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과 화학 세특 | 서울대생이 만든 세특 주제 2편 (30개) [영상 설명 꼭 볼 것!] 154 개의 가장 정확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간호학 과 화학 세특 – 서울대생이 만든 세특 주제 2편 (30개) [영상 설명 꼭 볼 것!]“?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giaoductieuhoc.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giaoductieuhoc.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송쌤 | 나만의 이야기 찾기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3,139회 및 좋아요 55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간호학 과 화학 세특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서울대생이 만든 세특 주제 2편 (30개) [영상 설명 꼭 볼 것!] – 간호학 과 화학 세특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제가 만든 세특 주제들입니다. 학생부 준비하실 때 참고하세요!
* 절대로 그대로 쓰지 마세요. 표절률 올라갑니다.
========================================
학생부 세특 주제 모음 : https://blog.naver.com/ssy3348
세특 주제가 급할 때만! : https://m.expert.naver.com/mobile/expert/product/detail?storeId=100016254\u0026productId=100038375
세특 첨삭이 급할때만! : https://m.expert.naver.com/mobile/expert/product/detail?storeId=100016254\u0026productId=100061091

간호학 과 화학 세특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간호학과 대학 세특작성은? – 네이버 블로그

쉽게 간호학과 대학 연관지을 수 있는. 물리나 화학과목이 아니라면. 어떻게 연관을 시켜야 할지 어려울텐데요. 물리나 화학은 대학에서 배울 수 있는.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10/8/2022

View: 8985

화학 발표(진로 간호사) by 민섭 이 – Prezi

천연 의약품. 1. 천연 의약품이란? 자연에서 산출되어 그대로 쓰거나 간단한 가공을 하여 약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동물, 식물, 광물성이 있다. 한약과 알칼로이드로 구분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prezi.com

Date Published: 12/1/2022

View: 8299

간호학 과 화학 세특 | [수시장인] 간호학과 생기부 세특 우수사례 …

간호학과 대학 세특작성은? ·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 생명과학 세특 – 대학백과 · 화학 발표(진로 간호사) by 민섭 이 – Prezi · 화학Ⅱ(2) 세부능력 및 특기 …

+ 여기에 보기

Source: ppa.1111.com.vn

Date Published: 5/25/2022

View: 1683

화학Ⅰ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세특) 예시 – math-son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에 기반한 학생의 학업 내용 및 성취수준 등. – 학생 개인별 또는 모둠별 활동 중 보여준 태도, 학습참여도, 역량 등.

+ 여기에 보기

Source: math-son.tistory.com

Date Published: 12/15/2022

View: 8121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 생명과학 세특 – 대학백과

😢 (내신이 특출나지 않아요.) 음 간호학과라서 생명과학과를 많이 보거나 하진 않을거에요 저는 화학신소재공학부인데 화학세특많이 안채우고 수학이랑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univ100.kr

Date Published: 6/17/2022

View: 3073

간호학과 입시를 준비하는 고3친구들 질문해주새오 – 인스티즈

고등학교 3년 내내 간호학과만을 위해서 살았지요….자소서 생기부 면접준비 궁금한거 전부 물어봐여내가 작년에 힘들었던 기억때문에 간호학과 간절한 친구들 도움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instiz.net

Date Published: 2/15/2022

View: 7965

[학종 평가의 비밀] 내신 낮아도 기죽지 마! 세특 기록 잘 받을 수 …

교과 세특은 교과 학습과 관련한 학생의 학업능력, 교과 적성, … 화학Ⅰ: 탄소화합물 활동 사례 조사하기 활동에서 타이레놀은 왜 소염 효과가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edujin.co.kr

Date Published: 8/10/2021

View: 3419

[2021수시 합격생 릴레이 인터뷰] 경희대 간호학과 이소연

생명 원리의 본질에 접근한 <생명과학Ⅱ>, 쉽지 않은 도전이었지만 흥미진진했어요” 이소연 | 경희대 간호학과, 강원 북평여고 의학 계열로 진학하고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nojaesu.com

Date Published: 8/21/2021

View: 402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간호학 과 화학 세특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서울대생이 만든 세특 주제 2편 (30개) [영상 설명 꼭 볼 것!].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서울대생이 만든 세특 주제 2편 (30개) [영상 설명 꼭 볼 것!]
서울대생이 만든 세특 주제 2편 (30개) [영상 설명 꼭 볼 것!]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간호학 과 화학 세특

  • Author: 송쌤 | 나만의 이야기 찾기
  • Views: 조회수 3,139회
  • Likes: 좋아요 55개
  • Date Published: 2022. 7. 23.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lNPMjN2b-Mo

간호학 과 화학 세특 | [수시장인] 간호학과 생기부 세특 우수사례 / 간호대 학생부 세특 예시 255 개의 베스트 답변

We are using cookies to give you the best experience on our website.

You can find out more about which cookies we are using or switch them off in settings.

화학Ⅰ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세특) 예시

728×90

반응형

728×170

SMALL

□ 내용 구성

– 학생의 수행평가 결과물 및 과정에 대한 관찰기록을 활용

– 학습 과정을 통한 학생의 변화와 성장, 자기 성찰 등

–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에 기반한 학생의 학업 내용 및 성취수준 등

– 학생 개인별 또는 모둠별 활동 중 보여준 태도, 학습참여도, 역량 등

– 학생의 교과 흥미나 관심분야, 적성이나 진로 등

– 학생이 보여준 강점, 약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 등

□ 기재 예시

728×90

반응형

그리드형

LIST

[학종 평가의 비밀] 내신 낮아도 기죽지 마! 세특 기록 잘 받을 수 있으니까!

에듀진이 [학종 평가의 비밀]이라는 제목으로 연재하고 있는 기사들은 독자 여러분이 어디서도 보지 못했던 아주아주 특별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름 그대로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생기부 기록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그 비밀을 풀어낸 것입니다.

학종 평가가 대부분 학업역량, 전공적합성 등 4개의 평가 항목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생기부 기록 평가에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해선 거의 모릅니다. 그 누구도 알려주지 않았던 답을 알고 싶다면 이번 시리즈를 정독해 주시기 바랍니다.

교과 세특은 교과 학습과 관련한 학생의 학업능력, 교과 적성, 학습활동 참여도 및 태도, 성장을 가늠할 수 있는 성과 등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학생들 중에는 세특 기록을 위해 거창한 탐구활동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세특은 교과수업 중에 일어나는 활동을 기록하는 항목이므로 교과 수업에 충실히 임하는 것이 기본이자 해법이다.

수업 연계 활동으로 성장의 모습을 보이자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가운데 배운 내용 중 중요하거나 이해가 어려운 내용을 탐구해 내신 성적 향상을 꾀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간다면 수업 중 흥미를 느낀 분야를 더 깊이 탐구하기 위해 독서를 한 후 감상문을 쓴다거나, 자신이 가진 배경지식을 활용해 발표를 하는 식으로 활동을 확장할 수도 있다.

현실적으로 교사가 모든 학생의 활동을 세세하게 기억하고 기록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학생 스스로 자신의 참여 활동과 성과를 정리해 이를 학생부 기록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신의 학생부를 꾸준히 점검해가는 것이 중요하다.

적극적 활동 수행이 좋은 평가를 만든다

세특에 학업역량이 높게 기록돼 있는 경우는 대체로 내신등급이 높은 학생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내신 등급이 높아야만 세특 기록이 좋은 것은 아니다.

내신은 조금 부족하더라도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 끊임없이 질문하고 스스로 답을 찾는 학생, 지식의 폭을 확장시키려고 노력하는 학생, 그러한 결과물을 만들어 제출한 학생, 그 결과를 친구들과 공유하기 위해 발표하는 학생 은 우수한 학생이라는 기록을 세특에 새길 수 있다.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해 학습, 실험, 독서 등으로 배움을 확장해 나가는 학생이 좋은 평가를 받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따라서 내신이 낮아 실망하기보다 내신을 끌어올리기 위한 다양한 모든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다 보면 결과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 이다.

과목별 세특에 희망 전공과 관련한 탐구의 모습이 일관적으로 나타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희망 전공이 역사학이라면 국어, 수학 등 다른 과목 수업을 할 때도 역사와 관련한 소재를 찾아 관련 탐구를 해나가는 식이다. 단, 이를 위해 먼저 해야 할 것이 있다. 각 교과 선생님들과 적극적으로 상호작용을 해나가는 것 이다.

선생님이 자신의 희망 진로가 무엇인지 모르면 수업에서 희망 전공과 관련한 탐구를 펼쳤다 해도 그 사실을 세특 항목에 기록해줄 수 없다. 선생님과의 적극적인 소통이 중요한 이유이다.

■ 지적 호기심 해결은 이렇게!

(교과서나 배경지식을 통해) 호기심이 생김 → (질문, 독서, 설문조사, 연구물 탐색, 다큐멘터리 시청 등으로) 호기심 해결 → 활동 소감문 또는 감상문 쓰기 → 발표

학생의 호기심은 학생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호기심을 해결하는 방법도 수십 가지이다. 예를 들어 질문으로 호기심을 해결할 때에도 수업 중 질문을 하거나 혹은 수업 후 복도나 교무실에서 질문을 하는 식의 여러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 중 쉽고 편한 길 말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발휘해 스스로 답을 찾아 호기심을 해결하는 것이 더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이다.

독서, 설문조사, 연구물 탐색 등 어떤 방법을 선택해 탐구했는가도 학생의 역량을 판단할 때 중요하게 고려된다. 물론 이 모든 활동은 수업 중 선생님의 관찰 하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명심하자.

발표로 내 역량 적극적으로 어필하자

탐구활동 후에는 대개 활동 소감문을 쓰는데, 선생님이 학생들의 모든 기록을 다 기억할 수는 없다. 이럴 경우를 대비한 묘안이 있다. 바로 발표이다. 자신이 알게 된 지식을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고 선생님에게도 강한 인상을 남길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은 학생 중심 수업이다. 호기심을 자기주도적으로 해결하고 그것을 친구들과 공유하고 싶다는 학생을 거부할 선생님은 없다.

수업 중 손을 들고 활동 소감문이나 예습·복습한 내용을 발표하고 싶다는 의사를 전달하면 선생님이 허락해줄 것이다. 발표를 할 경우 선생님은 학생이 어떤 호기심을 갖고 어떻게 호기심을 해결해 갔는지를 자세히 알게 된다.

더욱이 발표 내용에 깊이와 창의성이 있고 면학분위기 향상에도 도움을 줬다면, 지적 탐구력이 뛰어나고 면학 분위기를 만드는 데 주도적으로 나선 우수한 학생으로 세특 항목에 기록될 것이다.

이를 위해 평소 선생님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만들어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수업에 최선을 다하고 적극적으로 임해 선생님에게 좋은 인상을 남긴 학생이 더 많은 기회를 얻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성실한 자세로 수업에 임하고 선생님이 시키지 않더라도 용기를 내어 스스로 손을 들고 발표도 하고 학급 내 면학분위기도 만들어가는 노력을 해보자. 구해야 찾을 수 있고 두드려야 열린다.

가천대학교 입학처[배너 클릭]

■ 세특 우수 기록 사례

수학: 매 단원이 끝날 때마다 조별학습을 실시하여 관련 이론에 대해 깊이 탐구하며 고난도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친구들과 토의하며 이를 기록하며 활동적인 수업을 함. 복소평면에 대한 친구의 발표를 듣고 그것을 탐구해 복소수의 n제곱을 양의 실수로 만드는 최소의 자연수n의 값만 구할 수 있는 공식으로부터 같은 조건에서 음의 실수, 계수, 차수, 양수인 순허수, 실수, 순허수로 만드는 n을 구할 수 있게 해주는 확장된 공식을 유도함.

또한 통상적인 판별식을 통한 풀이를 사용하지 않고 중근을 가진 식에 상수를 곱했을 뿐이라는 것을 이용한 간단한 방식으로 답을 유도함. 평행선과 관련된 가로등 문제를 삼각형의 비를 통해 풀어내는 등 조별활동에서 다양한 문제에 대한 새로운 풀이법을 주도적으로 찾아내고 친구들의 이해를 돕는데 힘씀.

화학Ⅰ: 탄소화합물 활동 사례 조사하기 활동에서 타이레놀은 왜 소염 효과가 없을까 라는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진통제를 흔히 사용되는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과 아스피린의 소염 작용을 비교하는 활동을 하고 소감문을 작성함. 소염 작용 매커니즘 이해를 바탕으로 아스피린과 타이레놀 구조에서 산성을 띄게 하는 작용기인 카복실기의 유무 차이 때문에 소염작용이 결정됨을 설명함. 이온 결합물질의 용해성, 산염기의 정의 등과 같은 화학지식을 바탕으로 생체반응에 적용해서 쉽게 설명한 점이 돋보임.

중화 적정을 통한 식초 속의 아세트산 농도 구하기 실험에서 0.1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시판되는 식초를 적정 시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의 색변화를 통해 중화점을 정확히 찾아냄. 또한 적정에 사용한 수산화나트륨의 양을 이용해 식초의 아세트산의 몰농도와 농도를 계산하는 등 뛰어난 해석 능력을 보임.

실용영어Ⅱ: 기숙학교에 대한 찬반문제와 SNS 이용 시 유의점 등에 관한 지문을 읽고 모둠별 활동을 하였으며, 내가 다녀온 여행지를 소개하는 말하기 수행평가에서 ‘고창 방문기’를 자연스럽게 유창하게 발표하여 높은 점수를 받음. 평소 교과서의 복잡한 문장구조에 대해 분석으로 접근하고 수업에 대한 집중도가 높음. 영어반장으로 모둠별 수업에서 부족한 팀원들을 잘 도와주고 수업태도가 바람직하여 반 전체의 분위기를 학구적으로 만드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함. 지문을 읽는 속도가 빠르고 문단의 핵심어휘와 글의 요지를 정확히 파악하여 사건을 시간 순서대로 분석하는 능력이 우수하고 글의 흐름을 통해 새로운 낱말이나 어구의 의미를 추측하는 능력이 뛰어남.

*명문대 합격생 학생부 대공개Ⅱ에는 더 많은 기록 사례가 실려 있습니다.

*에듀진 기사 URL: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058

기사 이동 시 본 기사 URL을 반드시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기사는 단행본 ‘명문대 합격생 학생부 대공개Ⅱ’에 실린 내용 중 일부입니다.

학종에는 학종만의 ‘평가 룰’이 있고, ‘합격의 지름길’이 분명히 존재합니다. ‘명문대 합격생 학생부 대공개Ⅱ’는 학종의 평가 룰과 합격 지름길을 알려주는 책 입니다. 3년 전 Ⅰ권에서 학종 평가의 원리를 제시했다면, Ⅱ권에서는 12명의 명문대 합격생 학생부를 분석 해 3년 동안 달라진 학생부 기록 트렌드와 학교 활동 노하우, 기록 개선을 위한 활동 방법까지 상세히 알려줍니다.

[2021수시 합격생 릴레이 인터뷰] 경희대 간호학과 이소연

“생명 원리의 본질에 접근한 <생명과학Ⅱ>, 쉽지 않은 도전이었지만 흥미진진했어요”

이소연 | 경희대 간호학과, 강원 북평여고

의학 계열로 진학하고 싶었던 이유는 해외 봉사 활동을 통해 의료 불평등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 싶어서였다. 고등학교에 와서 첫 시험을 보고 나니, 기대만큼 성적이 나오지 않아 현실적인 판단이 필요할 것 같았다. 간호학 전공을 떠올린 건 그때부터다. 과학을 좋아하긴 했지만, 사회 과목들에 더 흥미를 느꼈다. 간호학과는 인문 계열에서도 모집하는 만큼 주로 국어, 영어, 사회 과목들을 선택 이수했지만, 생명과학만큼은 배워야 할 것 같았다. <생명과학Ⅰ> 수업을 들으며 뭔가 얕게 배우는 듯한 아쉬움이 남았다. 자연 계열로 진학할 학생들이 주로 이수하는 <생명과학Ⅱ> 선택은 도전이었지만, 생명 원리의 본질을 이해하는 과정은 그 자체로 흥미진진했다. 공동 교육과정으로 <간호의 기초>를 수강하며 간호사에게 필요한 역량을 간접적으로나마 느껴볼 수 있었다. 경희대 간호학과 이소연씨의 얘기다.

취재 정애선 기자 [email protected]

사진 이의종

사회 과목과 토론 동아리에 꽂힌 이유

고등학교 때 소연씨가 ‘꽂힌’ 과목은 주로 사회 교과 쪽이었다. 중학생 때 언론 계열 진로를 생각한 적도 있었기에 현실 속 문제들을 사회 교과에서 배운 개념으로 해석하고 이해해가는 과정에 흥미를 느꼈다.

“1학년 <통합사회> 수업에서 아프리카의 문화를 조사하던 중 이 지역의 빈곤과 기아의 심각성을 알게 됐어요. 의료 봉사에 그전부터 관심이 있었기에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를 읽으면서 세계적으로 기아와 빈곤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이유를 생각해보게 됐죠. 부패한 사회 구조로 노동자들은 정당한 임금을 받지 못한 채 가난에 시달리고, 이들을 위한 구호 식량이나 구호 자금은 기득권 세력을 강화시키는 데 사용되고 있더라고요. 2학년 때 <세계지리>를 배우면서 처음엔 지리라는 과목이 좀 따분하지 않을까 생각하기도 했는데요. 종교분쟁을 배우면서 국가 간 이해관계가 어떻게 충돌하고, 그에 따라 세계 정세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게 되니 너무 재미있는 거예요. 불평등 이슈를 가장 자세하게 다루는 <사회·문화>를 선택해 의료 불평등 문제를 고민해보기도 했고, <정치와 법>을 배우며 안락사를 주제로 해 ‘죽음을 선택할 권리’라는 제목의 카드 뉴스를 제작해보기도 했어요. 사회 교과 안에서 제가 관심을 갖던 사안들이 모두 연결되는 느낌을 받으니 공부가 더 재미있었죠.”

소연씨의 학생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공통 키워드는 쟁점이 되는 사안을 다각도로 들여다보는 ‘논리적 사고’였다. 교내 모의재판 활동에서 ‘피고인이 자기 집에 무단 침입한 피해자에게 칼로 목을 찔리자 주변에 있던 빨래건조대를 휘둘러 시야 결손이라는 중상해를 입혔다’는 가상의 상황을 설정해 형사재판을 진행하면서, 정당방위를 인정할 수 있는 ‘정확한 판단 기준의 부재’를 고민하게 됐다. 이 경험은 <정치와 법> 수업에서 ‘연명의료결정법’을 주제로 카드 뉴스를 제작할 때 연명 치료 시행 여부를 결정하는 데는 환자 본인의 ‘자기 결정권’과 ‘자율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내는 쪽으로 연결됐다.

간호학과를 희망한다고 해서 꼭 의료 봉사 동아리를 만들 필요는 없을 것 같았다.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의료 쟁점에 대해 토론하는 자율동아리를 만든 이유다.

“1학년 때 과학 실험 동아리를 하면서 주말마다 3시간씩 실험을 하다 보니 ‘현타’가 오더라고요. 하하. 물·화·생·지를 모두 다루기도 했고, 제 관심 분야와는 좀 멀기도 한 데다, 아무래도 학생들이 주축이 되다 보니 할 수 있는 실험에도 한계가 있었고요. 제가 자율동아리를 만들 무렵 한창 수술실 CCTV 설치 문제가 이슈였어요. 다른 친구들의 생각도 궁금해져서 의료계 쟁점을 다룬 기사와 동영상 등을 보고 토론하는 활동에 중점을 둔 ‘의료보건동아리’를 만들었죠. 응급 상황을 늘 마주하는 간호사에겐 자율적 처치와 판단 능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고 생각해요. 이런 경험들이 그 역량을 키우는 데도 도움이 될 것 같았지요.”

간호학 전공 공부 위해 도전한 <생명과학Ⅱ>

자신에게 의미 있는 ‘배움’을 중시한 소연씨의 성향은 <생명과학Ⅱ>와 <간호의 기초> 선택 이수에서도 잘 나타난다. 학교 교육과정 안에서 인문 계열 진로를 생각한 학생들도 <생명과학Ⅰ> 이수는 필수였지만, 그에 멈추지 않고 <생명과학Ⅱ>에 도전한 것은 대학에서 간호학을 공부할 때도 꼭 필요한 지식일 것 같아서였다.

“간호학 전공 수업에 해부학, 생물학, 약리학 등이 있다 보니 인문 계열 학생들이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어요. <생명과학Ⅰ> 수업을 들으면서 뭔가 덜 배우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죠. <생명과학Ⅱ>도 선택하겠다고 결정은 했는데, 막상 배워보니 만만치는 않더라고요. DNA 합성까지는 정말 재미있었어요. <생명과학Ⅰ>에서 접한 내용들이 이 원리에 의한 거였구나, 알 수 있었으니까요. 그런데 유전으로 넘어가니 너무 어려운 거예요. 솔직히 시험 기간에는 내가 이걸 왜 선택해서 이 고생을 하나 싶기도 했어요. 하하. 결과적으로 3등급(당시 진로선택 과목은 상대평가로 등급이 산출됐다.)이라는 성적으로 마무리하긴 했지만, 지금도 그 선택에 후회는 없어요. 미리 겪어본 만큼 앞으로 배울 전공 수업에 좀 자신이 생겼다고 할까요.”

강원도교육청에서 운영하는 공동 교육과정으로 <간호의 기초>가 개설된다는 걸 알고, 역시 바로 신청했다. 심폐소생술과 응급처치법을 배우고, 수액 혼합과 근육주사, 정맥주사 키트를 활용한 실습을 직접 경험해본 후에는 학교에서 보건도우미에 자원했다.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점심시간마다 학생들의 체온을 기록하고, 공용 물품을 소독하며 작은 보람을 느낄 수 있었다.

“공동 교육과정 수업을 통해 현재 강릉아산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북한 출신 의사 분도 만날 기회가 있었어요. 병원의 기계적인 진료 시스템이 한국 의료의 아쉬운 점 중 하나여서 환자 개인에 대한 관심도를 높여야 한다는 얘길 해주시더라고요. 흔히 간호사는 의사의 일을 보조하는 역할로 한정하기 쉽지만, 환자들을 살피는 데 있어 탄탄한 간호 지식과 소통 기술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 계기였어요.”

스스로에게 의미 있다면 성적 부담 이겨내고 도전하길

수시 지원을 준비하며 자기소개서를 쓸 때, 소연씨가 가장 중점을 둔 것은 ‘간호사로서 어떤 역량을 가장 중시하고, 키워왔는지’였다. 고심 끝에 내린 키워드는 ‘소통’이었다.

“간호사에게 필요한 역량 중 환자와 의료진과의 소통을 빼놓을 수 없잖아요. ‘학습 경험’을 쓰는 자기소개서 1번에 <영어Ⅱ> 수업에서 ‘낙태의 합법화’를 주제로 썼던 영어 에세이를 소재 삼아 사회적, 법적, 윤리적 측면에서 생각해본 끝에 ‘조건적 합법화’라는 방안을 마련했던 과정을 풀어썼어요. 2번 교내 활동에는 ‘정당방위의 판단 기준’을 고민해볼 수 있었던 모의재판과 다양한 의료 쟁점에 대해 친구들과 토론했던 자율동아리 활동 내용을 정리했고요. 소통을 키워드로 삼되, 자율성과 리더십을 학습 역량과 직업 역량 두 측면에서 함께 보여줄 수 있는 경험이라고 생각했으니까요.”

이 같은 노력의 결과로 소연씨는 지원했던 대학 네 곳의 간호학과에 모두 합격했다. 최종 등록할 곳을 결정하는 ‘행복한 고민’의 과정에서 주로 참고했던 곳은 대학생들이 모여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였다.

“‘대학백과’ 같은 온라인 사이트나 간호학과 선배들이 유튜브에 올려놓은 브이로그를 많이 찾아봤어요. 경희대 간호학과는 모집 정원이 상대적으로 많지 않아서 4학년 때 국가고시를 준비할 때 독서실을 따로 제공한다는 점이 끌리더라고요. 더 집중해 공부할 수 있을 것 같아서 경희대로 최종 결정했어요. 거의 일주일 동안 밤을 새며 고민했는데, 단순히 대학 위상만 보기보다는 이런 정보들을 통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곳을 신중히 결정하는 과정도 중요할 것 같아요.”

소연씨가 학생부 종합 전형으로 지원하려는 후배들에게 전하고 싶은 조언은 ‘진심’과 ‘도전’이다.

“저는 성적이 그렇게까지 높은 편은 아니었고, 제가 다닌 학교에 대단한 수시 프로그램이 있었던 것도 아니었어요. 하지만 찾아보면 학교 안에서도 얼마든지 할 수 있는 경험들이 많더라고요. 제가 성적에 대한 부담을 이겨내고 <생명과학Ⅱ>를 선택했던 것처럼, 스스로에게 의미 있다는 확신이 든다면 너무 걱정하지 말고 도전했으면 좋겠어요. 그 진정성을 분명 대학에서도 봐줄 거란 걸, 저도 입시를 끝내고 보니 느껴지더라고요. 꼭 진로와 직결된 활동만 할 필요도 없어요. 제가 사회 과목이나 독서 토론 활동을 많이 한 편이었잖아요. 자기소개서를 쓰면서 고등학교 3년 동안 해온 모든 것들에서 다 배운 게 있고, 연결된다는 걸 느낄 수 있었어요. 한 분야에만 매몰되지 말고, 넓게 바라보길 권하고 싶어요.”

나를 보여준 학생부 & 자기소개서

학생부

1학년

▒ 창의적 체험 활동

토론 동아리와 과학 실험 동아리 활동, NGO 단체에서 주관한 아프리카 신생아들에게 전달할 모자 뜨기 캠페인 참여

▒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

<통합사회> 문화권별 조별 발표 활동에서 아프리카 국가들이 겪는 경제적 어려움의 원인을 세계 경제 구조의 모순을 통해 설명

2학년

▒ 창의적 체험 활동

토론 동아리에서 ‘수술실 CCTV 설치’를 주제로 찬반 토론 진행, 의료보건 자율동아리를 개설해 ‘의료인 폭행 사건으로 본 안전한 의료 환경을 위한 대책’ 등 의료 쟁점 토론 활동 진행, 요양원 어르신 봉사 활동

▒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

<영어Ⅱ> ‘낙태 합법화’를 주제로 영어 에세이 작성, <세계지리> ‘세계여행 계획서 만들기’ 활동에서 중앙아메리카 국가들을 다루며 유럽의 식민 지배에 대한 내용을 적용, <정치와 법> 안락사를 주제로 해 ‘죽음을 선택할 권리’라는 제목의 카드 뉴스 제작, <간호의 기초> 공동 교육과정으로 이수

3학년

▒ 창의적 체험 활동

의료보건 자율동아리 활동, ‘미래 사회 변화와 유망 직업 알아보기’ 활동을 통해 노인 전문 간호사의 수요 증가 예측 제시

▒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

<독서> <바이러스 쇼크>를 읽고 ‘바이러스 시대에서 살아가기 위해’라는 제목의 서평 작성, <영어독해와 작문> 유전자 특허의 문제점을 다룬 지문을 선택해 <사회·문화>에서 배운 문화지체 현상과 연관 지어 발표, <사회·문화> ‘코로나 시대의 사회적 불평등’ 주제로 조사, <생활과 윤리> 안락사 문제와 낙태죄 등의 주제 토론 참여, <생명과학Ⅱ> 코로나바이러스의 특징에 대해 조사하며 DNA와 RNA의 구조적 특징 조사

선택과목

▒ <세계지리>

지리는 따분할 거라는 고정관념을 깰 수 있었던 과목이다. 수행평가를 통해 제국주의 열강과 선진국에 의해 억압당했던 약소국들의 삶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었고, 세계 정세의 변화가 어떤 국가적 이해관계의 충돌 안에서 나타나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 <정치와 법>

의료 윤리와 의료법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을 것 같아 선택한 과목. 연명의료결정법의 대상과 범위가 확대되면서 안락사를 주제로 하자는 의견을 내고 ‘죽음을 선택할 권리’라는 제목의 카드 뉴스를 제작하기도 했다.

▒ <사회·문화>

‘사회 계층과 불평등’을 다루는 단원이 있는 만큼 관심 있었던 ‘의료 불평등’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아 선택했다. 주제 탐구 활동으로 ‘코로나19 시대의 사회 불평등’을 정하고 경제적, 의료적 측면에서 나타난 불평등 문제를 조사했다. 미국의 코로나19 확진자를 소득과 인종에 따라 분석한 결과 인종과 부에 따라 의료 복지의 불평등이 존재함을 제시하고, 코로나19로 인한 새로운 계급화가 등장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 <생명과학Ⅱ>

간호학 전공 수업에 적응하려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해 선택했다. <생명과학Ⅰ> 수업을 들으며 얕게 배우는 것 같았던 아쉬움을 해소할 수 있었기에 어렵긴 했지만, 지금도 잘한 결정이었다고 생각한다.

▒ <간호의 기초>

2학년 때 공동 교육과정으로 개설된다는 공지를 보고 신청했다. 심리학, 역사, 소프트웨어 등 학교 밖에서 제공되는 공동 교육과정 수업을 통해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는 학생들의 모습도 자극이 됐다. 간호학에 대한 관심을 보여줄 수 있을 것 같아 선택하기도 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간호학 과 화학 세특

다음은 Bing에서 간호학 과 화학 세특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서울대생이 만든 세특 주제 2편 (30개) [영상 설명 꼭 볼 것!]

  • 학생부
  • 세특
  • 주제

서울대생이 #만든 #세특 #주제 #2편 #(30개) #[영상 #설명 #꼭 #볼 #것!]


YouTube에서 간호학 과 화학 세특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서울대생이 만든 세특 주제 2편 (30개) [영상 설명 꼭 볼 것!] | 간호학 과 화학 세특,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Semaine Fédérale Cyclotourisme 2023 | Semaine Fédérale De Cyclotourisme 2022 : Vivez L’Événement ! 491 개의 새로운 답변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