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배관 스케줄 표 – [배관교육] 배관 스케줄 (Piping Schedule) 초간단 설명“?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giaoductieuhoc.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ppa.giaoductieuhoc.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플랜트 김소장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2,480회 및 좋아요 387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배관 스케줄 표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배관교육] 배관 스케줄 (Piping Schedule) 초간단 설명 – 배관 스케줄 표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영상내, ASME B16.10, B16.39는 아래와 같이 정정드립니다.
ASME B36.10M-2015_Welded and Seamless Wrought Steel Pipe
ASME B36.19M-2018_Stainless Steel Pipe
배관 두께를 나타내는 스케줄의 탄생 배경과 의미를 아주 쉽게 설명드려 보겠습니다.
#에듀넷#티클리어#용접기능사#용접기능장#용접산업기사#용접기사#특수용접#용접기술사#플랜트교육#플랜트강의#해외건설#해외프로젝트#수능인강#중등인강#깨봉#메가스터디#1타강사#수능특강#산업인력공단#특강#수능특강#일타강사#검정고시#추천인강#화공플랜트#발전플랜트#해양플랜트#DT#EPC#BTS#배관기초교육#배관정복#배관강의#배관강좌#플랜트학과#무료교육#무료강의#온라인교육#국비교육#국비무료#플랜트산업#중동취업#해외취업#국비지원무료교육#억대연봉직업#플랜트엔지니어#플랜트산업협회#KOPIA#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한국플랜트학회#산업통상자원부#한국엔지니어링협회#기술사#삼성엔지니어링#삼성물산#대림건설#롯데건설#롯데#롯데케미칼#해외취업#sk에너지#sk화학#한화건설#SK건설#GS건설#현대엔지니어링#현대건설#KBR#FLOUR#BECHTEL
배관 스케줄 표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배관] 스케쥴 번호 (Schedule Number) – 네이버 블로그
배관에서 사용하는 스케줄 번호란 용어는 배관의 두께를 나타낸다. … 아래에 나타난 NPS 시스템과 DN 시스템을 비교한 표를 참고하기 바란다. 배관 …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2/11/2021
View: 5660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배관 스케줄 표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배관교육] 배관 스케줄 (Piping Schedule) 초간단 설명.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배관교육] 배관 스케줄 (Piping Schedule) 초간단 설명](https://i.ytimg.com/vi/3edvgCTi6CY/maxresdefault.jpg)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배관 스케줄 표
- Author: 플랜트 김소장
- Views: 조회수 22,480회
- Likes: 좋아요 387개
- Date Published: 2020. 9. 23.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3edvgCTi6CY
배관 규격, 스케줄 번호
파이프 규격 / 내경 외경 스케줄 계산법
파이프는 인치 단위로 생산이 됩니다. 그리고 파이프는 A 단위의 호칭을 사용합니다.
10A , 3/8인치
15A , 1/2인치
파이프는 외경이 동일하다고 해도 용도에 따라 두께가 다릅니다.
이 파이프의 두께를 스케줄(SCHEDULE)이라고 부릅니다.
스케줄은 #(샵) 또는 SCH 표시합니다.
# 40 = SCH40
# 60 =SCH60
배관용 파이프 KS / JIS 규격
20A #80 짜리 파이프 기준으로 계산을 해보면
Ø(파이)로 바꿔 표시한면 (JIS규격) Ø27.2 – 3.9T 이 파이프는20A 파이프이며,
외경이 27.2mm이고 스케쥴(#)80짜리로 3.9mm 두께의 파이프입니다.따라서
내경은 외경27.2 에서 두께3.9를 빼면 내경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아래표를 참고해서 필요한 파이프의 사이즈를 알 수있습니다. KS/JIS
배관용 파이프 ASME 규격
하트♥공감 버튼 눌러주시면 포스팅에 큰 힘이 됩니다.
스케줄 파이프(Schedule Pipe)의 정의와 중량규격표
반응형
스케쥴파이프 규격을 확인하기 위해 우연히 인터넷을 검색하다 아래와 같은 글을 발견했습니다.
스케쥴 파이프가 무엇인지, 심네스(?)파이프와 헷갈려하시는 것 같았는데, 밑에 댓글도 재밌습니다. 무려 7년전인 2009년에 작성된 어느 카페의 게시글인데요. 아마 질문했던 분이나 밑에 댓글 다신분들 지금은 스케쥴파이프가 무엇인지 아마 다 알고계시겠죠? 하지만 이제 갓 입사한 신입사원들이 저 글을보고 더 헷갈려할까봐 오늘은 스케쥴파이프가 무엇인지 일급비밀에 대해 포스팅을 하려합니다.
참고로 윗글에 대해 먼저 언급하자면, 파이프안에 심선이 없다는 것 그게 바로 심레스(Seamless Pipe) 파이프입니다. 심리스 파이프나 SML’S 파이프라고도 하죠. 예전에 관련 포스팅을 한적이 있는데, 맨 아래에 링크를 걸어둘테니 심레스 파이프도 한번 알아두면 좋겠습니다.
자, 그럼 오늘은 스케쥴 파이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케줄파이프 #10, #20, #30, #40, #60, #80, #100, #120, #140, #160으로 나뉘어져 있는데요. 숫자가 올라갈수록 파이프의 두께도 커집니다. 예를들어 350A 파이프를 기준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 일반 라운드파이프(배관용 탄소강관) 350A의 두께는 7.6mm인데요. #10 350A는 두께가 6.4mm입니다. 그리고 #20은 7.9, #30은 9.5, #40은 11.1, #60은 15.1, #80은 19, #100은 23.8, #120은 27.8, #140은 31.8 #160은 35.7mm로 점점 두꺼워집니다.
이런식으로 350A파이프의 외경은 355.6mm로 동일하지만 스케쥴에 따라 두께가 달라집니다. 스케줄파이프의 정식명칭은 압력배관용 탄소강관(STPG)이라고도 하는데요. 고압력 배관일수록 고압에 잘버티기 위해서 두께도 두꺼워져야하기때문에 압력에따라 이런식으로 두께에 차이를 둬야하고, 이를 스케줄파이프라 하는 것입니다.
스케줄파이프 표기법
스케줄파이프는 표기방법이 여러가지입니다. 따라서 표기된것만 보고 이게 스케줄파이프인지 아닌지 구분을 해야할때가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100A 스케줄 40파이프로 다양한 표기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00A SCH40 , 100A S/40 , 100A #40 , STPG370 #40 100A
위에 표기된 것들이 모두 동일한 파이프를 일컫는 말입니다. 그중 STPG370은 Steel Tube Pipe General 370이라는 뜻으로 압력배관용 탄소강관에 인장강도가 370N/㎟이라는 뜻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별도로 표기가 되어있지 않다면 STPG370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스케줄파이프의 중량규격표
아래의 중량규격표는 호칭두께별(스케줄)로 잘 구분되어있으니 원하는 두께에 따른 미터당 중량도 함께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아래에는 라운드 파이프와 관련된 포스팅이니 함께 확인하시면 좋겠습니다.
☞ 심레스파이프(Seamless Pipe)의 정의와 제조방법, 용도 확인가기
☞ 원형관, 라운드 파이프(Round Pipe) 중량규격표와 중량 구하는 공식 확인하기
더 많은 자료는 카테고리 ‘업무상식’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00×250
배관(pipe) 크기 및 호칭 규격(SCH No 등)
배관(pipe)의 크기는 내경(ID: Inside Diameter)과 외경(OD: Outside Diameter)으로 표현할 수 있다.
파이프 크기를 나타내는 숫자로 재질에 관계없이 호칭경으로 크기를 표시하지만, 외경과 내경 두께는 파이프 종류별로 다르다.
SCH(Schedule)은 파이프 내경과 외경의 두께, 즉, 파이프 벽의 두께를 나타낸 수치이다.
배관(pipe) 크기 및 호칭 규격(SCH No 등)
배관의 크기와 두께
배관의 크기는 내경(ID: Inside Diameter)과 외경(OD: Outside Diameter)으로 표현할 수 있다.
내경은 유체가 이동하는 단면적이다. 이 것은 유량과 직결되는 요소로서, 유속이 일정한 경우 단면적이 증가할수록 유량도 증가한다.
외경은 배관의 두께를 포함한 전체 크기를 나타낸다. 내경은 일정하지만 두께에 따라 외경은 변화한다.
배관의 두께를 결정하는 요소로서 사용재질, 사용압력 및 온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같은 재질을 사용한 배관의 경우, 사용압력 및 온도가 증가할 경우 배관의 두께는 두꺼워진다.
Pipe 호칭경
파이프 크기를 나타내는 숫자로 재질에 관계없이 호칭경으로 크기를 표시하지만, 외경과 내경 두께는 파이프 종류별로 다르다.
일반적으로 강관, 주철관, 비철금속관은 내경을 기준으로 하면, 흄관, 연관, 튜브 등은 외경을 기준으로 호칭경을 정하는데, PVC류의 플라스틱 배관도 외경을 기준으로 호칭경을 사용하고 있다.
파이프 호칭경 표기법에는 ASME/ANSI 표기법과 JIS/KS 표기법이 있다.
여기서는 국제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ASME/ANSI 표기법을 기준으로 설명코자 한다.
ASME/ANSI 표기법에는 NPS(Nominal Pipe Size) 규격 및 DN(Diameter Nominal) 규격이 있다.
상기 NPS 규격은 배관의 외경을 기준으로 사용하며, 인치(inch) 단위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NPS 1″은 “외경(OD)의 크기가 1인치”를 말한다.
DN 규격은 ISO에서 인치단위로 표현된 NPS 규격을 유럽 또는 국제단위계에 맞게 변환한 것으로 미터(meter) 단위를 사용한다.
스케줄 번호(Schedule number)
미국의 파이프 크기는 NPS와 SCH의 두 가지 값으로 결정되는데, NPS는 상기 파이프 호칭경에서 설명했듯이 인치(inch)단위를 기반으로 하는 파이프 외경을 나타낸 수치이고, SCH(Schedule)은 파이프 내경과 외경의 두께, 즉, 파이프 벽의 두께를 나타낸 수치이다.
스케줄 번호(SCH No.)는 운전압력(P)을 배관재질의 최대허용응력(S) 값으로 나눈 값에 1,000을 곱한 것으로서, 이때의 압력과 최대 허용응력의 단위는 psi(Pounds Per Square inch)를 사용한 것이다.
SCH No = P/S *1,000
단위 선정에 따라서 factor 계산이 달라지는 바 주의하여야 한다.
* 만일 압력의 단위를 (㎏f/㎠), 허용응력의 단위를 ㎏f/㎟로 사용한다면 10을 곱해야 한다.
스케줄 번호가 클수록 파이프 두께가 더 두께워 짐을 의미하며 당연히 사용압력도 높아진다. 아울러 동일한 스케줄 번호에서는 파이프의 사이즈마다 두께는 다를 수 있으나 견딜 수 있는 압력은 같다.
스케줄 번호(Schedule number)는
SCH 5s, 10s/20, 30, 40/40s/STD, 80/80s/XS, 120, 160 및 XXS 등이 있다.
하기 NPS tables 를 참조하라.
IPS 규격과 비교를 하기 위해 SCH No. 와 상응하는 곳에 IPS 규격인 STD, XS, XXS를 첨부하였다.
또한, 스케줄 번호 뒤에 붙는 “s”는 스테인레스 강을 의미한다.
플라스틱 배관에서는 SCH 40 및 SCH 80이 많이 사용된다.
ASME/ANSI 와 JIS/KS 표기법 비교
ASME/ANSI에서 표기를 inch 및 mm 두 방법으로 표기하였듯이 JIS/KS에서도 두 가지 방법으로 표기를 한다.
상기 표에서 보이는 것처럼,
inch로 표기할 때에는 뒤에 “B”라고 붙이고,
mm로 표기할 때는 뒤에 “A”라고 붙여서 구분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MKS 체계가 익숙하여 “A”로 붙인 호칭경이 많이 사용된다.
NPS tables
1. NPS ⅛ to NPS 3
2. NPS 4 to NPS 9
Reference : wikipedia NPS
728×90
반응형
[배관] 스케쥴 번호 (Schedule Number)
배관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에 스케줄 번호(Schedule Number이란 용어가 있다. 줄여서 SCH No.라고 쓰기도 한다. 이것은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배관에서 사용하는 스케줄 번호란 용어는 배관의 두께를 나타낸다. 사람들은 왜 하필이면 배관의 두께를 나타내기 위해서 ‘스케줄 번호’란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을까? 초기 배관의 역사 속으로 거슬러 올라가 보자.
증기기관의 발명과 배관의 사용 증기기관의 발명과 함께 배관에 대한 관심이 급속도로 증가하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보자. 초기에 배관이 사용될 때에는 배관의 두께가 지금처럼 다양하지 않았다. 배관의 크기는 다양했지만 두께는 한 가지만을 사용했었다. 배관의 두께는 내부 또는 외부의 압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관련 토픽 ‘배관 두께의 계산 : ASME B31.1’ 참조) 초기 배관에 사용되던 압력은 증기기관과 같은 스팀(Steam)에 의한 것이며 현재 사용되는 스팀의 사용조건보다 비교적 낮은 조건의 압력에서 운전되었고 다양한 압력에서 운전되지 않았다. 압력이 다양하지 않았기 때문에 하나의 두께만 사용해도 별 무리가 없었던 것이다. 또한, 이 시점의 배관은 철(Iron)을 이용해서 만든 Iron pipe가 사용되었다. 배관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배관의 두께를 포함하지 않는 내경(ID : Inside Diameter)이고 다른 하나는 배관의 두께를 포함한 외경(OD : Outside Diameter)이다. Iron pipe가 사용되던 시기에 배관의 크기는 내경을 기준으로 사용 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IPS(Iron Pipe Size) 시스템이다. IPS 시스템은 배관의 크기를 내경을 기준으로 인치(Inch)단위로 표현 하였다. 초기 배관의 사용은 하나의 두께로도 배관의 사용에 아무런 무리가 없었기 때문에 IPS 시스템에서는 각 배관의 크기마다 사용되는 두께를 ‘Standard 두께’라 부르게 되었고, 이것은 ‘Standard(STD)’ 또는 ‘Standard Weight(STD. WT.)’로 불리게 되었다. ‘STD. WT.’는 배관의 두께를 ‘무게’를 기준으로 나타낸 것인데, 이것은 배관의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에서 기인한 것이다. 만약 배관을 IPS 기준으로 제작 하였다면 두께를 측정할 때, 철의 무게를 알고, 배관의 내경이 일정하다면 배관의 전체 무게를 재어 봄으로써 배관 두께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나의 두께만으로 사용되던 배관은 산업의 발달과 함께 보다 높은 압력에서 견딜 수 있을 것이 요구되었다. 같은 재질로 보다 높은 압력을 견디기 위해서는 배관의 두께를 두껍게 제작해야 했고 Standard 두께보다 두꺼운 ‘Extra Strong(XS)’ 또는 ‘Extra Heavy(XH)’로 표현되는 두께를 사용하게 된다. ‘Double Extra Strong(XXS)’ 또는 ‘Double Extra Heavy(XXH)’로 표현되는 두께는 한 단계 더 두꺼운 배관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된다. IPS 시스템에서 STD, XS, XXS 등으로 표현되는 배관의 두께는 현재 IPS 시스템을 대신해서사용하는 NPS(Nominal Pipe Size) 시스템에서도 함께 표현된다. 배관 재질의 발전 철(Iron)에 일정량의 탄소(Carbon)을 첨가하면 기계적 강도가 증가하게 되는데, 탄소를 많이 첨가할수록 강도는 증가하지만 연성(Ductility)과 용접성(Weldability)이 낮아지게 된다. 산업적으로 사용하기에 알맞은 정도의 탄소를 첨가하여 만든 것이 바로 탄소강(Carbon Steel)이다. 탄소강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강(Steel)의 종류이다. 탄소강은 부식(Corrosion)이 잘 발생하는데, 이러한 성질을 개선 시키기 위해 개발한 것이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이다. 배관 재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관련토픽 ‘Materials’ 를 참조하기 바란다. Ductile Iron Pipe Carbon Steel Pipe Stainless Steel Pipe 이러한 배관 재질의 발전은 보다 얇은 두께로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게 되었고, 배관의 두께를 표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방식을 요구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배관 재질의 발전은 배관의 내경을 기준으로 하는 IPS 시스템에서 심각한 문제를 발생 시키게 되었는데, 그것은 바로 기존의 배관과 연결할 때 외경이 맞지 않음으로 해서 발생하는 문제였다. 이러한 문제는 기존에 배관의 크기를 나타낼 때, IPS 시스템에서처럼 내경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외경을 기준해야 할 필요성을 이끌어 내게 되었다. 배관의 두께뿐만 아니라, 배관의 크기를 새롭게 표현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서 배관의 크기를 표현하는 IPS 시스템을 대체하기 위해 탄생한 것이 현재 널리 사용하는 NPS(Nominal Pipe Size) 시스템이고 배관의 두께를 나타내는 Schedule(SCH) 시스템이다. NPS(Nominal Pipe Size) 시스템 NPS 시스템은 배관의 크기를 외경을 기준으로 인치(Inch)단위로 나타내었다. 국내에서는 ‘공칭경’이란 용어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때, 단위를 나타내는 인치는 생략해서 사용한다. 예를 들어서, ‘NPS 4’ 라고 하는 것은 ‘두께를 포함한 외경의 크기가 약 4인치에 이르는 배관’을 말하는 것이다. NPS 시스템에서 규정된 배관의 외경은 NPS 12이하의 배관은 실제 외경이 공칭경보다 크고 NPS 14이상의 배관은 실제 외경과 공칭경이 같다. 예를 들어 공칭경 ‘NPS 2’ 는 배관의 외경이 약 2.375 인치이다. 이때, 실제 외경인 2.375인치는 인치로 나타내는 NPS 2에서 2인치보다 크다는 것이다. NPS(Nomianl Pipe Size)와 DN(Diameter Nominal) 배관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 중에 DN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서 인치 단위로 표현된 NPS 시스템을 미터법으로 변환한 것이다. 미터법은 그 사용에 있어서 많은 이점을 갖고 있다. ‘국경없는 시대’에 살고있는 우리는 세계 공통의 단위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미터법을 사용하지만 미국에서는 아직까지 인치단위를 더 많이 사용한다. 아래에 나타난 NPS 시스템과 DN 시스템을 비교한 표를 참고하기 바란다. 배관 두께를 나타내는 스케줄(Schedule) 번호 배관의 두께를 나타내는 스케줄은 숫자를 이용해서 표기하는데 5, 5S, 10, 10S, 20, 20S, 30, 40, 40S, 60, 80, 80S, 100, 120, 140, 160 등이 있다. 배관의 크기마다 각 스케줄이 나타내는 두께는 다르다. 예를 들어, SCH 40 이라고 하면 NPS 4에서는 6.02mm를 나타내지만 NPS 6에서는 7.11mm를 나타낸다. 스케줄은 해당 배관의 운전압력(P)을 배관 재질의 최대허용응력(S) 값으로 나눈 값에 1000을 곱한 것으로써 압력과 최대허용응력의 단위는 psi(pounds per square inch)를 사용한 것이다. 즉, 스케줄 번호는 1000 P/S 이다. 스케줄 번호가 클수록 더 두꺼운 두께를 의미한다. 스케줄 번호는 배관의 크기를 나타내는 NPS 시스템과 함께 사용된다. 배관의 내경은 NPS 시스템에서 규정된 외경의 크기와 스케줄 번호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스케줄 번호 뒤에 S가 붙어 있는 것들이 있는데, 이것은 Stainless Steel 을 사용한 배관의 두께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 IPS 시스템에서 배관의 두께를 나타내는 STD, XS, XXS 등의 표현은 스케줄에서 함께 표현된다. 예를 들어, NPS 10이하의 배관에서는 SCH 40이 STD와 같은 두께를 나타내고 NPS 8 이하의 배관에서 SCH 80은 XS과 같은 두께를 나타낸다. 배관의 재질, 크기에 따른 실제 두께의 자세한 치수는 ASME B36.19M과 ASME B36.10M을 참조하기 바란다. 참조 : ASME B36.10M
파이프는 인치 단위로 생산된다.
파이프의 호칭은 몇A로 부르며, 몇A 마다 몇 인치로 구분된다.
예, 10A- 3/8인치
15A- 1/2인치
20A- 3/4인치
25A- 1 인치 …등등
파이프는 같은 외경을 가졌다고 해도 용도에 따라 두께가 다르다.
이것을 스케쥴(SCHEDULE)로 구분하며
스케쥴은 #로 표시한다.
예를들어 쉽게 해석하면,
탄소강 파이프 규격을 20A #80로 표기했을때
이것을 Ø(파이)로 바꿔 표시한다면(JIS규격 일때)
Ø27.2 – 3.9 t 가 된다.
다시 말해, 이 파이프는20A 파이프이며, 외경이 27.2mm이고
스케쥴(#)80짜리로 3.9mm 두께의 파이프이다.
따라서 내경은 외경27.2 에서 두께3.9를 빼면 된다.
스패터,에듀웰딩,eduwelding,welding,UT검사,초음파 검사,용접,CO2용접,TIG용접,아크용접,ARC용접,티그용접,씨오투용접,
크게 확대 보기클릭 ↓
아래 그림은 ASME/ANSI 규격 을 참고로 예를 든 것이다. 숫자는 inch 단위.
1(inch) – 25.4mm
규격 (인치) A(미리) 외경 Identifi cation 두께 -t- 내경 – d –
스틸 Stainless Steel scehdule No (#) Iron Pipe Size 스케쥴 No (#) 1/8 0.405 .
STD
XS .
40
80 10S
40S
80S .049
.068
.095 .307
.269
.215
1/4 0.540 .
STD
XS .
40
80 10S
40S
80S .065
.088
.119 .410
.364
.302 3/8 (10A) 0.675 .
STD
XS .
40
80 10S
40S
80S .065
.091
.126 .545
.493
.423 1/2 (15A) 0.840 .
.
STD
XS
.
XXS .
.
40
80
160
. 5S
10S
40S
80S
.
. .065
.083
.109
.147
.187
.294 .710
.674
.622
.546
.466
.252 3/4 (20A)
1.050 .
.
STD
XS
.
XXS .
.
40
80
160
. 5S
10S
40S
80S
.
. .065
.083
.113
.154
.219
.308 .920
.884
.824
.742
.612
.434 1 (25A) 1.315 .
.
STD
XS
.
XXS .
.
40
80
160
. 5S
10S
40S
80S
.
. .065
.109
.133
.179
.250
.358 1.185
1.097
1.049
.957
.815
.599 1 1/4 (32A) 1.660 .
.
STD
XS
.
XXS .
.
40
80
160
. 5S
10S
40S
80S
.
. .065
.109
.140
.191
.250
.382 1.530
1.442
1.380
1.278
1.160
.896
1 1/2 (40A) 1.900 .
.
STD
XS
.
XXS .
.
40
80
160
. 5S
10S
40S
80S
.
. .065
.109
.145
.200
.281
.400 1.770
1.682
1.610
1.500
1.338
1.100 2 (50A) 2.375 .
.
STD
XS
.
XXS .
.
40
80
160
. 5S
10S
40S
80S
.
. .065
.109
.154
.218
.344
.436 2.245
2.157
2.067
1.939
1.687
1.503 2 1/2 (65A) 2.875 .
.
STD
XS
.
XXS .
.
40
80
160
. 5S
10S
40S
80S
.
. .083
.120
.203
.276
.375
.552 2.709
2.635
2.469
2.323
2.125
1.771 3 (80A) 3.500 .
.
STD
XS
.
XXS .
.
40
80
160
. 5S
10S
40S
80S
.
. .083
.120
.216
.300
.438
.600 3.334
3.260
3.068
2.900
2.624
2.300 3 1/2 (90A) 4.000 .
.
STD
XS .
.
40
80 5S
10S
40S
80S .083
.120
.226
.318 3.834
3.760
3.548
3.364 4 (100A) 4.500 .
.
STD
XS
.
.
XXS .
.
40
80
120
160
. 5S
10S
40S
80S
.
.
. .083
.120
.237
.337
.438
.531
.674 4.334
4.260
4.026
3.826
3.624
3.438
3.152 5 (125A) 5.563 .
.
STD
XS
.
.
XXS .
.
40
80
120
160
. 5S
10S
40S
80S
.
.
. .109
.134
.258
.375
.500
.625
.750 5.345
5.295
5.047
4.813
4.563
4.313
4.063 6 (150A) 6.625 .
.
STD
XS
.
.
XXS .
.
40
80
120
160
. 5S
10S
40S
80S
.
.
. .109
.134
.280
.432
.562
.718
.864 6.407
6.357
6.065
5.761
5.501
5.187
4.897 8 (200A) 8.625 .
.
.
.
STD
.
XS
.
.
.
XXS
. .
.
20
30
40
60
80
100
120
140
.
160 5S
10S
.
.
40S
.
80S
.
.
.
.
. .109
.148
.250
.277
.322
.406
.500
.594
.719
.812
.875
.906 8.407
8.329
8.125
8.071
7.981
7.813
7.625
7.437
7.187
7.001
6.875
6.813 10 (250A) 10.750 .
.
.
.
STD
XS
.
.
.
.
. .
.
20
30
40
60
80
100
120
140
160 5S
10S
.
.
40S
80S
.
.
.
.
. .134
.165
.250
.307
.365
.500
.594
.719
.844
1.000
1.125 10.482
10.420
10.250
10.136
10.020
9.750
9.562
9.312
9.062
8.750
8.500 12 (300A) 12.75 .
.
.
.
STD
.
XS
.
.
.
.
.
. .
.
20
30
.
40
.
60
80
100
120
140
160 5S
10S
.
.
40S
.
80S
.
.
.
.
.
. .156
.180
.250
.330
.375
.406
.500
.562
.688
.844
1.000
1.125
1.312 12.438
12.390
12.250
12.090
12.000
11.938
11.750
11.626
11.374
11.062
10.750
10.500
10.126 14 (350A) 14.00 .
.
.
.
STD
.
XS
.
.
.
.
.
.. .
.
10
20
30
40
.
60
80
100
120
140
160 5S
10S
.
.
.
.
.
.
.
.
.
.
. 156
.188
.250
.312
.375
.438
.500
.594
.750
.938
1.094
1.250
1.406 13.688
13.624
13.500
13.376
13.250
13.124
13.000
12.812
12.500
12.124
11.812
11.500
11.188
16 (400A) 16.00 .
.
.
.
STD
XS
.
.
.
.
.
. .
.
10
20
30
40
60
80
100
120
140
160 5S
10S
.
.
.
.
.
.
.
.
.
. .165
.188
.250
.312
.375
.500
.656
.844
1.031
1.219
1.438
1.594 15.670
15.624
15.500
15.376
15.250
15.000
14.688
14.312
13.938
13.562
13.124
12.812 18 (450A) 18.00 .
.
.
.
STD
.
XS
.
.
.
.
.
.
. .
.
10
20
.
30
.
40
60
80
100
120
140
160 5S
10S
.
.
.
.
.
.
.
.
.
.
.
. .165
.188
.250
.312
.375
.438
.500
.562
.750
.938
1.156
1.375
1.562
1.781 17.670
17.624
17.500
17.376
17.250
17.124
17.000
16.876
16.500
16.124
15.688
15.250
14.876
14.438
20 (500A) 20.00 .
.
.
STD
XS
.
.
.
.
.
.
. .
.
10
20
30
40
60
80
100
120
140
160 5S
10S
.
.
.
.
.
.
.
.
.
. .188
.218
.250
.375
.500
.594
.812
1.031
1.281
1.500
1.750
1.969 19.624
19.564
19.500
19.250
19.000
18.812
18.376
17.938
17.438
17.000
16.500
16.062 22 (550A) 22.00 .
.
.
STD
XS
.
.
.
.
.
. .
.
10
20
30
60
80
100
120
140
160 5S
10S
.
.
.
.
.
.
.
.
. .188
.218
.250
.375
.500
.875
1.125
1.375
1.625
1.875
2.125 21.624
21.564
21.500
21.250
21.000
20.250
19.75
19.25
18.75
18.25
17.75 24 (600A) 24.00 .
.
STD
XS
.
.
.
.
.
.
.
. .
10
20
.
30
40
60
80
100
120
140
160 5S
10S
.
.
.
.
.
.
.
.
.
. .218
.250
.375
.500
.562
.688
.969
1.219
1.531
1.812
2.062
2.344 23.564
23.500
23.250
23.000
22.876
22.624
22.062
21.562
20.938
20.376
19.876
19.312
26 (650A) 26.00 .
STD
XS 10
.
20 .
.
. .312
.375
.500 25.376
25.250
25.000 28 28.00 .
STD
XS
. 10
.
20
30 .
.
.
. .312
.375
.500
.625 27.376
27.250
27.000
26.750 30 (750A) 30.00 .
.
STD
XS
. .
10
.
20
30 5S
10S
.
.
. .250
.312
.375
.500
.625 29.500
29.376
29.250
29.000
28.750 32 32.00 .
STD
XS
.
. 10
.
20
30
40 .
.
.
.
. .312
.375
.500
.625
.688 31.376
31.250
31.000
30.750
30.624 34 34.00 .
STD
XS
.
. 10
.
20
30
40 .
.
.
.
. .344
.375
.500
.625
.688 33.312
33.250
33.000
32.750
32.624 36 36.00 .
STD
XS
.
. 10
.
20
30
40 .
.
.
.
. .312
.375
.500
.625
.750 35.376
35.250
35.000
34.750
34.500 42 42.00 STD
XS
.
. .
20
30
40 .
.
.
. .375
.500
.625
.750 41.250
41.000
40.720
40.500
1 in (inch) = 25.4 mm
스패터,에듀웰딩,eduwelding,welding,UT검사,초음파 검사,용접,CO2용접,TIG용접,아크용접,ARC용접,티그용접,씨오투용접,
배관에서 SCH40, SCH80, SCH10S 등의 용어는 배관의 두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왜 배관의 두께를 스케줄 번호를 사용해서 나타내게 되었을까? 초기 배관산업의 역사를 살펴보자.
배관의 크기와 두께
배관의 크기는 내경(ID:Inside Diameter)과 외경(OD:Outside Diameter)으로 표현할 수 있다. 내경은 유체가 이동하는 단면적이다. 이것은 유량과 직결되는 요소이다. 유속이 일정한 경우 단면적이 증가할수록 유량도 증가한다. 외경은 배관의 두께를 포함한 전체 크기를 나타낸다. 내경은 일정하지만 두께에 따라 외경은 변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두께는 어떤 요소로 인해 달라지는 것일까?
두께를 결정짓는 요소
배관의 두께는 사용재질, 사용압력 및 온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같은 재질을 사용한 배관의 경우, 사용압력 및 온도가 증가할 경우 배관의 두께는 두꺼워진다. 사용압력 및 온도가 다양하지 않은 경우에는 한 가지 두께의 배관의 사용이 편리하다.
IPS(Iron Pipe Size) 규격
초기 산업시대의 배관은 철(Iron)을 이용해서 만들어 졌다. 이때문에 이 시기에 사용되던 배관규격의 이름이 IPS인 것이다. 이때의 배관 사용압력 및 온도는 현재처럼 다양하지도 않았다. 따라서 다양한 두께가 필요 없었기 때문에 한 가지 두께만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STD(Standard)또는 STD WT(Standard Weight)로 불리우는 두께이다.
IPS 규격은 배관의 내경을 기준으로 사용되었는데 한 가지 두께만을 사용하던 시기에 두께를 포함한 외경은 의미가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산업이 발달하면서 보다 높은 압력의 사용이 요구되었다. 같은 재질을 사용해서 보다 높은 압력을 견디기 위해서 기존에 사용되던 STD(Standard)두께보다 두꺼운 Extra Strong(XS)두께를 사용하게 된다. Extra Strong(XS) 또는 Extra Heavy(XH)로 불리기도 한다.
Double Extra Strong(XXS) 또는 Double Extra Heavy(XXH)로 불리우는 두께는 한 단계 더 두꺼운 것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Extra Heavy, Double Extra Heavy와 같이 두께에 무게단위가 들어가는 이유는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에서 기인한 것이다. 철의 무게와 배관의 부피를 알고 있다면 제작된 배관의 무게를 달아 보는 것만으로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배관재질의 발전
보다 다앙한 환경에서의 배관의 사용이 점차 요구 되었고, 단순히 두께를 조절해서 그러한 요구에 대응하는 것의 비효율성으로 인해 배관 재질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된다. 이러한 배관재질의 대한 관심은 현재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배관을 낳게된다. 철에 일정량의 탄소(Carbon)를 첨가하면 강도는 증가하지만 연성(Ductility)과 용접성(Weldability)이 낮아지게 된다. 산업적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성질을 갖도록 탄소를 첨가하여 만든 것이 바로 탄소강(Carbon Steel)이다.
탄소강은 현재 가장 널리쓰이는 강의 종류이다. 탄소강은 부식에 취약한 성질이 있는데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한 것이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이다. 일정량의 크롬을 첨가해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하여 부식을 방지하는 스테인리스강은 첨가물의 종류및 양에 따라 그 성질이 다양하다.
Ductile Iron Pipe Carbon Steel Pipe Stainless Steel Pipe
이러한 배관재질의 발전은 보다 얇은 두께로 높은 압력을 견딜수 있게 하였고 배관두께를 표현하는 방식의 다양성을 요구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IPS 규격으로 제작된 배관과 함께 사용하기에는 큰 문제점이 발생하였는데 그것은 바로 외경이 맞지 않음으로 발생하는 문제였다.
기존의 IPS규격의 배관은 내경을 기준으로 제작되었는데 두께가 일정하였기 때문에 사용에 큰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재질의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두께의 배관이 사용됨에 따라 내경을 기준으로 하는 IPS규격은 더이상 사용할 수 없었다.
NPS(Nominal Pipe Size) 규격
NPS규격은 배관의 외경을 기준으로 사용한다. 인치(Inch)단위를 사용하며 국내에서는 ‘공칭경’이란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NPS 4’라고 하면 ‘외경의 크기가 약 4인치인 배관’을 말하는 것이다.
NPS 12이하의 배관은 실제 외경이 공칭경보다 크고 NPS 14이상의 배관은 실제외경이 공칭경과 같다. 예를 들면, 공칭경 NPS 2는 실제외경이 약 2.375인치이다. 2.375인치는 2인치 보다 큰 것이다. 하지만 NPS 14이상의 배관은 실제외경과 공칭경이 일치한다.
DN(Diameter Nominal)
배관의 크기를 나타내는 규격중에 DN이라는 것이 있다. 이것은 ISO에서 인치단위로 표현된 NPS규격을 미터법으로 변환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미터법을 사용하지만 미국에서는 인치단위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아래의 NPS규격과 DN규격 비교표를 참고하기 바란다.
NPS규격의 스케줄 번호
NPS규격은 배관의 두께를 나타내기 위해 스케줄 번호를 이용한다. 산업적으로 사용하기 편리한 두께를 각 배관 사이즈마다 정해놓고 각 두께를 숫자를 이용해서 나타낸다.
5, 10, 20, 30, 40, 60, 80, 100, 120, 140, 160
Schedule(SCH)은 운전압력(P)을 배관재질의 최대허용응력(S) 값으로 나눈 값에 1000을 곱한 것으로써 압력과 최대허용응력의 단위는 psi(pounds per square inch)를 사용한 것이다. 스케줄 번호가 클수록 더 두꺼운 두께를 의미한다. 스케줄 번호가 같다고 해서 실제 두께가 다 같지 않음에 주의해야 한다. SCH40이라고 하면 NPS4에서는 6.02mm이지만 NPS6에서는 7.11mm를 나타낸다.
Letter ‘S’
5S, 10S, 20S 하는 식으로 스케줄 번호뒤에 S가 붙어 있는 것들이 있다. 이것은 스테인리스강의 스케줄을 나타내는 것이다. 스테인리스강은 탄소강보다 연성이 좋아서 보다 얇은 두께로 같은 압력을 견딜수 있다. 따라서 두께를 표현함에 있어서 구별을 하기 위해서 S를 붙인다.
IPS규격에서 배관의 두께를 나타내는 STD, XS, XXS 등의 표현은 NPS규격에 상응하는 두께에 함께 표현된다. NPS10 이하의 배관은 SCH40이 STD두께이고 NPS8이하의 배관에서 SCH80은 XS두께이다. 자세한 치수는 ASME B36.19와 B36.10을 참고하기 바란다.
이 글의 출처는 배관정복의 프리웨이(ds23)님이 작성한 글입니다.
강관규격 스케줄파이프 규격 표
강관배관은 소화 스프링러배관, 냉각수배관등에서 주로 쓰이는데요. 위생배관과 공조배관처럼 뜨거운물이 담겨있는 배관은 sus파이프를 쓰는반면 소화배관, 냉각탑배관등 찬물만 담겨있는 배관은 보통 강관을 씁니다.
오늘은 이 강관의 규격과 스케줄파이프(두께가 일반 강관보다 두꺼운배관-구조용 강관규격)의 규격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종류 호칭경 실외경(mm) 두 께 (mm) 중량 (kg/m) 수압시험압력(kg/㎠) 비고 (A) (B) 등급A 등급B 일반배관용 (SPP) 6 1/8 10.5 2 0.419 25 KSD 3507 8 1/4 13.8 2.35 0.652 25 10 3/8 17.3 2.35 0.851 25 15 1/2 21.7 2.65 1.31 25 20 3/4 27.2 2.65 1.68 25 25 1 34 3.25 2.43 25 32 1 1/4 42.7 3.25 3.38 25 40 1 1/2 48.6 3.25 3.89 25 50 2 60.5 3.65 5.31 25 65 2 1/2 76.3 3.65 7.47 25 80 3 89.1 4.05 8.79 25 90 3 1/2 101.6 4.05 10.1 25 100 4 114.3 4.5 12.2 25 125 5 139.8 4.85 15 25 150 6 166.2 4.85 19.8 25 175 7 190.7 5.3 24.2 25 200 8 216.5 5.85 30.1 25 225 9 241.8 6.2 36 25 250 10 267.4 6.4 42.4 25 300 12 318.5 7 53 25 350 14 355.6 7.6 67.7 25 400 16 406.4 7.9 77.6 25 450 18 457.2 7.9 87.5 25 500 20 508 7.9 97.4 25 550 22 558.8 7.9 107 25 600 24 609.6 7.9 117.000 25 압력배관용 (SPPS #40) 6 1/8 10.5 1.7 0.369 39 KSD 3562 8 1/4 13.8 2.2 0.629 39 10 3/8 17.3 2.3 0.851 39 15 1/2 21.7 2.8 1.31 39 20 3/4 27.2 2.9 1.74 39 25 1 34 3.4 2.57 39 32 1 1/4 42.7 3.6 3.47 39 40 1 1/2 48.6 3.7 4.1 39 50 2 60.5 3.9 5.44 39 65 2 1/2 76.3 5.2 9.12 39 80 3 89.1 5.5 11.3 39 90 3 1/2 101.6 5.7 13.5 39 100 4 114.3 6 16 39 125 5 139.8 6.6 21.7 39 150 6 166.2 7.1 27.7 39 200 8 216.5 8.2 42.1 39 250 10 267.4 9.3 59.2 39 300 12 318.5 10.3 78.3 39 350 14 355.6 11.1 94.3 39 400 16 406.4 12.7 123 39 450 18 457.2 14.3 156 39 500 20 508 15.1 184 39 550 22 558.8 15.9 213 39
이상으로 일반 백강관과 스케줄 파이프(구조용 강관규격)의 주된 용도와 규격표를 알아봤습니다.
Top 25 배관 스케줄 표 Quick Answer
[배관교육] 배관 스케줄 (Piping Schedule) 초간단 설명 [배관교육] 배관 스케줄 (Piping Schedule) 초간단 설명파이프 규격 배관용 / 파이프 스케줄 규격/배관 규격, 스케줄 번호
Article author: catcom.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38881 Ratings
Ratings Top rated: 3.2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파이프 규격 배관용 / 파이프 스케줄 규격/배관 규격, 스케줄 번호 Updating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파이프 규격 배관용 / 파이프 스케줄 규격/배관 규격, 스케줄 번호 Updating 파이프 규격 / 내경 외경 스케줄 계산법 파이프는 인치 단위로 생산이 됩니다. 그리고 파이프는 A 단위의 호칭을 사용합니다. 10A , 3/8인치 15A , 1/2인치 파이프는 외경이 동일하다고 해도 용도에 따라 두께가..
Table of Contents:
Main Menu
파이프 규격 배관용 파이프 스케줄 규격배관 규격 스케줄 번호
파이프 규격 내경 외경 스케줄 계산법
배관용 파이프 KS JIS 규격
배관용 파이프 ASME 규격
‘판금기계설계배관튜브가스켓’ 관련 글
Sidebar
Footer 1
Footer 2
Footer 3
Copyright © 고컴고캣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B FACTORY
티스토리툴바
파이프 규격 배관용 / 파이프 스케줄 규격/배관 규격, 스케줄 번호
Read More
스케줄 파이프(Schedule Pipe)의 정의와 중량규격표
Article author: saysensibility.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430 Ratings
Ratings Top rated: 3.6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스케줄 파이프(Schedule Pipe)의 정의와 중량규격표 Updating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스케줄 파이프(Schedule Pipe)의 정의와 중량규격표 Updating 스케쥴파이프 규격을 확인하기 위해 우연히 인터넷을 검색하다 아래와 같은 글을 발견했습니다. 스케쥴 파이프가 무엇인지, 심네스(?)파이프와 헷갈려하시는 것 같았는데, 밑에 댓글도 재밌습니다. 무려 7년전인..
Table of Contents:
태그
‘업무 상식철판 금속 파이프’ 관련글
Comments
티스토리툴바
스케줄 파이프(Schedule Pipe)의 정의와 중량규격표
Read More
배관 스케줄 표
Article author: weldingworld.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41173 Ratings
Ratings Top rated: 3.1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배관 스케줄 표 Updating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배관 스케줄 표 Updating 배관에서 SCH40, SCH80, SCH10S 등의 용어는 배관의 두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왜 배관의 두께를 스케줄 번호를 사용해서 나타내게 되었을까? 초기 배관산업의 역사를 살펴보자. 배관의 크기와 두께 배관의..웰딩월드,weldingworld,배관,용접,piping,플랜트건설,배관정복,특수용접,건설노동자,plant,해외건설,플랜트소식,파워플렌트,가스플랜트,해양플렌트,엔지니어링,엔지니어,engineer해외 플랜트 건설현장의 다양한 이야기를 사진으로 담았습니다.
Table of Contents:
배관 스케줄 표
Read More
용접이모야?
Article author: blog.daum.net
Reviews from users: 46278 Ratings
Ratings Top rated: 3.7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용접이모야? Updating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용접이모야? Updating 파이프는 인치 단위로 생산된다. 파이프의 호칭은 몇A로 부르며, 몇A 마다 몇 인치로 구분된다. 예, 10A- 3/8인치 15A- 1/2인치 20A- 3/4인치 25A- 1 인치 …등등 파이프는 같은 외경을..용접 정보를 알려드립니다용접이모야?
Table of Contents:
용접이모야?
Read More
강관규격 스케줄파이프 규격 표
Article author: wysi.hksblog.com
Reviews from users: 8696 Ratings
Ratings Top rated: 3.6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강관규격 스케줄파이프 규격 표 Updating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강관규격 스케줄파이프 규격 표 Updating 강관배관은 소화 스프링러배관, 냉각수배관등에서 주로 쓰이는데요. 위생배관과 공조배관처럼 뜨거운물이 담겨있는 배관은 sus파이프를 쓰는반면 소화배관, 냉각탑배관등 찬물만 담겨있는 배관은 보통 강관을 씁니..
Table of Contents:
강관규격 스케줄파이프 규격 표
Read More
배관(pipe) 크기 및 호칭 규격(SCH No 등)
Article author: sec-9070.tistory.com
Reviews from users: 45074 Ratings
Ratings Top rated: 4.7
Lowest rated: 1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배관(pipe) 크기 및 호칭 규격(SCH No 등) Updating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배관(pipe) 크기 및 호칭 규격(SCH No 등) Updating 배관(pipe)의 크기는 내경(ID: Inside Diameter)과 외경(OD: Outside Diameter)으로 표현할 수 있다. 파이프 크기를 나타내는 숫자로 재질에 관계없이 호칭경으로 크기를 표시하지만, 외경과 내경 두께는 파이프..
Table of Contents:
배관(pipe) 크기 및 호칭 규격(SCH No 등)
태그
관련글
댓글0
공지사항
전체 방문자
티스토리툴바
배관(pipe) 크기 및 호칭 규격(SCH No 등)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https://toplist.avitour.vn/blog/.
스케줄 파이프(Schedule Pipe)의 정의와 중량규격표
반응형 스케쥴파이프 규격을 확인하기 위해 우연히 인터넷을 검색하다 아래와 같은 글을 발견했습니다. 스케쥴 파이프가 무엇인지, 심네스(?)파이프와 헷갈려하시는 것 같았는데, 밑에 댓글도 재밌습니다. 무려 7년전인 2009년에 작성된 어느 카페의 게시글인데요. 아마 질문했던 분이나 밑에 댓글 다신분들 지금은 스케쥴파이프가 무엇인지 아마 다 알고계시겠죠? 하지만 이제 갓 입사한 신입사원들이 저 글을보고 더 헷갈려할까봐 오늘은 스케쥴파이프가 무엇인지 일급비밀에 대해 포스팅을 하려합니다. 참고로 윗글에 대해 먼저 언급하자면, 파이프안에 심선이 없다는 것 그게 바로 심레스(Seamless Pipe) 파이프입니다. 심리스 파이프나 SML’S 파이프라고도 하죠. 예전에 관련 포스팅을 한적이 있는데, 맨 아래에 링크를 걸어둘테니 심레스 파이프도 한번 알아두면 좋겠습니다. 자, 그럼 오늘은 스케쥴 파이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케줄파이프 #10, #20, #30, #40, #60, #80, #100, #120, #140, #160으로 나뉘어져 있는데요. 숫자가 올라갈수록 파이프의 두께도 커집니다. 예를들어 350A 파이프를 기준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 일반 라운드파이프(배관용 탄소강관) 350A의 두께는 7.6mm인데요. #10 350A는 두께가 6.4mm입니다. 그리고 #20은 7.9, #30은 9.5, #40은 11.1, #60은 15.1, #80은 19, #100은 23.8, #120은 27.8, #140은 31.8 #160은 35.7mm로 점점 두꺼워집니다. 이런식으로 350A파이프의 외경은 355.6mm로 동일하지만 스케쥴에 따라 두께가 달라집니다. 스케줄파이프의 정식명칭은 압력배관용 탄소강관(STPG)이라고도 하는데요. 고압력 배관일수록 고압에 잘버티기 위해서 두께도 두꺼워져야하기때문에 압력에따라 이런식으로 두께에 차이를 둬야하고, 이를 스케줄파이프라 하는 것입니다. 스케줄파이프 표기법 스케줄파이프는 표기방법이 여러가지입니다. 따라서 표기된것만 보고 이게 스케줄파이프인지 아닌지 구분을 해야할때가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100A 스케줄 40파이프로 다양한 표기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00A SCH40 , 100A S/40 , 100A #40 , STPG370 #40 100A 위에 표기된 것들이 모두 동일한 파이프를 일컫는 말입니다. 그중 STPG370은 Steel Tube Pipe General 370이라는 뜻으로 압력배관용 탄소강관에 인장강도가 370N/㎟이라는 뜻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별도로 표기가 되어있지 않다면 STPG370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스케줄파이프의 중량규격표 아래의 중량규격표는 호칭두께별(스케줄)로 잘 구분되어있으니 원하는 두께에 따른 미터당 중량도 함께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아래에는 라운드 파이프와 관련된 포스팅이니 함께 확인하시면 좋겠습니다. ☞ 심레스파이프(Seamless Pipe)의 정의와 제조방법, 용도 확인가기 ☞ 원형관, 라운드 파이프(Round Pipe) 중량규격표와 중량 구하는 공식 확인하기 더 많은 자료는 카테고리 ‘업무상식’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00×250
배관에서 SCH40, SCH80, SCH10S 등의 용어는 배관의 두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왜 배관의 두께를 스케줄 번호를 사용해서 나타내게 되었을까? 초기 배관산업의 역사를 살펴보자. 배관의 크기와 두께 배관의 크기는 내경(ID:Inside Diameter)과 외경(OD:Outside Diameter)으로 표현할 수 있다. 내경은 유체가 이동하는 단면적이다. 이것은 유량과 직결되는 요소이다. 유속이 일정한 경우 단면적이 증가할수록 유량도 증가한다. 외경은 배관의 두께를 포함한 전체 크기를 나타낸다. 내경은 일정하지만 두께에 따라 외경은 변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두께는 어떤 요소로 인해 달라지는 것일까? 두께를 결정짓는 요소 배관의 두께는 사용재질, 사용압력 및 온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같은 재질을 사용한 배관의 경우, 사용압력 및 온도가 증가할 경우 배관의 두께는 두꺼워진다. 사용압력 및 온도가 다양하지 않은 경우에는 한 가지 두께의 배관의 사용이 편리하다. IPS(Iron Pipe Size) 규격 초기 산업시대의 배관은 철(Iron)을 이용해서 만들어 졌다. 이때문에 이 시기에 사용되던 배관규격의 이름이 IPS인 것이다. 이때의 배관 사용압력 및 온도는 현재처럼 다양하지도 않았다. 따라서 다양한 두께가 필요 없었기 때문에 한 가지 두께만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STD(Standard)또는 STD WT(Standard Weight)로 불리우는 두께이다. IPS 규격은 배관의 내경을 기준으로 사용되었는데 한 가지 두께만을 사용하던 시기에 두께를 포함한 외경은 의미가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산업이 발달하면서 보다 높은 압력의 사용이 요구되었다. 같은 재질을 사용해서 보다 높은 압력을 견디기 위해서 기존에 사용되던 STD(Standard)두께보다 두꺼운 Extra Strong(XS)두께를 사용하게 된다. Extra Strong(XS) 또는 Extra Heavy(XH)로 불리기도 한다. Double Extra Strong(XXS) 또는 Double Extra Heavy(XXH)로 불리우는 두께는 한 단계 더 두꺼운 것임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Extra Heavy, Double Extra Heavy와 같이 두께에 무게단위가 들어가는 이유는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에서 기인한 것이다. 철의 무게와 배관의 부피를 알고 있다면 제작된 배관의 무게를 달아 보는 것만으로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배관재질의 발전 보다 다앙한 환경에서의 배관의 사용이 점차 요구 되었고, 단순히 두께를 조절해서 그러한 요구에 대응하는 것의 비효율성으로 인해 배관 재질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된다. 이러한 배관재질의 대한 관심은 현재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배관을 낳게된다. 철에 일정량의 탄소(Carbon)를 첨가하면 강도는 증가하지만 연성(Ductility)과 용접성(Weldability)이 낮아지게 된다. 산업적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성질을 갖도록 탄소를 첨가하여 만든 것이 바로 탄소강(Carbon Steel)이다. 탄소강은 현재 가장 널리쓰이는 강의 종류이다. 탄소강은 부식에 취약한 성질이 있는데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한 것이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이다. 일정량의 크롬을 첨가해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하여 부식을 방지하는 스테인리스강은 첨가물의 종류및 양에 따라 그 성질이 다양하다. Ductile Iron Pipe Carbon Steel Pipe Stainless Steel Pipe 이러한 배관재질의 발전은 보다 얇은 두께로 높은 압력을 견딜수 있게 하였고 배관두께를 표현하는 방식의 다양성을 요구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IPS 규격으로 제작된 배관과 함께 사용하기에는 큰 문제점이 발생하였는데 그것은 바로 외경이 맞지 않음으로 발생하는 문제였다. 기존의 IPS규격의 배관은 내경을 기준으로 제작되었는데 두께가 일정하였기 때문에 사용에 큰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재질의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두께의 배관이 사용됨에 따라 내경을 기준으로 하는 IPS규격은 더이상 사용할 수 없었다. NPS(Nominal Pipe Size) 규격 NPS규격은 배관의 외경을 기준으로 사용한다. 인치(Inch)단위를 사용하며 국내에서는 ‘공칭경’이란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NPS 4’라고 하면 ‘외경의 크기가 약 4인치인 배관’을 말하는 것이다. NPS 12이하의 배관은 실제 외경이 공칭경보다 크고 NPS 14이상의 배관은 실제외경이 공칭경과 같다. 예를 들면, 공칭경 NPS 2는 실제외경이 약 2.375인치이다. 2.375인치는 2인치 보다 큰 것이다. 하지만 NPS 14이상의 배관은 실제외경과 공칭경이 일치한다. DN(Diameter Nominal) 배관의 크기를 나타내는 규격중에 DN이라는 것이 있다. 이것은 ISO에서 인치단위로 표현된 NPS규격을 미터법으로 변환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미터법을 사용하지만 미국에서는 인치단위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아래의 NPS규격과 DN규격 비교표를 참고하기 바란다. NPS규격의 스케줄 번호 NPS규격은 배관의 두께를 나타내기 위해 스케줄 번호를 이용한다. 산업적으로 사용하기 편리한 두께를 각 배관 사이즈마다 정해놓고 각 두께를 숫자를 이용해서 나타낸다. 5, 10, 20, 30, 40, 60, 80, 100, 120, 140, 160 Schedule(SCH)은 운전압력(P)을 배관재질의 최대허용응력(S) 값으로 나눈 값에 1000을 곱한 것으로써 압력과 최대허용응력의 단위는 psi(pounds per square inch)를 사용한 것이다. 스케줄 번호가 클수록 더 두꺼운 두께를 의미한다. 스케줄 번호가 같다고 해서 실제 두께가 다 같지 않음에 주의해야 한다. SCH40이라고 하면 NPS4에서는 6.02mm이지만 NPS6에서는 7.11mm를 나타낸다. Letter ‘S’ 5S, 10S, 20S 하는 식으로 스케줄 번호뒤에 S가 붙어 있는 것들이 있다. 이것은 스테인리스강의 스케줄을 나타내는 것이다. 스테인리스강은 탄소강보다 연성이 좋아서 보다 얇은 두께로 같은 압력을 견딜수 있다. 따라서 두께를 표현함에 있어서 구별을 하기 위해서 S를 붙인다. IPS규격에서 배관의 두께를 나타내는 STD, XS, XXS 등의 표현은 NPS규격에 상응하는 두께에 함께 표현된다. NPS10 이하의 배관은 SCH40이 STD두께이고 NPS8이하의 배관에서 SCH80은 XS두께이다. 자세한 치수는 ASME B36.19와 B36.10을 참고하기 바란다. 이 글의 출처는 배관정복의 프리웨이(ds23)님이 작성한 글입니다.
파이프는 인치 단위로 생산된다. 파이프의 호칭은 몇A로 부르며, 몇A 마다 몇 인치로 구분된다. 예, 10A- 3/8인치 15A- 1/2인치 20A- 3/4인치 25A- 1 인치 …등등 파이프는 같은 외경을 가졌다고 해도 용도에 따라 두께가 다르다. 이것을 스케쥴(SCHEDULE)로 구분하며 스케쥴은 #로 표시한다. 예를들어 쉽게 해석하면, 탄소강 파이프 규격을 20A #80로 표기했을때 이것을 Ø(파이)로 바꿔 표시한다면(JIS규격 일때) Ø27.2 – 3.9 t 가 된다. 다시 말해, 이 파이프는20A 파이프이며, 외경이 27.2mm이고 스케쥴(#)80짜리로 3.9mm 두께의 파이프이다. 따라서 내경은 외경27.2 에서 두께3.9를 빼면 된다. 스패터,에듀웰딩,eduwelding,welding,UT검사,초음파 검사,용접,CO2용접,TIG용접,아크용접,ARC용접,티그용접,씨오투용접, 크게 확대 보기클릭 ↓ 아래 그림은 ASME/ANSI 규격 을 참고로 예를 든 것이다. 숫자는 inch 단위. 1(inch) – 25.4mm 규격 (인치) A(미리) 외경 Identifi cation 두께 -t- 내경 – d – 스틸 Stainless Steel scehdule No (#) Iron Pipe Size 스케쥴 No (#) 1/8 0.405 . STD XS . 40 80 10S 40S 80S .049 .068 .095 .307 .269 .215 1/4 0.540 . STD XS . 40 80 10S 40S 80S .065 .088 .119 .410 .364 .302 3/8 (10A) 0.675 . STD XS . 40 80 10S 40S 80S .065 .091 .126 .545 .493 .423 1/2 (15A) 0.840 . . STD XS . XXS . . 40 80 160 . 5S 10S 40S 80S . . .065 .083 .109 .147 .187 .294 .710 .674 .622 .546 .466 .252 3/4 (20A) 1.050 . . STD XS . XXS . . 40 80 160 . 5S 10S 40S 80S . . .065 .083 .113 .154 .219 .308 .920 .884 .824 .742 .612 .434 1 (25A) 1.315 . . STD XS . XXS . . 40 80 160 . 5S 10S 40S 80S . . .065 .109 .133 .179 .250 .358 1.185 1.097 1.049 .957 .815 .599 1 1/4 (32A) 1.660 . . STD XS . XXS . . 40 80 160 . 5S 10S 40S 80S . . .065 .109 .140 .191 .250 .382 1.530 1.442 1.380 1.278 1.160 .896 1 1/2 (40A) 1.900 . . STD XS . XXS . . 40 80 160 . 5S 10S 40S 80S . . .065 .109 .145 .200 .281 .400 1.770 1.682 1.610 1.500 1.338 1.100 2 (50A) 2.375 . . STD XS . XXS . . 40 80 160 . 5S 10S 40S 80S . . .065 .109 .154 .218 .344 .436 2.245 2.157 2.067 1.939 1.687 1.503 2 1/2 (65A) 2.875 . . STD XS . XXS . . 40 80 160 . 5S 10S 40S 80S . . .083 .120 .203 .276 .375 .552 2.709 2.635 2.469 2.323 2.125 1.771 3 (80A) 3.500 . . STD XS . XXS . . 40 80 160 . 5S 10S 40S 80S . . .083 .120 .216 .300 .438 .600 3.334 3.260 3.068 2.900 2.624 2.300 3 1/2 (90A) 4.000 . . STD XS . . 40 80 5S 10S 40S 80S .083 .120 .226 .318 3.834 3.760 3.548 3.364 4 (100A) 4.500 . . STD XS . . XXS . . 40 80 120 160 . 5S 10S 40S 80S . . . .083 .120 .237 .337 .438 .531 .674 4.334 4.260 4.026 3.826 3.624 3.438 3.152 5 (125A) 5.563 . . STD XS . . XXS . . 40 80 120 160 . 5S 10S 40S 80S . . . .109 .134 .258 .375 .500 .625 .750 5.345 5.295 5.047 4.813 4.563 4.313 4.063 6 (150A) 6.625 . . STD XS . . XXS . . 40 80 120 160 . 5S 10S 40S 80S . . . .109 .134 .280 .432 .562 .718 .864 6.407 6.357 6.065 5.761 5.501 5.187 4.897 8 (200A) 8.625 . . . . STD . XS . . . XXS . . . 20 30 40 60 80 100 120 140 . 160 5S 10S . . 40S . 80S . . . . . .109 .148 .250 .277 .322 .406 .500 .594 .719 .812 .875 .906 8.407 8.329 8.125 8.071 7.981 7.813 7.625 7.437 7.187 7.001 6.875 6.813 10 (250A) 10.750 . . . . STD XS . . . . . . . 20 30 40 60 80 100 120 140 160 5S 10S . . 40S 80S . . . . . .134 .165 .250 .307 .365 .500 .594 .719 .844 1.000 1.125 10.482 10.420 10.250 10.136 10.020 9.750 9.562 9.312 9.062 8.750 8.500 12 (300A) 12.75 . . . . STD . XS . . . . . . . . 20 30 . 40 . 60 80 100 120 140 160 5S 10S . . 40S . 80S . . . . . . .156 .180 .250 .330 .375 .406 .500 .562 .688 .844 1.000 1.125 1.312 12.438 12.390 12.250 12.090 12.000 11.938 11.750 11.626 11.374 11.062 10.750 10.500 10.126 14 (350A) 14.00 . . . . STD . XS . . . . . .. . . 10 20 30 40 . 60 80 100 120 140 160 5S 10S . . . . . . . . . . . 156 .188 .250 .312 .375 .438 .500 .594 .750 .938 1.094 1.250 1.406 13.688 13.624 13.500 13.376 13.250 13.124 13.000 12.812 12.500 12.124 11.812 11.500 11.188 16 (400A) 16.00 . . . . STD XS . . . . . . . . 10 20 30 40 60 80 100 120 140 160 5S 10S . . . . . . . . . . .165 .188 .250 .312 .375 .500 .656 .844 1.031 1.219 1.438 1.594 15.670 15.624 15.500 15.376 15.250 15.000 14.688 14.312 13.938 13.562 13.124 12.812 18 (450A) 18.00 . . . . STD . XS . . . . . . . . . 10 20 . 30 . 40 60 80 100 120 140 160 5S 10S . . . . . . . . . . . . .165 .188 .250 .312 .375 .438 .500 .562 .750 .938 1.156 1.375 1.562 1.781 17.670 17.624 17.500 17.376 17.250 17.124 17.000 16.876 16.500 16.124 15.688 15.250 14.876 14.438 20 (500A) 20.00 . . . STD XS . . . . . . . . . 10 20 30 40 60 80 100 120 140 160 5S 10S . . . . . . . . . . .188 .218 .250 .375 .500 .594 .812 1.031 1.281 1.500 1.750 1.969 19.624 19.564 19.500 19.250 19.000 18.812 18.376 17.938 17.438 17.000 16.500 16.062 22 (550A) 22.00 . . . STD XS . . . . . . . . 10 20 30 60 80 100 120 140 160 5S 10S . . . . . . . . . .188 .218 .250 .375 .500 .875 1.125 1.375 1.625 1.875 2.125 21.624 21.564 21.500 21.250 21.000 20.250 19.75 19.25 18.75 18.25 17.75 24 (600A) 24.00 . . STD XS . . . . . . . . . 10 20 . 30 40 60 80 100 120 140 160 5S 10S . . . . . . . . . . .218 .250 .375 .500 .562 .688 .969 1.219 1.531 1.812 2.062 2.344 23.564 23.500 23.250 23.000 22.876 22.624 22.062 21.562 20.938 20.376 19.876 19.312 26 (650A) 26.00 . STD XS 10 . 20 . . . .312 .375 .500 25.376 25.250 25.000 28 28.00 . STD XS . 10 . 20 30 . . . . .312 .375 .500 .625 27.376 27.250 27.000 26.750 30 (750A) 30.00 . . STD XS . . 10 . 20 30 5S 10S . . . .250 .312 .375 .500 .625 29.500 29.376 29.250 29.000 28.750 32 32.00 . STD XS . . 10 . 20 30 40 . . . . . .312 .375 .500 .625 .688 31.376 31.250 31.000 30.750 30.624 34 34.00 . STD XS . . 10 . 20 30 40 . . . . . .344 .375 .500 .625 .688 33.312 33.250 33.000 32.750 32.624 36 36.00 . STD XS . . 10 . 20 30 40 . . . . . .312 .375 .500 .625 .750 35.376 35.250 35.000 34.750 34.500 42 42.00 STD XS . . . 20 30 40 . . . . .375 .500 .625 .750 41.250 41.000 40.720 40.500 1 in (inch) = 25.4 mm 스패터,에듀웰딩,eduwelding,welding,UT검사,초음파 검사,용접,CO2용접,TIG용접,아크용접,ARC용접,티그용접,씨오투용접,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배관 스케줄 표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배관 스케줄 계산, 파이프 스케줄 의미, 파이프 규격 pdf, 파이프 내경 계산, 파이프 규격, 파이프 규격 보는법, 스텐파이프 규격, 파이프 규격표
키워드에 대한 정보 배관 스케줄 표
다음은 Bing에서 배관 스케줄 표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배관교육] 배관 스케줄 (Piping Schedule) 초간단 설명
- 플랜트산업협회
- KOPIA
-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 한국플랜트학회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엔지니어링협회
- 기술사
- 삼성엔지니어링
- 삼성물산
- 대림건설
- 롯데건설
- 롯데
- 롯데케미칼
- 해외취업
- sk에너지
- sk화학
- 한화건설
- SK건설
- GS건설
- 현대엔지니어링
- 현대건설
- S&I
- KBR
- FLOUR
- BECHTEL
- 용접기능사
- 용접기능장
- 용접산업기사
- 용접기사
- 특수용접
- 용접기술사
- 플랜트교육
- 플랜트강의
- 해외건설
- 해외프로젝트
- 수능인강
- 중등인강
- 메가스터디
- 1타강사
- 수능특강
- 산업인력공단
- 특강
- 일타강사
- 검정고시
- 추천인강
- 화공플랜트
- 발전플랜트
- data transformation
- DT
- EPC trend
- EPC
- 배관기초교육
- 배관강의
- 배관강좌
- 플랜트학과
- 온라인강의
- 온라인교육
- 국비교육
- 국비무료
- 플랜트산업
- 중동취업
- 배관스케줄
- piping schedule
- piping thickness
- asme b31.3
- 배관두께
- 배관압력
- 배관재질
- carbon steel
- stainless steel
- thickness different
YouTube에서 배관 스케줄 표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배관교육] 배관 스케줄 (Piping Schedule) 초간단 설명 | 배관 스케줄 표,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