서 마지막에 작성하며 타설장비에 대해서만 일반적인 내용을
썼습니다. 결과적으로는 1교시같은 배점을 받았으나, 안쓰는 거보다는 낫다고 생각이 드네요.
4번 타워크레인 지지방법은 시험 전 관련된 내용을 KOSHA에서 본지라 꽤나 상세하게 서술하였습니다.
마지막에 최근 타워크레인 사고들에 대한 사례들을 이야기 하며 안전작업에 대한 강조 및 대책을
언급하였는데 거의 90점 가까운 점수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5번 펌프 축 추력관련 문제는 117회 산업기계설비기술사에도 나온 문제로 기본적인 문제 중 하나입니다.
그림을 그리다가 순간 멘붕?이 오면서 대체 이 그림을 맞게 그리는건가? 하면서 정신이 혼미해졌는데
(아무래도 당떨어져서 그런듯) 결국 그림은 X 표 치며 삭제했습니다. 그래도 평균 이상 점수 받은거 보면
그림 그렸으면 조금의 가점은 더 있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3교시
1번 원심펌프의 제반손실… 수력손실, 누설손실, 기계적손실, 마찰손실 등에 대해 서술하였고,
펌프 전효율로 마무리 지었습니다. 평균 이상의 점수를 받았습니다.
2번 비파괴검사 5가지… 각 검사 종류의 특징, 용도, 장단점을 아주 자신있게 작성하였습니다.
점수는 평균 이상의 점수 를 받긴 하였으나 그 쓴 양에 비해서는 그저 그런 문제였습니다.
(많이 쓴다고 점수 많이 주는게 아닌걸 이 문제로 느꼈습니다)
5번 용접 후 잔류응력 원인 및 대책..은 아주 필수적인 문제죠. 다들 아시는 내용들도 채웠고 점수는
평균보다 약간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6번 전도모멘트, 안정모멘트 및 전도안전율에 관한 문제인데 그림 그려가며 문제에 언급된 용어에 대한
설명을 하였습니다. 점수는 약 70점 정도 받았는데 이문제는 방장님 입문편 강의에 모 기술사님께서
특강을 하신 내용에도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제가 그걸 보고 이 문제를 접했다면 한 30점은 더 받았을듯 합니다.
4교시
1번 건설기계 견인력 및 주행저항.. 이 문제 역시 단골 기출입니다. 각 용어 정리 및 하위로 분류되는 저항에 대해서
최대한 상세히 서술하였고, 주행저항 자체를 종합적인 등가하중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설명하였습니다.
평균 이상의 점수를 받았습니다.
2번 중량물 적재 구조물 설계 절차 문제.. 사실 답이 없는 문제다보니 제 실무경험에 입각하여 안전율을 적용하여
안전하게 설계하는 방식으로 절차와 방법을 서술 하였습니다. 확신이 없던 문제라 걱정을 많이 했는데 점수는
잘 받았습니다.
4번 토공기계 토량변화율, 환산계수.. 1교시 1,2번 문제를 조금 더 넓게 살펴보면 용어 정도는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문제였습니다.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 걱정했는데 평균 이상의 점수를 받았습니다.
5번 크레인 전도하중과 정격총하중의 관계… 3교시 6번과도 유사해보이지만 다른 문제입니다. 저 역시 3교시 문제처럼
접근하여 서술했는데 결과적으로는 1교시 같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지금 작성한다면 각 하중의 정의를 하고,
관련된 하중에 대해서도 추가적으로 언급을 해주면서, 전도하중에 대해서 정격총하중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실무에서는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한 뒤 최근 많이 일어났던 크레인 전복사고들에 대한 경각심과
기술사로서의 역할에 대한 첨언을 하며 마무리 할듯 싶습니다.
이 문제역시 방장님 입문편 특강을 보시면 쉽게 정리하실 수 있을것이라 사료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건설기계기술사 준비하시는 많은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117회 면접 시험 화이팅입니다! (저에게 하는 말입니다 ^^)
기계기술사의 종류 및 주요항목(건설기계, 산업기계, 건축기계설비, 공조냉동기계)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취업을 위해서 또는 자기개발을 위해서 기사자격을 취득하는 분들이 꾀 있습니다.
그리고 경력이 쌓여 그 다음 단계인 기술사에 도전하시는 분들도 적지 않습니다.
처음 기술사에 도전하기 위해서는 기술사 종목에는 무엇이 있는지, 어떤 종목이 나에게 맞을지 찾아봐야 합니다.
무작정 종목 이름만 봐서는 어떤 직종에 특화된 종목인지 알기 힘든 경우가 있습니다.
여러 종목 중 나에게 맞는 종목은 무엇일지 좀 더 쉽게 알아내는 방법은 각 종목별 시험과목(항목)을 확인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제가 찾다가 자료가 잘 없어 정리합니다.(메이드 바이 휴먼)
(각 기술사에 대한 상세 내용은 Q-net 및 타 블로그에 잘 소개되어 있습니다. 여기서는 각 시험과목비교 에 초점을 맞추어 보시길 바랍니다 .)
건설기계기술사 합격률 및 시험일정, 진로 및 전망은?
건설기계기술사 합격률 및 시험일정, 진로 및 전망은?
건설기계기술사 자격증은 최근 5년 동안 필기+실기 접수인원이 연평균 3.5%씩 증가하며 인기상승 중입니다.
최근 시험트렌드 및 기본정보, 접수인원 및 합격자현황 등에 대해서는 아래에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ㅁ 최근 시험 트렌드
– 최근 5개년 필기 합격률은 14.0%, 실기 합격률은 59.9%입니다
– 최근 5개년 접수 남자평균은 180명, 여자평균은 2명으로 남자가 전체 응시자 중 99%, 여자가 전체 응시자 중 1%입니다
– 최근 5개년 필기+실기 접수인원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30대로 83명입니다
– 최근 5개년 필기 합격인원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30대로 10명입니다
– 최근 5개년 실기 합격인원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30대로 10명입니다
ㅁ 기본정보
국내 건설기계 생산기술은 범용부품의 경우 선진국 수준에 근접하고 있으나, 엔진, 유 압장치 등 주요 핵심부품은 낙후된 상태에 머물러 있다. 특히 시스템 디자인, 인간공 학 설계기술, 전자제어기술 등은 크게 뒤쳐져 있다. 이에 따라 건설기계의 기술향상 을 위하여 기계에 관한 공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건설기계와 관련한 공정, 기술과 관 련된 직무를 수행할 전문적 지식과 풍부한 실무경험을 갖춘 기술인을 배출하기 위해 자 격을 제정.
ㅁ 접수인원
ㅇ 필기
– 필기 접수인원 15년 138명, 16년 150명, 17년 157명, 18년 160명, 19년 151명입니다
– 15년부터 19년까지 필기 접수인원 평균은 151명, 연평균증가율 2.3%입니다
ㅇ 실기
– 실기 접수인원 15년 13명, 16년 30명, 17년 41명, 18년 42명, 19년 22명입니다
– 15년부터 19년까지 실기 접수인원 평균은 30명, 연평균증가율 14.1%입니다
ㅇ 연령별
– 최근 5개년 필기+실기 접수인원 추이 10대 평균은 1명(전체 응시자 중 1%), 20대 평균은 4명(전체 응시자 중 2%), 30대 평균은 83명(전체 응시자 중 46%), 40대 평균은 69명(전체 응시자 중 38%), 50대 평균은 20명(전체 응시자 중 11%), 60대이상 평균은 5명(전체 응시자 중 3%)입니다
ㅁ 합격자 현황
ㅇ 필기
– 필기 합격자수는 15년 8명, 16년 19명, 17년 26명, 18년 19명, 19년 16명으로 최근 5개년 평균은 18명입니다
– 필기 합격률(%)는 15년 7.2%, 16년 16.0%, 17년 20.2%, 18년 14.5%, 19년 12.0%으로 최근 5개년 평균은 14.0%입니다
ㅇ 실기
– 실기 합격자수는 15년 8명, 16년 13명, 17년 21명, 18년 29명, 19년 16명으로 최근 5개년 평균은 17명입니다
– 실기 합격률(%)는 15년 61.5%, 16년 44.8%, 17년 51.2%, 18년 69.1%, 19년 72.7%으로 최근 5개년 평균은 59.9%입니다
ㅇ 연령별
– 최근 5개년 필기합격인원 추이 10대 평균은 0명(전체 응시자 중 0%), 20대 평균은 0명(전체 응시자 중 0%), 30대 평균은 10명(전체 응시자 중 54%), 40대 평균은 6명(전체 응시자 중 30%), 50대 평균은 2명(전체 응시자 중 10%), 60대이상 평균은 1명(전체 응시자 중 5%)입니다
– 최근 5개년 실기합격인원 추이 10대 평균은 0명(전체 응시자 중 0%), 20대 평균은 0명(전체 응시자 중 0%), 30대 평균은 10명(전체 응시자 중 55%), 40대 평균은 6명(전체 응시자 중 32%), 50대 평균은 2명(전체 응시자 중 11%), 60대이상 평균은 1명(전체 응시자 중 6%)입니다
ㅁ 시험일정
구분 필기원서접수
( 인터넷 )( 휴일제외 ) 필기시험 필기합격
( 예정자 ) 발표 실기원서접수 ( 휴일제외 ) 실기시험 최종합격자 발표일 2021 년 정기 기술사 123 회 2021.01.05 ~ 2021.01.08 2021.01.30 2021.03.05 2021.03.08 ~ 2021.03.11 2021.04.10~2021.04.21 2021.05.07 2021 년 정기 기술사 125 회 2021.07.06 ~ 2021.07.09 2021.07.31 2021.09.10 2021.09.13 ~ 2021.09.16 2021.10.16~2021.10.26 2021.11.12
ㅁ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② 관련학과 : 대학의 산업기계공학, 기계설계공학, 기관공학 외 기계분야 학과
③ 시험과목 – 토목기계, 포장기계, 준설선, 건설플랜트기계설비 및 기타 건설기계에 관한 사항
④ 검정방법
– 필기 :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매교시당 100분, 총 400분)
– 면접 : 구술형 면접(30분정도)
⑤ 합격기준
– 필기·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ㅁ 진로 및 전망
– 주로 건설업체, 감리전문업체, 엔지니어링업체 등으로 진출하며, 일부는 기술사 사무소를 개설하거나 건설기계제작 및 정비업체, 행정분야, 학계, 연구소 등으로 진출한다.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의 특급감리원이나, 「전기 사업법」에 의한 기계안전관리사로 고용될 수 있다.
– 건설기계산업은 건설경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국내 건설경기는 IMF관리 체제 편입 이후 어려움을 겪었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대규모 정부정책사업 (고속철도, 신공항건설)의 활성화와 민간부문의 주택건설증가, 경제발전에 따른 건설촉진 등에 의하여 점차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세계 건설산업의 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건설기계 수출도 늘어날 전망이다. 이러한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국내 건설기계 기술수준은 일부 기종을 제외하면 엔진·유압장치 등 주요 핵심부품을 수입에 의존하는 등 아직도 낙후된 상태이다. 또한 핵심기술인력도 부족하여 지속적인 기술개발을위해서는 더 많은 인력양성을 필요로 한다. 한편으로 기술자와 같은 전문기술인력은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엔지니어링 및 관련기술서비스업, 기술시험, 검사 및 분석 관련 업무 등으로 진출하는데도 매우 유리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기술사자격취득을 위한 응시인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 장기적으로는 여타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저소음 및 연료절감을 위한 기술개발이나 무인작업화를 위한 로봇개발 등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로봇, 메카트로닉스 기술, 컴퓨터와 연계된 자동제어기술을 습득해두면 더욱 유리할 전망이다.
2021.05.30 – [자격증] – 합격률 100%, 취업 잘 되는 자격증은?
2021.05.30 – [자격증] – 합격률 100%, 취업 잘되는 자격증은? – 2
2021.05.30 – [자격증] – 합격률 100%, 취업 잘되는 자격증은? – 3
건설기계기술사 기출문제, 합격률, 시험일정 등
국가기술자격 건설기계기술사 자격 시험을 알려드릴께요.
하단에 기출문제 및 필기, 실기(면접)시험 전체 출제기준(항목) 파일을 첨부해놨습니다.
※ 자료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큐넷 q-net.or.kr
▣ 국가기술자격증 건설기계기술사
– 건설기계기술사는 해당 분야의 높은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계획, 연구, 설계,
분석, 시험, 운영, 시공, 평가 및 지도, 감리 등의 직무를 담당하게 됩니다.
– 해당 분야의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자격 시험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자격 관련 기관과 정식 명칭
– 관련부처 : 국토교통부
–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 자격명 : 건설기계기술사
– 영문명 : Professional Engineer Construction Equipment
▣ 걸설기계기술사 응시자격
– 아래와 같은 제한이 있습니다
▣ 시험일정(매년 비슷한 시기에 실시 됩니다)
▣ 필기, 면접 시험과목 및 출제항목
– 필기시험 : 단답형/주관식논문형, 400분(1교시당 100분)
과목명 주요항목 세부항목 토목기계,
포장기계,
준설선,
건설플랜트기계설비,
그 밖에 건설기계에 관한 사항 1. 건설기계와 시공법 1. 건설기계일반
2. 작업종류별 분류, 구조 및 기능, 특성, 작업능력
3. 건설기계의 운용 및 시공관리
4. 건설기계의 기계화 시공 실무
5. 건설기계의 사고 및 파손분석-사고원인 및 대책 2. 플랜트 및 기계설비 시공 1. 플랜트 기계설비의 종류 및 특성, 기계장비 투입계획
2. 기계 설비공사의 입찰, 계약, 사업수행단계의 순서와 각 단계별 사업계획 및 실행 방안
3. 공사 계약 방식의 차이점 및 장단점
4. 중량물 운반 및 시공장비 계획
5. 건설공사의 자동화 시공과 안전대책, 환경공해 방지대책 3. 재료역학 1. 기계공학설계의 기본고려사항
2. 재료의 정역학
3. 응력해석
4. 보의 응력 및 처짐
5. 부정정보 및 균일강도의 보
6. 기둥 : 좌굴/세장비 4. 기계요소설계 1. 표준규격 : KS, ISO
2. 재료의 강도
3. 공차
4. 결합용 요소설계
5. 축과 축이음
6. 베어링 및 윤활
7. 브레이크 장치
8. 스프링의 종류, 허용 응력, 에너지 저장용량, 피로하중
9. 감아걸기 전동장치
10. 기어 장치
11. 마찰전동장치
12. 이송장치 5. 열역학 1. 기초사항
2. 열과 일
3. 이상기체(완전가스)
4. 열역학 제2법칙과 엔트로피
5. 가스 압축
6. 증기 6. 내.외연기관 1. 내연기관의 개요 및 열기관 사이클
2. 기관의 성능
3. 기관의 연료 및 노크
4. 기관의 연소
5. 냉각과 윤활
6. 기관주요부의 운동
7. 외연기관
8. 냉동 사이클 7. 유체역학 1. 유체의 기초 개념
2. 유체 정역학
3. 유체 운동학과 운동량의 법칙
4. 차원해석과 상사법칙
5. 관속의 유체흐름(층류/난류)과 경계층이론
6. 평판의 유체마찰
7. 비정상류와 파동
8. 유체 계측 8. 유체기계 1. 유체기계의 분류
2. 펌프
3. 공기기계
4. 유체 수송장치 9. 유공압기기 1. 유공압기기의 종류, 특징
2. 유공압공학의 기초 이론
3. 유압유
4. 유공압펌프
5. 유공압 액츄에이터
6. 유공압제어밸브
7. 유공압 부속기기
8. 유공압 기본 회로 10. 금속재료 1. 금속재료의 성질과 분류
2. 재료 시험
3. 철강재료의 기본특성과 용도
4. 비철금속재료의 기본 특성과 용도
5. 비금속 재료
6. 열처리와 표면처리
7. 금속의 부식방지법 11. 용점공학 1. 용점방식의 분류 및 적용
2. 용점 열영향부의 역학적 성질
3. 용점 이음의 강도설계
4. 용점 잔류 응력과 용점 변형
5. 용점 결함의 종류와 특징
6. 균열의 종류 및 발생원인, 방지대책
7. 용점부의 시험과 검사
– 면접시험 : 구술형 면접시험, 15~40분
과목명 주요항목 세부항목 필기와 동일 필기와 동일 필기와 동일 품위 및 자질 기술사로서 품위 및 자질 1. 기술사가 갖추어야 할 주된 자질, 사명감, 인성
2. 기술사 자기개발 과제
▣ 시험 합격기준
–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 시험 수수료
– 필기 : 67,800원
– 실기 : 87,100원
▣ 시험 일정, 접수, 출제기준 등 정보확인
– 한국산업인력공단 큐넷 홈페이지 q-net.or.kr
– 전 화 : ☎ 1644-8000
▣ 건설기계기술사 자격증 필기, 면접 시험 합격률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19 133 16 12% 22 16 72.7% 2018 131 19 14.5% 42 29 69% 2017 129 26 20.2% 41 21 51.2% 2016 119 19 16% 29 13 44.8% 2015 111 8 7.2% 13 8 61.5%
♣ 필기시험 연령별 합격률 – 원서접수시 자료
♣ 실기시험 연령별 합격률
▣ 건설기계기술사 기출문제 및 필기, 실기시험 전체 출제기준(항목) 파일
제122회 건설기계기술사(2020년).pdf 0.22MB
건설기계기술사 출제기준(2019.1.1~2022.12.31).hwp 0.09MB
건설기계기술사 시험을 알아봤습니다~
건설기계기술사 기출문제 풀이집
반응형
건설기계기술사 기출문제 풀이집은 오늘날 건설현장에서 근무하는 엔지니어들를 위한 최고의 수험대비서로 건설기계기기술사 공부를 처음 시작하는 수험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과목별, 주제별로 체계적으로 간결하게 구성한 수험서입니다.
최근 기출 문제들을 과목별 유형별로 세분화하여 일목요연하게 구성하였으며, 실전 문제에서 요구하고 있는 내용은 무엇인지 답안은 어떤 형식으로 작성해야 하는지 등의 출제 문제에 대한 대응력과 변별력 그리고 답안 작성 능력을 향상을 위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수록하였다. 총 19년(2001~2019년)간 2회 이상 출제된 문제유형의 해답을 모두 수록하였습니다.
분야별 출제 비중이 높은 내용들을 정리하여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은며 수험생이 분야별 출제경향을 파악하고 이론 정리 및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기출문제들을 촐저히 분석하여 출제된 횟수가 높으며 비중이 큰 문제들을 출제횟수별로 정리하여 중요한 내용을 숙지하고 넘어갈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습니다.
보다 빠른 시간 안에 학습효과를 높이시길 원하시는 분들은 본 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알라딘에서 구매하기
[5회 이상 출제문제]PART 01 건설공사 계약 및 관리(5회 이상 출제문제)
문제유형 01 건설기계의 시간당 작업능력(시간당 작업량), 작업효율
문제유형 02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환경 공해와 방지책
PART 02 건설기계(5회 이상 출제문제)
문제유형 03 건설기계의 안전사고의 형태 발생원인 및 방지대책
문제유형 04 건설기계 설계 시 고려사항 선정 시 고려사항
문제유형 05 토크 컨버터의 구조 및 특징
문제유형 06 건설기계 주행 시 발생하는 4가지 저항
문제유형 07 굴착기의 종류와 용도 Attachment에 따른 분류 정리
문제유형 08 크레인 하중 용어의 정의 및 전방 안정도와 후방 안정도
문제유형 09 크레인의 종류 및 특성
문제유형 10 타워크레인의 기종 선택 타워크레인의 설치 및 해체 순서와 안전 대책
문제유형 11 롤러 종류별 규격 표시 방법 및 타이어 롤러의 밸러스트
문제유형 12 준설선의 종류, 구조 및 특징
문제유형 13 벨트 컨베이어의 개요, 구조, 특성 및 용량(이송량)
문제유형 14 덤프트럭의 용량 호칭, 타이어 부하율 타이어 부하율 상한치
문제유형 15 지게차의 동력전달방식
PART 03 배관 및 Plant 공사(5회 이상 출제문제)
문제유형 16 플랜트 공사의 배관의 설계 및 시공 시 주의사항
문제유형 17 플랜트 공사 계획 수립 시 고려사항
문제유형 18 열병합 발전의 개요 및 특성
문제유형 19 소각로의 종류 및 특성
문제유형 20 부식의 종류, 영향 및 방지 대책 수립
PART 04 기계재료 및 기계가공(5회 이상 출제문제)
문제유형 21 강의 표면 경화법
PART 05 기계설계(5회 이상 출제문제)
문제유형 22 고장력 볼트 및 접합 방법 Torque Shear Bolt 개요 및 특성
문제유형 23 동력전달방식과 축이음
문제유형 24 베어링의 종류 및 특성
문제유형 25 구름 베어링의 계산(수명시간, 동정격 하중, 정정격 하중 등)
문제유형 26 미끄럼 베어링의 윤활 특성(마찰 특성) 페트로프 방정식의 유도
문제유형 27 언더 컷과 전위 기어
문제유형 28 와이어로프의 검사, 폐기 기준 취급 시 주의사항
PART 06 유체기계(5회 이상 출제문제)
문제유형 29 원심 펌프의 동력 계산 효율 및 손실(제반 손실)
문제유형 30 수충격(Water Hammer)과 맥동 현상(Surging)
문제유형 31 Cavitation(기수 분리, 수주 분리)의 발생원인, 영향 및 방지 대책
PART 07 유압기계(5회 이상 출제문제)
문제유형 32 유압장치와 유압 Actuator
문제유형 33 유압장치의 제 현상
문제유형 34 유압 제어 밸브의 종류와 특성
PART 08 재료역학(5회 이상 출제문제)
문제유형 35 피로 강도, 피로 한도 피로 한도 영향(상승, 저감) 인자
문제유형 36 응력과 인장 강도, 탄성 에너지 내력, 충격 하중과 정하중의 관계
문제유형 37 평면도형의 성질
문제유형 38 좌굴과 세장비
PART 09 용접공학(5회 이상 출제문제)
문제유형 39 용접 이음의 충격 강도, 피로강도 및 피로강도 영향 인자
문제유형 40 용접 열 영향부(H.A.Z) 개요, 조직 및 영향
문제유형 41 용접 시 발생하는 잔류 응력의 원인과 대책
문제유형 42 용접 결함의 종류, 발생원인 및 대책
문제유형 43 고온균열, 저온균열의 원인과 영향 및 방지 대책
문제유형 44 용접 시 단계별 수행되는 용접 검사와 비파괴 검사(NDT)
PART 10 내연 기관(5회 이상 출제문제)
문제유형 45 과급기의 종류 및 특성
문제유형 46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 발생기구 및 EGR 장치와 EGR율
문제유형 47 내연 기관의 노킹현상 디젤 기관의 연소과정
문제유형 48 윤활유(유압 작동유)의 역할, 목적, 구비조건, 열화 및 방지책 유압유의 구비조건
[3~4회 출제문제]PART 01 건설공사 계약 및 관리(3~4회 출제문제)
문제유형 49 EPC 건설 공사에서 Risk 관리
PART 02 건설기계(3~4회 출제문제)
문제유형 50 최고 주행속도가 15㎞/h 이하인 건설기계가 갖추어야 하는 조명장치
문제유형 51 무한궤도식 건설기계의 접지압
문제유형 52 축전지(Battery)의 사용 조건, 과방전 및 과충전의 영향
문제유형 53 굴착기의 구조 및 선회 장치
문제유형 54 무한궤도 굴착기의 동력 전달 방식 및 선회 시 동력 전달 순서
문제유형 55 불도저의 종류 및 특성
문제유형 56 이동식 크레인의 선정 및 Rigging Plan, 작업 시 유의사항
문제유형 57 타워크레인의 고정, 지지방법
문제유형 58 롤러의 종류 및 특성
문제유형 59 콘크리트 Batcher Plant의 구조 및 특성
문제유형 60 쇄석 플랜트의 정리, 쇄석기의 종류 및 구조
문제유형 61 운반기계의 종류, 구조 및 특성
문제유형 62 TBM의 구조, 기능 및 특성
PART 03 배관 및 Plant 공사(3~4회 출제문제)
문제유형 63 배관 공사의 종류 및 재질
문제유형 64 배관의 신축이음 및 배관지지대
문제유형 65 배관 검사의 종류 및 시험 방법
PART 04 기계재료 및 기계가공(3~4회 출제문제)
문제유형 66 탄소강의 서냉 조직과 급냉 조직
PART 05 기계설계(3~4회 출제문제)
문제유형 67 나사의 종류와 규격 표기
문제유형 68 나사의 조임과 마찰력 및 효율
문제유형 69 축의 위험속도
문제유형 70 미끄럼 베어링의 요구특성 및 마찰열 발산 방법
문제유형 71 기어의 모듈과 피치
문제유형 72 평 벨트 전동 장치의 벨트 길이 계산
문제유형 73 와이어로프의 종류 및 선정 시 주의사항
문제유형 74 와이어로프 전동장치의 특성 및 로프 풀리의 림과 로프가 받는 응력
문제유형 75 Inverter 구동방식의 종류 및 특성
PART 06 유체기계(3~4회 출제문제)
문제유형 76 펌프의 종류와 특성
PART 07 유체역학(3~4회 출제문제)
문제유형 77 단위계의 정리
문제유형 78 베르누이 방정식의 정리
문제유형 79 관로의 손실 수두, 관 마찰 계수 및 밸브의 유량 특성 K 값
PART 08 유압기계(3~4회 출제문제)
문제유형 80 축압기(Accumulator)와 실린더 쿠션
문제유형 81 유압장치에서 Seal의 종류 및 특성
문제유형 82 유압회로에서 속도를 제어하는 3가지 기본 회로
PART 09 재료역학(3~4회 출제문제)
문제유형 83 금속 재료의 강도, 연성, 인성 및 강성
문제유형 84 재료의 파괴
문제유형 85 금속의 마모 현상의 원인과 특성
문제유형 86 Creep 현상 및 특성
PART 10 용접공학(3~4회 출제문제)
문제유형 87 경도, 인장강도 및 피로강도의 관계
문제유형 88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
문제유형 89 열응력 및 선팽창 계수(열팽창 계수)
PART 11 내연 기관(3~4회 출제문제)
문제유형 90 내연 기관의 피스톤 링의 작용과 구비조건, 플러터 현상
문제유형 91 디젤 기관과 가솔린 기관의 비교
문제유형 92 윤활유(엔진 오일) 첨가제
[2회 출제문제]PART 01 건설공사 계약 및 관리(2회 출제문제)
문제유형 93 해외 플랜트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력 강화 전략
문제유형 94 민간투자사업(SOC:Social Over Capital)
문제유형 95 건설기계 경비의 산정(경제성 평가)
문제유형 96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 공법
문제유형 97 건설현장의 저소음 저진동 공법 개요 및 특성
PART 02 건설기계(2회 출제문제)
문제유형 98 건설기계 관리법상 27종 및 건설기계의 범위
문제유형 99 대형건설기계의 범위
문제유형 100 타이어의 구조와 특성
문제유형 101 하이드로스테틱 구동(Hydrostatic Drive) 방식의 특징
문제유형 102 버킷의 평적용량과 산적용량
문제유형 103 차량의 최소 회전반경
문제유형 104 굴착기 암(Stick)의 종류 및 특성
문제유형 105 무한궤도의 이탈원인과 교체 또는 장력조정
문제유형 106 모터 그레이더의 구조, 작업 방법 및 작업량
문제유형 107 크레인의 기본 동작(운동, 작업) 7가지
문제유형 108 2대 크레인을 이용한 중량물 인양 하중 계산
문제유형 109 크레인 도르레와 와이어로프의 설계
문제유형 110 타워크레인의 운용 관리 시스템
문제유형 111 콘크리트 포장 기계의 종류 및 특성
문제유형 112 콘크리트 믹서(Mixer)의 종류 및 특성
문제유형 113 동력원에 따른 지게차의 종류 및 지게차의 전후경각
문제유형 114 로더의 종류와 특징
문제유형 115 로더의 전도하중(Tipping Load) 버킷 용량
문제유형 116 건설용 리프트의 방호장치와 안전기준, 설치 시 주의사항
PART 03 배관 및 Plant 공사(2회 출제문제)
문제유형 117 석탄가스화 복합발전(IGCC)의 개요 및 특성
문제유형 118 쓰레기 소각설비의 질소산화물 제어기술
문제유형 119 냉각탑의 종류 및 특징
PART 04 기계재료 및 기계가공(2회 출제문제)
문제유형 120 탄소강의 5대 원소
문제유형 121 탄소강의 탄소함유량에 따른 종류 및 열처리 방법
문제유형 122 항온 열처리 곡선(T-T-T)과 각 열처리 단계별 특성
문제유형 123 스테인리스 강의 종류 및 특징, 첨가 주요원소 및 역할
문제유형 124 절삭저항 3분력
PART 05 기계설계(2회 출제문제)
문제유형 125 축 설계 시 고려사항, 바하(Bach)의 축 공식
문제유형 126 굽힘과 비틀림을 동시에 받는 축의 설계
문제유형 127 Oilless Bearing
문제유형 128 미끄럼 베어링 오일 휩의 특징 및 방지법
문제유형 129 기어의 종류 및 특징
문제유형 130 기어의 각 속도비, 물림률 계산
문제유형 131 와이어로프의 안전율
문제유형 132 치수 공차와 끼워 맞춤
PART 06 유체기계(2회 출제문제)
문제유형 133 펌프의 추력 발생원인과 방지대책
문제유형 134 공기압축기의 종류 및 특징
문제유형 135 공기압 장치의 구성 및 Actuator
PART 07 유체역학(2회 출제문제)
문제유형 136 정압, 동압, 전압 및 정압회복
문제유형 137 레이놀즈 수, 프루드 수
PART 08 유압기계(2회 출제문제)
문제유형 138 유압 시스템 설계 시 고려사항
문제유형 139 유압밸브의 채터링(Chattering) 현상
문제유형 140 유압 회로의 압력 제어회로, 속도 제어회로, 방향 제어회로
PART 09 재료역학(2회 출제문제)
문제유형 141 안전율과 허용응력
문제유형 142 응력집중계수, 응력확대계수
문제유형 143 바우싱거 효과
문제유형 144 보(Beam)에서 H 또는 I형강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유
PART 10 용접공학(2회 출제문제)
문제유형 145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의 개요와 특성
문제유형 146 탄소강과 스테인리스 강의 용접성
문제유형 147 경도시험 방법 종류 및 특성
PART 11 내연 기관(2회 출제문제)
문제유형 148 연료 및 공기의 혼합비 및 과잉 공기비
문제유형 149 내연 기관의 열효율 향상(엔진 성능 향상) 방안
문제유형 150 Euro-Emission Standard
문제유형 151 디젤 연료의 착화성, 인화점 및 착화점
문제유형 152 열역학 기본법칙
PART 12 기타
문제유형 153 복사 열전달과 Configuration Factor
문제유형 154 브레이튼 사이클의 원리 및 특징
■ (총1회) 출제문제
■ 건설기계 기술사 면접 자료
■ 건설기계 기술사 면접 대비 필기 문항
■ 실제 출제 면접 문제
■ 저자 약력
반응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안양시청 공무원, 건설기계기술사 시험에 최종 합격해
안양시 공무원이 기술사 자격을 취득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주인공은 안양시 수도시설과에 근무하는 황규도(47. 공업7급) 주무관.
황 주무관은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이 치른 제126회 건설기계기술사 시험에 지난달 19일 최종 합격해 최근 자격증을 전달받았다.
기술사 시험은 해당 분야 지식을 두루 습득해야 어려움이 있어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자격증 취득은 시 공업직 공무원으로는 최초다.
성균관대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한 황 주무관은 한국철도공사를 거쳐 2015년부터 시에 재직 중이며 스마트관망인프라 구축과 상수도관망 기술진단 등의 업무를 맡고 있다.
그는 “저의 지식을 시 건설행정 발전과 수돗물 안정적 공급에 쏟아 붓겠다”면서 “도움을 준 주변 동료 직원들에게도 고마움을 전한다”고 말했다.
소식을 들은 최대호 시장은 “황 주무관의 합격은 시 전체 공무원들에게 자긍심을 심어준 것”이라고 칭찬한 뒤 “건설행정 향상에 부응해달라”고 격려했다.
앞서 시는 지난해 한 기술직 팀장이 ‘도시계획기술사’에 합격해 기술사 3개 분야 자격증을 취득해 일명 ‘트리플크라운’을 달성하기도 했다.
[ 경기신문 = 송경식 기자 ]
키워드에 대한 정보 건설 기계 기술사
다음은 Bing에서 건설 기계 기술사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건설기계기술사 한상진 교수님의 공부과정 대공개!
- 건설기계기술사
- 건설기계기술사필기
- 건설기계기술사1차
- 건설기계기술사시험
- 건설기계기술사교채
- 건설기계기술사학원
- 건설기계기술사영상
- 건설기계기술사과년도
- 건설기계기술사한상진
- 주경야독
건설기계기술사 #한상진 #교수님의 #공부과정 #대공개!
YouTube에서 건설 기계 기술사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건설기계기술사 한상진 교수님의 공부과정 대공개! | 건설 기계 기술사,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