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통신 기사 실기 | [방송통신기사] 방송제작 최근 답변 226개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방송 통신 기사 실기 – [방송통신기사] 방송제작“?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giaoductieuhoc.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giaoductieuhoc.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Ucampus_ac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245회 및 좋아요 12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방송 통신 기사 실기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방송통신기사] 방송제작 – 방송 통신 기사 실기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방송통신기사] 방송제작
Ucampus는 특성화고 공무원, 공기업(공사) 취업 및 9급/7급 기술직공무원 공채 전문 사이트 입니다.
또한, 자격증을 기반으로 국내 공사(공기업) 및 기술직공무원 취업에 있어 최다의 합격자를 배출하는 입사전문 학원입니다.
그리고, 지상파방송국 KBS, MBC, SBS를 포함하여 케이블 방송국까지 방송기술직 입사를위한 국내 유일의 전문 학원입니다.
Ucampus는 매년 전기, 통신분야에 있어 국내 최고 기술자격인 기술사자격 취득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아울러 해외 기술사자격인 미국기술사 취득을 위한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Ucampus는 공학인을 위한 살아있는 국내유일의 공학 전문교육기관입니다.
온라인 교육의 힘, Ucampus는 여러분과 함께 성장합니다.
사이트 : Ucampus.ac
문의전화 : 02)836-3543~5

방송 통신 기사 실기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2020년 제4회 방송통신기사 필기/실기 후기 (합격) – 블로그

실기 과목. 방송통신기사 실기는 복합형(필답+작업)으로, 필답형 한번, 작업형 한번 각각 다른날짜에 시험봅니다. 필답시험을 먼저 보고,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blog.naver.com

Date Published: 11/14/2021

View: 7132

방송통신기사 – 나무위키:대문

여느 기사와 마찬가지로 필기 시험을 본 후, 응시 자격조건이 되는 경우에 한해서 실기시험을 치루는 방식이다. 필기 시험의 경우엔 5과목(전자회로, 방송 …

+ 여기에 보기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4/20/2021

View: 3483

방송통신기사 –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 Q-net

시험정보 · 수수료: – 필기 : 18000 원 / – 실기 : 41300 원 · 출제경향 · 취득방법. ① 시 행 처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② 시험과목. – 필기. 1. 디지털전자회로. 2.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q-net.or.kr

Date Published: 4/23/2022

View: 9282

2018년 제1회 방송통신기사 실기 작업형 후기

일요일 아침 일찍부터 경기도 광주에 위치한 폴리텍 대학에 가서 방송통신기사 시험을 보고 왔다. 지하철을 타고 경기 광주역에 도착 일요일 아침이라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singah.tistory.com

Date Published: 10/22/2022

View: 7378

국가기술자격 : 방송통신기사 합격 후기 – 방송실 희동이

응시 수수료는 필기 18,800원, 실기 43,200원입니다. 방송통신기사의 시험과목 및 시험방법, 응시 자격, 경력 인정 등은 아래와 같습니다.

+ 여기에 보기

Source: cogmltn1957.tistory.com

Date Published: 3/30/2021

View: 3209

방송통신기사 – 국가기술자격검정

인터넷접수 (www.cq.or.kr). *시험일시 및 장소본인선택(선착순). 실기시험 수험생 준비물. 응시준비. 수험표, 신분증, 실기시험 준비물 수험준비물 바로가기.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cq.or.kr

Date Published: 4/28/2022

View: 7256

방송 통신 기사 실기 | [방송통신기사] 방송제작 29125 투표 이 답변

방송 통신 기사 실기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2020년 제4회 방송통신기사 필기/실기 후기 (합격) – 네이버블로그.

+ 여기를 클릭

Source: ppa.covadoc.vn

Date Published: 12/30/2021

View: 4328

통신직 자격증 10편 -( 방송통신기사 공부 방법) – 백취준

방송통신기사 실기의 경우 합격률이 21년도에는 90% 이상입니다. 다른 회차도 상당히 높은데 방송통신기사가 작업형이어서 그렇습니다. 만약 공기업 취업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baekchwijun.tistory.com

Date Published: 9/12/2022

View: 4820

방송통신기사 자료,정보 및 기출문제 다운받기

학원을 통해 자격증을 취득하신다면 훨씬 수월하게 취득 하실 수 있습니다. 무료 국비지원을 확인 해 보시길 바랍니다. 방송통신기사 실기 시험과목 및 …

+ 여기에 보기

Source: taeeon89.tistory.com

Date Published: 12/12/2021

View: 8799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방송 통신 기사 실기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방송통신기사] 방송제작.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방송통신기사] 방송제작
[방송통신기사] 방송제작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방송 통신 기사 실기

  • Author: Ucampus_ac
  • Views: 조회수 1,245회
  • Likes: 좋아요 12개
  • Date Published: 2019. 10. 12.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5OD-xvyLnTI

2020년 제4회 방송통신기사 필기/실기 후기 (합격)

자격증 2020년 제4회 방송통신기사 필기/실기 후기 (합격) mrproper ・ URL 복사 본문 기타 기능 공유하기 신고하기 필기 과목 과목 내용 디지털전자회로 정보통신/무선설비/방송통신/전파전자통신기사 공통과목 (상호간 면제가능) 방송통신기기 방송설비, 라디오, TV, CATV, 지상파TV, 위성방송, 방송측정기기관련 이론 방송미디어공학 음향이론, 영상이론, 조명이론, 방송콘텐츠, 멀티미디어관련 이론 방송통신시스템 방송기술에 관련된 통신이론 전자계산기 및 방송설비기준 컴퓨터구조론 및 방송통신 관련 법규 필기 준비 COMCBT에서 기출문제를 받아 공부하면 되고, 모르는 용어는 KTWORD에서 검색해 보면됩니다. 실생활과 가까운 방송, 미디어, TV 분야를 다루므로 익숙한 용어들은 많고, 복잡한 계산문제는 없습니다. ​ 관련서적으로는 ‘방송통신공학(신화전산기획)’과 ‘디지털방송공학(NT미디어)’이 있습니다. ‘방송통신공학(신화전산기획)’은 방송통신기사 필기 와 필답시험 모두 대비하기에는 아주 좋은것 같고, ‘디지털방송공학(NT미디어)’은 너무 지엽적인 주제(MPEG2 비디오/시스템)를 다루는것 같아 기사 공부용으로는 맞지 않는것 같습니다. 필기 후기 저는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는 면제 신청했습니다. 시험은 정보통신기사, 무선설비기사처럼 공식을 알아야 하는 문제들도 별로 없고, 기출문제에서 대부분 그대로 출제되는듯한 느낌이었습니다. 후기라고 쓸만한 내용이 없네요. 실기 과목 방송통신기사 실기는 복합형(필답+작업)으로, 필답형 한번, 작업형 한번 각각 다른날짜에 시험봅니다. 필답시험을 먼저 보고, 약 1주일 이후부터 작업형 시험을 봅니다. (개인별로 응시일이 다름) 구분 세부항목 시험시간 배점 필답형 방송통신 관련 이론 및 실무 1시간 30분 50점 작업형 1과제. 설계 및 측정이론 2과제. 측정기운용 (SDI 분석기 및 MPEG 분석기) 3과제. 방송신호 분석스펙트럼 분석기 30분 40분 20분 20점 20점 10점 ​ ○ 필답형 (50점) 방송통신기사 필답형 시험은 실기시험기간 첫날에 봅니다. 정보통신기사 필답형 시험과 같은날입니다. 필기 2,3,4과목의 문제들이 필답형으로 나온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일부 문제들은 정보통신/무선설비기사에서 그대로 가져온 문제들도 있습니다. 작업형에서 왠만하면 40점 이상이 나오므로, 필답은 20점 이상 나와주면 됩니다. ​ ○ 작업형 (50점) 방송통신기사 작업형 시험은 필답시험 후 약 5일정도 뒤에 보며, 고사장은 ICT폴리텍대학(경기광주) 한곳 입니다. 작업형은 3개의 과제로 구성되어있는데, 첨부한 샘플문제.pdf를 보시면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출처 : cq.or.kr) 첨부파일 방송통신기사_샘플문제_2019년도 적용v2 .pdf 파일 다운로드 작업형 시험의 각 과제를 간단하게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 1과제. 설계문제 (30분) 디지털 방송시스템 구성, 설정, 측정, 방송신호 측정이론 4파트로 문제 나옵니다. 필답형처럼 종이시험입니다. ​ – 2과제. HD-SDI신호 SDI분석기(TVM-9140) 및 MPEG분석기(MSY-A) (40분) 2과제는 감독관과 1:1인 상황에서 시험을 봅니다. 문제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2개의 계측기를 사용하여 답안을 작성하는 과제입니다. 질의응답도 몇개 정도 합니다. 출처 : KCA 국가기술자격검정. (cq.or.kr) 출처 : KCA 국가기술자격검정. (cq.or.kr) – 3과제. 스펙트럼 분석기로 방송신호 측정 (20분) 3과제 또한 감독관과 1:1인 상황에서 시험을 봅니다. 방송신호(8VSB)의 주파수를 찾고 계측하는 시험입니다. 무선설비기사의 3과제와는 스펙트럼분석기를 활용하는것은 같으나, 측정할 신호와 계측항목이 다릅니다. 실기 준비 실기시험 준비는 학원(한빛전기통신학원)이나 네이버카페(6기사 자격증방)에서 강의를 수강하면 됩니다. ​ 합격자수는 6기사 자격증방이 훨씬 많습니다. 많은 수강생으로 인해 기출문제 복원과 정보공유가 활발한 장점이 있으나, 작업형 장비를 직접 만져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에 학원은 장비를 보유하고 있어 직접 실습하는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수강생이 적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두 곳 합격수기들을 다 읽어보시고 결정하면 될것 같습니다. 방송통신기사가 난이도가 낮은 시험이라 본인 성향에 맞는곳에서 준비하면 될것으로 보입니다. ​ 독학도 가능합니다만, 공부하는것 외에 다른 노력이 필요합니다. 전파진흥원에서 제공하는 샘플문제와 네이버카페(무선설비/정보통신.. 합격의 그날까지)에 복원되어있는 자료들을 다 정리하고, 최신기출문제도 알아서 잘 구해야합니다. 제 생각에는 한번에 합격은 힘들 수 있어도 두번째 정도에 충분히 합격할것 같습니다. ​ TV/STB/Video/Broadcasting관련분야 종사했던 분이라면, 기출문제(필답/작업)와 장비매뉴얼을 구해서 보시면, 충분히 합격한다고 생각됩니다. 위 분야 경력자라면, 처음 다뤄보는 장비가 있더라도 측정하는 항목에 대해서는 대부분 아는 내용일겁니다. 실기 후기 필답형은 기출문제에서 60% 내외로 나온것 같습니다. 저는 기출문제 외에는 특별히 공부하지는 않았습니다. 기출문제에서 그대로 출제된 60%는 다 맞추었고, 나머지 중에 아는 문제가 있어 35점 정도가 예상되었습니다. ​ 작업형은 필답시험 1주일 뒤 쯤에 응시하였고, 대비한 그대로 나와서 많이 쉬웠습니다. ​ 1과제(설계)는 주관식 문제를 푸는것으로, 모든 인원이 한 강의실에서 동시에 봅니다. 1과제가 2과제/3과제와 연계되는 문제도 아닌데, 굳이 작업형 시험일에 보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작업형 시험 진행시간이 상당히 오래걸리는데, 차라리 1과제는 필답시험과 같이 보는게 나을것 같습니다. 1과제 고사실이며, 1과제가 끝나면 2과제/3과제 대기실로 쓰입니다. 1과제가 종료되면, 대기실에서 대기하면서 비번호 순서대로 2과제 강의실, 3과제 강의실로 들어가서 시험을 치루게 됩니다. 비번호는 작을수록 좋습니다. 왜냐하면 번호가 크면 대기시간이 굉장히 길어집니다. 대기실에서 대기하는 동안에는 화장실가는것 외엔 아무것도 못하게 합니다. ​ 2과제(MPEG분석기와 SDI분석기)는 시험문제의 요구항목을 계측기의 출력화면에서 찾아 작성하는 수준이었습니다. 계측기 운용능력을 보는것도 아니고, 어떤상황에서 어떤 항목을 측정해야하는지 문제해결/상황판단능력을 보는것도 아니었습니다. 그리고 감독관께서 장비 셋팅을 다 해놓고 제가 한건 없었던것 같습니다. 일부 용어에 대해서 질의응답을 하는데 한두줄 가볍게 대답하면 됩니다. 감독관님이 아주 친절하셨습니다. ​ 3과제(스펙트럼분석기)는 2과제 끝난 인원이 3과제 강의실로 들어가서 시험보게 됩니다. 스펙트럼분석기에 8VSB 신호가 인가되어 있으니, 바로 측정하고 답안지에 측정값 기입하고 나오면 됩니다. ​ 방송통신기사가 전반적으로 정보통신/무선설비기사보다 준비기간도 짧고 난이도도 낮았습니다. 이론과 원리를 알 필요 없이, 몇가지 수치와 계산방법 그리고 장비 조작순서만 암기해서 시험을 봐도 합격하는 수준인것 같습니다. 방송통신분야 공부가 쉬운것이 아니라, 자격증 취득 난이도가 쉽다는 이야기입니다. ​ 인쇄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국가기술자격, 원서접수 및 시험관련 정보 원서접수, 시험일정, 합격자발표, 정보안내! 원서접수, 합격자발표, 시험일정, 시험정보 안내, 통계자료 등 수험자들에게 보다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1644-8000(유료), 평일(월~금) 9시부터 18시까지, 휴일(토,일요일 및 공휴일)은 쉽니다.

2018년 제1회 방송통신기사 실기 작업형 후기

반응형

일요일 아침 일찍부터 경기도 광주에 위치한 폴리텍 대학에 가서 방송통신기사 시험을 보고 왔다.

지하철을 타고 경기 광주역에 도착 일요일 아침이라 상당히 한산 하다.

버스를 타고 2정거장을 가면 경안중학교 앞에서 내린후 , 좀 걸어가면 ICT 폴리텍 대학이 보인다.

예전에 기능대학이라고 불렀었는데 , 어느새 폴리텍으로 이름이 바뀐것 같네.

학교가 생각보다 작아서 놀람 , 고등학교라고해도 믿을지도…

이거 보고 뭔 시험을 12층에서 봐? 하고 엘레베이터를 탔더니 , 이 건물은 6층까지 밖에 없음

추론 끝에 1공학관 203호 가 1203인것을 알아냄

대기장소 들어가니 이미 많은 분들이 먼저 와서 공부하고 계셨다.

8시 30분즈음 되면 감독관들어와서 설명을 해주며, 신분증 확인 후 뒤집혀진 비번호표를 받아서 목 뒷덜미에 달고

대기를 하다가 09시에 1과목을 동시에 시작한다.

방송통신기사 작업형은 총 3과목으로 이루어진다.

1과목은 필답형으로 단체로 함께 본다. (1시간)

2과목은 장비 조작 및 분석 계측 , 면접 으로 1명씩 들어가며 20분정도 소요된다. (1명당) (시험시간 1시간)

3과목은 MPEG TS 분석으로 4~5명씩 들어가고 5~10분이면 끝난다 (시험시간은 30분)

2과목을 빨리 끝내야 집에 갈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면 되는데 비번호 부여도 뽑기 형식이고

꼭 비번호 순서대로 하는 것도 아니어서 순전히 운이라고 보면 된다.

1과목 20 , 2과목 20 , 3과목 10점의 배점이 있는것으로 알고있는데 (아닐수도 있음)

1,3 과목은 대부분 만점을 받기 때문에 최소 30점은 먹고 들어간다.

필답에서 30점 이하를 받은 사람은 2과목에서 벌어야 된다는 결론이 나온다.

2과목은 SDI분석기 , 패턴송출기 , MPEG 분석기를 모두 만지면서 계측을 하고 , 기술에 대한 면접까지

통과해야 해서 실질적으로 작업형 시험의 당락은 2과목에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2과목은 장비를 만져야 하는지라 개인적으로 실제로 장비를 만져보질 못하고

유튜브와 메뉴얼로만 봐서 어떻게 해야 하나 싶었는데 막상 SDI 신호분석기 앞에 서니

그냥 영상으로 봤던 장비와 똑같다

그리고 들어가면 2~3분 정도 장비를 충분히 훑어볼수 있게해주니 이때 버튼들 위치나 화면들을 잘 보는게 좋다.

시험 공부 할 때는 조작법 숙지만 하고 가고 구술 면접때 있는거 없는거 다 갖다 붙여서 썰좀 풀어주면

통과하는데는 큰 무리없을듯 이라고 생각했으나..아무말 대잔치 할 분위기가 아니었다.

감독관이 면접에서 생각치도 못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물어보셔서 애먹었다.

MPEG이 뭐냐, MPEG을 왜 쓰냐? ,PAT,PMT가 뭐냐 , 이런것들이 어느부분에서 이루어지느냐? 등을 물었다.

님은 장비 조작은 상당히 잘하는 편이라며 현장가시게 되면 좀 더 공부 하시고 가시라는 소리를 들었다.

어쨌든 고민한거에 비해선 상당히 잘 치른 시험이었다.

전체적으로 시험이 쉽긴했는데

대다수 계산해야 되는 문제들은 소숫점 반올림 가지고 말장난 하는 문제가 꽤 있어서

자칫 헛갈리면 틀릴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방송통신기사 실기가 필답 50 , 작업 50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나같은 경우 필답은 25점 정도 건진거 같고 , 작업에서 35점 정도만 건지면 합격선인데 어찌 될지 모르겠네

이미 주사위는 던져졌고 25일에 부디 좋은결과 나오길 바란다.

반응형

국가기술자격 : 방송통신기사 합격 후기

728×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방송실 희동이입니다.

오늘은 국가기술자격 : 방송통신기사 합격 후기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많은 관심과 사랑 부탁드립니다.

방송통신기사는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주관하는 국가기술자격증이며,

취득 시 방송기술직, 방송국 등에서 우대받는 자격증입니다.

https://www.cq.or.kr/main.do

KCA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국가기술자격검정 사이트입니다.

응시자격진단, 원서접수, 시험일정, 취업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어요.

1. 필기(객관식)

2. 실기 필답형(주관식, 서술형)

3. 실기 작업형(주관식, 작업형)

3가지의 유형으로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3번이나 시험을 보아야 합니다.

방송통신기사 자격증은 시중에 문제집이나 전공 서적이 없어 독학을 하기에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응시 수수료는 필기 18,800원, 실기 43,200원입니다.

방송통신기사의 시험과목 및 시험방법, 응시 자격, 경력 인정 등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과목 출제유형(시험시간) 합격기준 필기 1. 디지털전자회로

2. 방송통신기기

3. 방송미디어공학

4. 방송통신시스템

5. 전자계산기일반 및 방송설비기준 객관식 4지선다형(2시간 30분) 과목당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매과목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과목당 20문항 실기 방송기술실무 필답형(1시간30분), 작업형(1시간 30분) 100점을 만점으로 60점 이상

응시 자격 및 경력 인정 기준

산업기사 취득 후 + 실무경력 1년

기능사 취득 후 + 실무경력 3년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다른 종목 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 취득자

대졸(관련학과)

전문대졸(3년제/관련학과) 후 + 실무경력 1년

전문대졸(2년제/관련학과) 후 + 실무경력 2년

기술훈련과정 이수자(기사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산업기사수준) 이수 후+ 실무경력 2년

실무경력 4년 등

통신직무분야-전기, 전자, 정보처리직무분야 및 산업응용직무분야중 공장관리, 품질경영, 품질관리, 포장 업무

세부 응시 자격 산업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3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관련학과의 대학 졸업자 등 또는 졸업 예정자

3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2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또는 그 이수 예정자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로서 이수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외국에서 동일한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사람

종목별 면제과목 (국가기술자격법 시행령 제17조) 이미 무선종사자가 자격을 취득한 자가 취득한 국가기술자격의 종목과 동일한 직무분야 및 등급에 해당하는 다른 국가기술자격종목의 자격검정을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응시자 신청에 의하여 검정과목의 일부를 면제

검정과목을 면제받고자 하는 응시자는 검정과목 면제신청서에 의한 면제사유를 증명하는 서류를 첨부하여 제출

정보통신기사, 전파전파통신기사, 무선설비기사 보유 시 필기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를 면제할 수 있습니다.

해당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한 날부터 2년간 면제

해당 기능경기대회에 입상한 날부터 2년간 면제

방송통신기사 필기 공부는 전자문제집 CBT 10년도~19년도 기출 문제를 공부하였습니다.

https://www.comcbt.com/

CBT 사이트입니다. 방송통신기사 뿐만 아니라,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한국사 자격증 등의 기출문제를 공부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 핸드폰을 활용해서 수시로 공부하였고, 10개년 기출 문제를 모두 외워서 평균 77점으로 합격하였습니다.

필기 합격 소식을 듣자마자 실기 공부를 위해서 서울 구로역에 있는

한빛전기통신학원을 등록하였습니다.

필답형은 문제집(기출문제), 작업형은 문제집(기출문제), 실제 장비, 온라인 강의를 통해서 공부했습니다.

방송통신기사 필기를 합격하고,

필답형과 작업형를 고민하고 계신다면 저는 6기사님의 교육을 추천드립니다.

한빛전기통신학원은 먼저 시험을 본 수강생의 정보 부족, 외부 강사의 강의 능력 부실로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https://cafe.naver.com/redzi68d

6기사님의 카페이며, 방송통신기사, 정보통신기사 등 여러 통신 관련 자격증 취득을 도와주고 계십니다.

시험 시즌이되면 오픈채팅방 등을 통해서 수강생을 모집하고 계세요.

실제로 6기사님의 도움을 받은 직장 동료들은 턱걸이 없이 고득점으로 취득하였고,

많은 정보, 동영상, 장비 교육, 등록생들의 피드백을 빠르게 대응하셔서 합격률이 상당히 높아요.

이제는 정보통신기사와 컴퓨터활용능력 1급 공부를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열심히 공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이상으로 국가기술자격 : 방송통신기사 합격 후기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90

반응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기술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1. 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직무분야(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유사 직무분야를 포함한다. 이하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라 한다)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직무분야(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유사 직무분야를 포함한다. 이하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라 한다)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2. 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3.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4. 응시하려는 종목과 관련된 학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학과(이하 “관련학과”라 한다)의 대학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6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응시하려는 종목과 관련된 학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학과(이하 “관련학과”라 한다)의 대학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6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5.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기술사 등급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기술사 등급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6. 3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3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7. 2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8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2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8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8. 국가기술자격의 종목별로 기사의 수준에 해당하는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기관 중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교육훈련기관의 기술훈련과정(이하 “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이라 한다) 이수자로서 이수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6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국가기술자격의 종목별로 기사의 수준에 해당하는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기관 중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교육훈련기관의 기술훈련과정(이하 “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이라 한다) 이수자로서 이수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6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9. 국가기술자격의 종목별로 산업기사의 수준에 해당하는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기관 중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교육훈련기관의 기술훈련과정(이하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이라 한다) 이수자로서 이수 후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8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국가기술자격의 종목별로 산업기사의 수준에 해당하는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기관 중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교육훈련기관의 기술훈련과정(이하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이라 한다) 이수자로서 이수 후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8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10.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9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9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11. 외국에서 동일한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사람

기능장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1.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산업기사 또는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근로자직업능력 개발법」에 따라 설립된 기능대학의 기능장과정을 마친 이수자 또는 그 이수예정자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산업기사 또는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근로자직업능력 개발법」에 따라 설립된 기능대학의 기능장과정을 마친 이수자 또는 그 이수예정자 2. 산업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산업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3.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4.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9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9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5.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기능장 등급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기능장 등급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6. 외국에서 동일한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사람

기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1. 산업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산업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2.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3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3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3.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4. 관련학과의 대학졸업자등 또는 그 졸업예정자

관련학과의 대학졸업자등 또는 그 졸업예정자 5. 3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3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6. 2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2년제 전문대학 관련학과 졸업자등으로서 졸업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7.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또는 그 이수예정자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또는 그 이수예정자 8.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로서 이수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로서 이수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9.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10. 외국에서 동일한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사람

산업기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1. 기능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기능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후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2.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산업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다른 종목의 산업기사 등급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3. 관련학과의 2년제 또는 3년제 전문대학졸업자등 또는 그 졸업예정자

관련학과의 2년제 또는 3년제 전문대학졸업자등 또는 그 졸업예정자 4. 관련학과의 대학졸업자등 또는 그 졸업예정자

관련학과의 대학졸업자등 또는 그 졸업예정자 5.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또는 그 이수예정자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의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 또는 그 이수예정자 6.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응시하려는 종목이 속하는 동일 및 유사 직무분야에서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사람 7.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기능경기대회 입상자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기능경기대회 입상자 8. 외국에서 동일한 종목에 해당하는 자격을 취득한 사람

방송 통신 기사 실기 | [방송통신기사] 방송제작 29125 투표 이 답변

We are using cookies to give you the best experience on our website.

You can find out more about which cookies we are using or switch them off in settings.

통신직 자격증 10편 -( 방송통신기사 공부 방법)

반응형

방송통신기사 공부 방법

통신직렬에 계신 분들 중에 방송국에서 일을 하면 어떨까?

라는 생각을 한번쯤 해볼 만하실 겁니다.

통신기술에 대한 수요도 조금 있을 뿐더러 방송통신이라를 얘기를 많이 들으셨을 겁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방송 쪽은 ICT직 개념이 강합니다.

방송통신기사는 입사를 하시고 실무를 하시게 되면 아시는 내용이 많으실 겁니다.

그래서 선행되는 필수 자격증은 아니지만 그래도 사전에 이러한 것을 알고 싶다 하시면 방송통신 기사도 나쁘지 않습니다.

기사를 먼저 취득하고 취업 준비를 하는것이 원래의 방안이지만,

방송 쪽이라면 방송 쪽 먼저 공부를 하시고 나중에 생각해보는 게 방송통신기사입니다.

저는 주변에 Cj enm, TVN 쪽에 일하는 지인이 있는데 매일 재밌다고는 합니다.

방송 기술 장비를 다루며 유지보수 업무를 하는데 다양한 상황이 있다고는 합니다.

MBC도 지방 MBC에 있는데 라디오 관련된 쪽에서 업무를 하며 생각보다 어렵지만 하면 다 한다고 합니다.

두 친구 모두 방송통신기사는 없습니다.

공기업 취업에 있어서 방송통신기사를 어떨까?

일단 대부분이 없습니다.

도로교통공단의 방송 관련된 직렬이 있는데 대부분은 통신 관련 자격증으로 가능합니다.

방송통신기사는 오히려 공무원 방송통신직에 괜찮습니다.

제가 나중에 공기업 외에 공무원이나 방송사에 대한 글도 정리할 테지만 일단 공기업보다 공무원 쪽에 가깝 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방송통신기사는 전파통신진흥원에서 주관합니다.

여기서 접수를 하면 됩니다.

아마 정보통신기사나 무선설비기사를 통해 이 사이트를 자주 보신 통신직렬 분들이 계실 텐데 이곳에서 시험을 보시면 됩니다.

방송통신기사는 1년에 2회 1,4회에 시험을 보며 정보통신기사나 무선설비기사에 비해 수요가 조금 적기에 2회 차에는 시험이 없습니다.

시험 인원도 정말 적습니다.

필기 합격률은 50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방송통신기사 실기의 경우 합격률이 21년도에는 90% 이상입니다.

다른 회차도 상당히 높은데 방송통신기사가 작업형이어서 그렇습니다.

만약 공기업 취업에 정말 도움이 많이 됐다면 무선설비기사 보다 더 취득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많은 도움은 되지 않습니다.

통계가 말하듯이 그렇게 많이 보는 시험이 아니기에 아마 그런 생각이 드실 겁니다.

굳이 필요가 없다.

저도 방송통신기사에 관심 있으신 분들에게 이러한 자료를 드리는 것은 여러분의 진입장벽을 깨고 어떠한 특정 생각을 하게 유도하기 위함입니다.

본인이 생각하시고 판단하시기 위해 저는 조금 도와드리는 것뿐입니다.

방송통신기사 필기 공부 방법

방송통신기사를 보신다면 1과목은 상당히 익숙하실 겁니다.

이 1과목은 정보통신기사와 무선설비기사 1과목과 동일합니다.

그리고 5과목의 전자계산기 일반 및 방송설비기준이 있는데, 전자계산기 일반 부분도 동일합니다.

그렇기에 여러분이 1과목에 대한 공부는 제 정보통신기사 글에 적어 두었기에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https://baekchwijun.tistory.com/14

2과목 방송통신기기 공부 방법

필기가 조금 어려운 편인데 다른 전공 기사에 비해 더 전문성이 있어서 그렇습니다.

저도 제 분야가 아니기에 생소한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AM 방송과 FM 방송 특징을 본다면 저는 AM과 FM에 대해 알고 있지 방송에 대한 것은 잘 모릅니다.

하지만 잘 읽어 보면 아는 내용입니다.

딱 그런 느낌입니다.

여러분이 전공 공부를 했으면 기본적인 뼈대는 잡혀있는 것입니다.

거기에 특정 기술이 덮여서 활용되었는데 제 생각에 딱 기사다운 기사입니다.

전문성을 확보한 기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역시 기사 특성답게 지엽적인 문제들이 있습니다.

회독으로 공부를 하시되 회독할 양은 다른 기사보다 많을 겁니다.

넓게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3과목 방송미디어 공학 공부 방법

저는 멀티미디어공학을 공부한 적이 있는데 그 내용이 조금 기억이 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문제는 방송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생소하게 느껴지실 겁니다.

아이 패턴 같은 경우 무선을 하시면서 공부를 하신 경험이 있으실 텐데,

방송의 베이스가 무선입니다.

그래서 라디오도 공부를 하셨을 텐데 여기에 연관이 되게 되는 것입니다.

43번의 경우 이미 알고 계실 텐데 저희 통신직렬이 딱 여기까지 입니다.

나머지 문제는 따로 공부를 해야 합니다.

방송미디어 공학은 기본서 하나 있으시면 좋습니다.

문제와 병행해서 공부를 하시면서 조금 재미있게 공부를 하실 수 있는 과목입니다.

물론 회독은 기본입니다.

4과목 방송통신 시스템 공부 방법

고득점을 가져가야 하는 과목입니다.

다른 과목과는 다르게 여기는 조금 아는 내용들이 많으실 겁니다.

아마 정보통신기사의 유선통신시스템 + 무선설비 기사의 무선통신 시스템

유무선 통신시스템을 공부하셨기에 그것을 바탕으로 방송통신시스템을 공부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기본 베이스가 깔려있고 통신시스템은 많인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습니다.

그래서 TV 관련된 문제들 방송국 설비 관련된 문제들을 암기하시고 가져가시고 나머지 부분에 있어서는 충분히 기본 실력으로 이해가 가능하실 겁니다.

결국 총 공부하는 시간은 줄어들게 됩니다.

하지만 역시 전문적인 방송에 대한 문제들이 많이 나오기에 어려움이 있을 과목입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방송설비기준

여기서도 점수를 조금 내야 합니다.

정보통신기사의 경우 고득점 과목이 많은데 방송통신기사는 2,3 과목이 겨우 통과할 정도 이기에 평균적인 점수를 얻으면서 4과목에서 점수를 조금 더 가져가셔야 합니다.

전자계산기 일반은 그냥 기사가 좋아하는 거 같습니다.

방송설비의 경우 정보통신 관련된 문제들이 엮어서 나오는데 책은 보시지 마시고 그냥 회독해서 아는 것만 푸는 자세가 좋을 거라 생각됩니다.

방송통신기사 실기 공부 방법

방송통신기사 실기의 경우 작업형 50 필답 50입니다.

그리고 기술 면접이 있는데 현직이시라면 어렵지 않게 답변하실 겁니다.

이러한 점에서 그냥 취업 준비생이 방송통신기사를 먼저 취득하는 것은 저는 조금 반대합니다.

다른 기본적인 전공 기사를 먼저 취득하고 그에 관련된 지식을 쌓은 후 업무적인 부분으로 넘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실기에 대한 코멘트를 더 드리고 싶은데 작업형은 그냥 학원에 가시는 게 좋습니다.

제가 예전에 말씀들인 그 카페의 육 기사님이나 한빛 같은데에서 자료를 구하시면 좋습니다.

실기는 설계 및 측정 이론 20점

측정기 운영 SDI 분석기 & MPEG 분석기 계측하시고 20점

신호 분석 스펙트럼 분석기 사용 10점 하시면 됩니다.

저런 장비들이 없기 때문에 작업형은 학원을 가게 되는데 합격률이 높기에 한 번에 붙으시려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결론

공기업 취업에 있어서 방송통신기사에 대한 정보가 없으실 텐데 일단 방송통신기사를 공기업 준비하는 데 있어서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먼저 지원자격에 거의 포함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공기업 필기시험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저는 이 2가지 이유로 결국 도움이 되는 부분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면에서 봤을 때 방송에 대한 관심이 있으시거나 한국방송공사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방송통신기사를 먼저 하시는 게 아니라 다른 공부부터 먼저 하셔야 합니다.

방송국이라고 해서 방송에 대한 필기 문제보다 전공에 대한 문제가 더 많이 나옵니다.

생각해보면 당연합니다.

여러분은 신입인데 어떻게 방송기술에 대해 알고 있을까요?

접근을 하시려면 기본부터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가서 배우면 되는 겁니다.

취업을 처음 하시는데 멀리 보시는 건 좋은데 너무 멀리 보신 것 같습니다.

방송통신기사는 전문성이 있는 기사로 만약 취득하실 때쯤이면 현직자이실 겁니다.

그러면 현직 때는 또 기사를 안 보게 됩니다.

그래서 수요야 1년에 50명 정도입니다.

관심이 있으셔도 처음 취업을 준비하시는 분들이라면 다른 순수 전공 기사를 먼저 취득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방송통신기사 자료,정보 및 기출문제 다운받기

온라인을 통해 방송통신기사 기출문제를 무료로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자격증 취득 관련 상세자료를 무료로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방송통신기사

방송통신기사 필기

방송통신기사 시험 출제경향은 방송 제작기기가 송출되기 전의 기기 운용, 유지보수, 시스템 구성 능력의 유무 등등의 경향이 출제가 됩니다.

방송통신기사 필기 시험과목 및 합격기준 입니다.

방송통신기사 필기 – 디지털전자회로, 방송통신기기, 방송미디어공학, 방송통신시스템, 전자계산기일반 및 방송설비기준

100점 만점 중 평균 60점 이상, 각 과목당 40점 이상 시 합격 입니다.

방송통신기사 실기

학원을 통해 자격증을 취득하신다면 훨씬 수월하게 취득 하실 수 있습니다. 무료 국비지원을 확인 해 보시길 바랍니다.

방송통신기사 실기 시험과목 및 합격기준 입니다.

방송통신기사 실기 – 방송기술 실무(필답형+작업형)

100점 만점 중 60점 이상 시 합격 입니다.

방송통신기사 기출문제

방송통신기사 기출문제는 온라인을 통해 무료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핵심개념서를 무료로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방송통신기사 기출문제 다운받기

기출문제를 출력 해 모의시험을 진행 해 보시길 바랍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방송 통신 기사 실기

다음은 Bing에서 방송 통신 기사 실기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See also  영어 를 한글 로 표기 | [한글로영어] 5강 : 한글로영어 발음표기와 교재훈련가이드 59 개의 정답
See also  Grille Strate Ogec 2021 | Inside Story: Mercedes' Strategic Masterclass | 2021 Spanish Grand Prix 답을 믿으세요

See also  Enova Vacances Espace Propriétaire | Les Vacances Sont Finies... 모든 답변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방송통신기사] 방송제작

  • 방송사
  • 방송기술직
  • 공기업
  • 공사NCS
  • 공기업NCS
  • 특성화고공무원
  • 경찰공무원
  • 승강기기능사
  • 전기기능사
  • 전기기능장
  • 통신기능장
  • 전기기사
  • 전기공사기사
  • 무선설비기사
  • 정보통신기사
  • 전자기사
  • 9급 기술직공무원
  • 7급 기술직공무원
  • 통신직공무원
  • 기계직공무원
  • 전기직공무원
  • 토목직공무원
  • 전산직공무원
  • 계리직공무원
  • 발송배전기술사
  • 전기안전기술사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 정보통신기술사
  • 김기남학원
  • 김기남공학원
  • 유캠퍼스
  • Ucampus
[방송통신기사] #방송제작


YouTube에서 방송 통신 기사 실기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방송통신기사] 방송제작 | 방송 통신 기사 실기,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